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장 개방 확대에 대응한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3/3차년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시장 개방 확대에 대응한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3/3차년도)"

Copied!
16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연구 담당 채광석︱연구위원︱연구 총괄, 제1∼5장 집필 김홍상︱선임연구위원︱제도개선 방안 및 지역차별화 전략 김연중︱선임연구위원︱가치사슬 분석 및 정책 개선 김부영︱연구원︱자료수집 및 설문조사 분석 연구보고 R834 시장 개방 확대에 대응한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3/3차년도)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7. 12.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 I S B N︱979-11-6149-100-4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 CIP2018000621)

(3)

리 말

밭농업이 국내 농업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경제적 비중은 계속 확대되었 다. 밭농업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밭농업이 지역경제의 주요 소득원 이 되는 시·군은 밭농업의 생존과 발전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 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밭농업의 생산 구조를 중심으로 ‘경쟁력 강화 방 안’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였을 뿐, 아직까지 지역 단위의 밭농업 대응방안 수립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3개년에 걸친 다년차 연구과제로 1차년도 연구에서 ‘밭농업의 실태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과 정책과제의 구체화’에 초점을 두었다면, 2차 년도 연구는 ‘생산기반 정비, 자원의 효율적 이용, 영세성 보완을 위한 조 직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번 3차년도 연구에서는 밭농업이 발전하려 면 지역 단위에서 ‘소비자 지향의 효율적 공급체계’를 구축해야 된다는 관 점에서 지역별 차별화, 부가가치화 제고 전략, 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우리 밭농업이 직면한 여러 문제점을 푸는 데 조금이나마 실 마리를 제공하고, 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아울러 본 연구 수행에 도움을 주신 여러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4)
(5)

요 약

연구 배경 ○ 수입농산물의 지속적인 증가로 수입산에 의한 국내산 대체가 확대되고 전반적인 공급 과잉으로 인해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밭작물 재배 농가의 소득이 감소함. 이에 따라 근본적인 밭농업 발전 전략 및 경쟁 력 제고 대책의 마련이 요구됨. ○ 본 연구는 3개년에 걸친 다년 연구 중 3차년도 연구에 해당하며, 밭농 업의 소비·수요 측면과 생산 지속성 측면에서 지역별 대응 방식, 부가 가치 제고 전략 등 지역 단위에서의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함. - 1차년도 연구는 ‘밭농업 실태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과 정책과제의 구 체화’에 초점을 두었고, 2차년도 연구는 생산기반 정비, 자원의 효율 적 이용, 영세성 보완을 위한 조직화 방안 등을 심층연구과제로 제시 하였음. ○ 1, 2차년도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밭작물 소비와 관련하여 소비 트렌드 분석 등을 통해 지역 단위의 밭농업 경쟁력 대응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사례 중심으로 경쟁력 제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연구 방법 ○ 다음소프트의 소셜매트릭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요 밭작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함. 분석 방법으로 연관어 분석과 감성 분석을 적용함. ○ 밭농업 경쟁력이 비교적 높은 10개 지역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의 밭작 물 생산 및 출하 시스템을 심층적으로 조사함.

(6)

iv ○ 2015년 농업총조사 자료와 가락동 도매시장 경매가격 자료를 활용하여 농가판매액 증가 요인과 농산물 경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차별화 요 인을 분석함. ○ KREI 소비자패널 1,000명과 KREI 현지통신원 93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함. ○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추진 체계를 살펴보기 위해 프랑스와 이 스라엘을 대상으로 해외 선진지 사례조사를 실시함. 밭작물 소비 및 트렌드 변화 ○ 밭작물 구매 시 소비자들은 주로 신선도, 맛, 향 등 품질과 국내산 여부 를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됨. 생산자 브랜드 및 상표도 고려하지만, 안전 성(GAP 등), 간편성(소포장 등)보다는 후순위임. 또한 소비자는 국내산 여부보다 국내산지를 고려하는 비중이 낮게 나타남. 구분 판매 가격 품질 (신선도) 품질 (맛, 향) 간편성 (소포장 등) 생산자 브랜드/상표 안전성 (GAP 등) 원산지 (국내산 여부) 생산지역 (국내산지) 식량 작물 서류 3.65 4.29 4.27 3.24 3.05 3.47 4.40 3.28 두류 3.63 4.03 3.97 3.43 3.04 3.57 4.41 3.20 잡곡 3.58 3.99 3.90 3.45 3.03 3.54 4.38 3.19 채소류 건고추 3.84 4.21 4.23 3.41 3.44 3.74 4.57 3.55 마늘 3.77 4.40 4.22 3.55 3.39 3.67 4.54 3.56 양파 3.65 4.44 4.17 3.40 3.12 3.58 4.45 3.34 배추 3.80 4.51 4.32 3.32 3.26 3.61 4.52 3.41 무 3.68 4.46 4.27 3.28 3.10 3.56 4.50 3.28 참깨 3.76 4.13 4.15 3.52 3.19 3.65 4.40 3.29 과일류 사과 3.78 4.51 4.56 3.53 3.48 3.74 4.52 3.63 배 3.75 4.53 4.53 3.53 3.46 3.72 4.53 3.59 <밭작물 구매 시 고려 요소(5점 척도)>

(7)

