•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2. 진로성숙도

가. 진로성숙도의 개념

한 개인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많은 선택을 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삶 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택은 자신의 직업이나 전공을 선택하는 진로 문제에 대한 것이다. 올바른 진로 선택은 개인의 삶에 있어 경제적 보상을 가져다 줄 뿐 아니라 자신의 능력과 소질을 발휘하고 삶의 만족 과 보람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개인의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한다(김민 정, 2014; 강정임, 2012). 이처럼 진로 선택의 결과는 개인의 일생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인이 올바른 진로 선택과 결정을 내릴 수 있 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진로성숙도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어 왔다. 현대 사회가 직업의 다양화와 전문화, 기술문명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이전에 비해 진로에 대한 선택과 결정을 내리는 것이 더욱 어려운 과업이 됨에 따라 오늘날 진로성숙도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시기는 직업준비단계로서 삶의 방향 을 결정하게 되는 시기이며, 개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분야 및 전공에 대한 고민, 그리고 진학과 취업 사이에서의 고민 등 진로와 관련하여 많 은 고민을 마주하게 되는 시기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에서 진로성숙도는 중요한 변인으로 여겨져 왔다(맹희주, 2014).

진로성숙(career maturity)은 1940년대부터 청소년들의 진로행동에 관한 연구에서 시작되어 1950년대 직업 선택을 연구하는 진로발달 이론 가들에 의해 발달된 개념이다(이은경, 2000). 진로발달이론은 인간의 발달적인 측면을 진로교육에 도입하여 개인의 진로발달을 인간의 전체적 인 발달의 한 측면으로 보는 입장으로, 개인의 생의 특정한 시점에 한 번의 행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택과 결정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관심이 이동되는 경향으로 진로행동을 다루는 분야가 나타나며 진로발달 이라는 개념이 출현하였다(Philips & Pazienza, 1988; 이재창, 1986).

이처럼 진로발달이론은 개인의 전생애과정에 걸친 종단적인 측면을 강조 하여 개인의 내적요인과 실제 상황적 맥락의 상호작용으로 진로태도가 형성되고, 개인의 욕구와 외부환경 사이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찾 는 탐색과정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진로성숙이 진로발달 이론에서 발전 된 개념인 만큼, 일시적 혹은 일회적인 것이 아닌, 연속적인 발달 과정 에서 개인으로 하여금 적합한 발달 단계에 비추어 진로 발달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기에 발달상 문제를 점검할 수 있어, 진로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원상희, 2013).

많은 연구자들이 진로발달이론의 관점에서 진로성숙의 개념에 대해 학 문적으로 정의를 내린 것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진로성숙의 개념 은 청소년의 직업흥미 발달을 연구했던 Carter(1940)와 나이에 따라 직업 행동이 체계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주장한 Strong(1943)에 의해 논의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후 Super(1955)에 의해 진로성 숙이란 용어가 논문에서 처음으로 개념화 되었다. Super는 진로성숙도 를 직업적 발달과업에 대한 준비도로 개인이 진로발달의 연속선상에서 도달하는 위치로 정의하였으며, 진로성숙의 하위변인으로 진로계획, 직 업탐색, 의사결정, 직업세계에 대한 지식, 선호하는 직업군에 대한 지식 등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Super가 진로성숙도를 개인이 속해있는 연 령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직업적 발달과업에 대한 준비도라고 정의내린 반면, Crites(1978)은 진로발달 이론을 근거로 진로성숙도를 개인의 발 달 단계에 적합한 진로 발달적 과업을 수행한 정도를 의미하며 특히, 개

인으로 하여금 진로선택과정에서 동일한 연령층의 학생들과 비교해서 나 타나는 인지적 및 정서적 특성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또한, Crites는 이러한 진로성숙도가 개인의 진로 발달 과업 관련 과정 의 정도를 평가하고 개인의 진로 행동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부분임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Crites의 연구는 진로성숙의 개념에 관하여 Super 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기에 유사한 관점이 많지만, Super는 직업선 택의 결과에 초점을 둔 반면, Crites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접근했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Super와 유사하게 Gribbons와 Lohnnes(1965)는 진로성숙도를 진로 선택이나 진로계획에서의 준비도의 개념으로 보면서 진로성숙 수준은 자 아개념의 발달과 관계가 있으며, 개인의 내적·외적 여건에 따라 개인차 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비슷한 맥락에서 Savickas(1984)는 본인의 연 구에서 진로성숙도를 광의적으로 정보를 얻어 개인으로 하여금 연령에 적합한 진로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진로 발달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개념에 더하여 Levinson 외(1998) 는 진로성숙도가 개인이 진로 결정을 내리는 데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 고, 올바른 진로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과 또 그러한 결정이 현실적이 고 일관적인 정도를 포함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Luzzo(1995)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진로성숙도를 지적이고 현실적인 진로선택을 하는 능력과 지식을 획득하는 정도로 적절한 진로 발달 과업에 적응하고, 연 령에 맞는 진로결정을 하도록 하는 개인의 준비도라고 정의하였다. 이처 럼 국외에서는 많은 진로발달 이론가들에 의해 진로 발달 과정의 수행과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진로성숙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진로성숙도의 개념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얼마나 구체적으로 혹은 광의적으로 접근하는 지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대체로 Super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어 큰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연구에서도 진로 발달과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진로성숙도를 보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와 더불

어 Super 이론에 기반을 두는 국외 진로성숙 모형과 도구 등을 국내의 특성에 맞게 도입하는 노력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진로성숙도의 개 념과 관련해서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김충기(1986)는 직업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 등을 습득하여 개인의 직업적성에 부합하는 행동과 판단력 의 개발 과정의 결과를 진로성숙도라고 정의 내렸다. 김충기가 직업에 중점을 둔 관점으로 진로성숙도에 접근한 반면, 김현옥(1989)은 진로에 중점을 두고 진로성숙을 진로의식, 탐색 그리고 의사결정에서의 발전적 변화의 개념으로, 개인이 진로를 선택하거나 의사결정을 할 때 자아와 환경을 인식하여 얼마나 자신을 정확히 평가하고 현실과 타협하여 현명 하게 선택을 하고 적응해 가는지에 대한 준비도의 개념이라고 정의하였 다. 특히 장석민 외(1990)는 구체적으로 진로성숙도를 발달적 개념이면 서 다음 단계로 이행하기 위한 준비도이며, 자아와 일과 직업 세계의 이 해를 기초로 하여 자기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일 연령이나 발달 단계에 있는 집단의 발달과업 수행 정도에서 차지할 개인 의 상대적인 위치로 정의하여, 국외 여러 진로발달이론가들이 내린 진로 성숙도의 정의를 포괄하였다.

이후로 이기학(1997)이 광의적인 관점에서 진로성숙이 개인으로 하여 금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적재적소에 선택하고, 이에 적응하기 위해 필 요한 태도라고 정의를 내렸으며, 이와 유사하게 김봉환(1996) 역시 진 로성숙도를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을 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행 동 혹은 진로결정사항을 포함하는 모든 준비 행동을 의미한다고 정의 하 였다. 반면, 임언 외(2001)는 연구에서 진로성숙을 청소년이 자기 주도 적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계획하기 위해 필요한 정의적 태도 및 인지적 능력과 개인의 결정을 실행하는 정도라고 정의내려 진로성숙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대상을 청소년으로 한정 지었다. 이 외에도 최근 김말선 (2011)은 본인의 연구에서 진로성숙도를 조금 더 광의적인 개념에서 개 인의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스스로의 적성과 능력, 그리고 일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여 올바른 진로 선택과 결정을 하기 위한 측면에서의 개 인의 성숙수준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송병국과 전주연(2013)도 이와 유

학자 정 의

학자 정 의

김말선(2011)

개인의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스스로의 적성과 능력, 그리고 일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여 올바른 진로 선택과 결정을 하기 위한 측면에서의 개인의 성숙수준

송병국과 전주연(2013)

자신과 일, 직업에 대한 이해와 함께 진로에 대한 건전하고 올바른 이해로 자신의 진로를 보다 합리적으로 탐색하고 선택하며, 결정할 수 있는 능력

진로성숙도의 개념에 대해 국내외 연구자들이 내린 정의를 살펴보면, 대체로 Super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어 핵심 내용은 공유하면서 얼마 나 협의적으로 혹은 광의적으로 접근했는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정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도 를 개인이 자신의 연령 수준에서 맞닥뜨리는 진로 관련 과업을 수행하기

진로성숙도의 개념에 대해 국내외 연구자들이 내린 정의를 살펴보면, 대체로 Super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어 핵심 내용은 공유하면서 얼마 나 협의적으로 혹은 광의적으로 접근했는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정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도 를 개인이 자신의 연령 수준에서 맞닥뜨리는 진로 관련 과업을 수행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