○ 주요 밭작물에 대한 SNS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작물의 브랜드나 생 산단체보다는 맛(식감), 요리법(조리방법, 함께 먹으면 좋은 음식), 효능 에 대한 언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맛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조 리가 용이한 생산 및 유통 시스템이 필요함. 식품 느낌 메뉴 크기 아침 종류 건강 양파 마늘 야채 요리 하루 음식 사진 고기 재료 소스 치즈 저녁 버섯 고추 마트 양파즙 샐러드 양배추 소고기 토마토 채소 설탕 소금 카레 우유 주문 가루 계란 돼지 당근 김치 간장 감자 양념 순위 연관어 건수 1 맛 2,937 2 집 1,856 3 고기 1,752 4 배 1,717 5 밥 1,714 6 소스 1,631 7 마늘 1,609 8 물 1,507 9 재료 1,439 10 개 1,360 <양파의 연관어 분석 결과(예시)> ○ 밭작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유통망으로 온라인 오픈마켓 또는 종합몰 형태의 유통망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 현재 신선식품의 유 통 구조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 또는 모바일 쇼핑몰로 변화하고 있음. - 국내에서는 지마켓, 옥션, 네이버, 카카오 등이 온라인상에서 신선식 품을 판매하며,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은 2007년부터 신선 식품 배송서비스를 시작함. ○ 또한 소비 유형을 고려하여 소포장 및 단순 1차 가공(세척, 절단 등) 등 조리와 섭취가 용이하도록 포장·가공되어 유통될 필요가 있음.

(8)

vi 지역 단위 생산대응 방식 ○ 밭농업의 생산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종묘의 생산 및 보급이 우선되어야 함. 밭농업 시스템화의 가장 우선이 되는 단계로서 병충해와 바이러스 에 강하고 기계화와 연계시켜 수확작업도 용이한 종자와 육묘기술을 확 립해야 함. ○ 해당 지자체의 농기계 임대 지원 관련 정책 시행 시 적극적이고 체계적 인 지원시스템을 확립할 필요가 있음. ① 농가의 공동이용 및 지역 실 정에 적합한 임대농기계 구입, ② 밭농사용 소형농기계와 부속작업기의 구입, ③ 임대농기계 창고 설치, ④ 지게차 등 임대농기계 관리장비 구 입, ⑤ 임대농기계 관리를 위한 전산시스템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 할 필요가 있음. ○ 지방자치단체 등 공적 기능이 HW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이후 의 발전을 위해서는 산지조직의 사업력 등 SW 측면의 혁신이 더욱 중 요함. 지역 주요 취급품목 특징 1 경기 여주 고구마 유통 및 소비와 연계한 밭작물 생산 체계 구축 2 경북 안동 콩 국내산 원료 100% 사용, 전량 계약재배를 통한 가공제품 생산·수출 3 경남 창녕 마늘, 양파 양파 등외품을 활용한 양파즙, 양파국수 가공에 주력 4 경남 남해 마늘, 시금치 마늘 재배면적 확대를 위한 기반정비와 농작업 지원 5 경남 밀양 풋고추 공선출하회를 통한 조직력 강화 6 전남 해남 배추 법인 주도의 일관 생산·가공·유통체계 구축 7 전남 신안 대파 농가 소득 보장을 위한 포전매매계약 중개사업 추진 8 충북 괴산 잡곡 생산물 전량을 생협조합으로 판매할 수 있는 고정 판로 확보 9 충남 서산 감자 생산 단계별 관리를 통한 품질 극대화로 대량 수요처 등의 고정적인 판로 확보 10 충남 부여 시설채소 다품목 통합마케팅 체제 안정화 11 제주 제주 부추, 쪽파 농협을 통한 품질 관리와 계약물 전량 수매·정산(풀무원 납품) 콩 <사례조사 지역의 주요 재배품목과 생산대응 전략>

(9)

○ “생산”[농지 활용, 인력 운용, 기계화 등 생산 체계], “산지유통”[APC 건립, 산지유통조직 육성 등], “6차산업화 등 부가가치화”[가공 지원, 지역생산품 활용, 중소사업체 협력네트워킹]로 구성된 가치사슬을 하나 의 시스템으로 체계화하는 완결적 모델을 추구할 필요가 있음. ○ 지역 단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차별화된 리더십과 리더십에 따른 시장에 서의 신뢰, 조직화, 미래 전망 등과 관련된 구심점의 형성이 중요함. 주 요 품목에 대한 국가의 주도적 역할이 함께 검토되어야 함. 밭농업 부가가치 현황과 성과 ○ 밭농업의 부가가치 구조 특성은 타 산업에 비해 영업잉여의 비중이 높 음. 2014년 기준, 밭농업 부가가치 항목 중에서 영업잉여가 65.8%, 고 정자본소모가 20.0%, 피용자보수가 12.2%의 비중을 차지함. - 타 산업에 비해 피용자보수의 비중이 매우 낮은데, 이는 밭농업의 경 우 대부분 자가노동 혹은 가족노동으로 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임. ○ 농림업의 부가가치 변화 추이를 보면, 영업잉여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 고, 고정자본소모의 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음.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생산액, 부가가치(10억 원) 총부가가치 비중(%)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5 2.5 0 총부가가치 비중 농림업 부가가치 농림업 생산액 <농림업 생산액 및 GDP 대비 부가가치 비중>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업생산액 및 생산지수」. 한국은행 국민계정.

(10)

viii ○ 농산물판매액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한 결과, 생 산자조직 참여가 농축산물 판매액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남. - 특히 지역특산물 판매, 직판장 운영 등을 통한 농산물 직거래는 중간 유통 비용을 줄임으로써 농가의 부가가치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요약 및 시사점 1> 지역 단위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 R&D 기획 단계부터 지자체-연구기관-농가조직이 연합하여 현장수요 중심의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추진함. 밭농업의 생산기반 조성을 위해서 는 지역 여건에 적합한 종묘의 생산·보급이 우선되어야 함. 실례로 여 주시와 농촌진흥청, 경기도농업기술원 등이 공동으로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를 생산하여 노동력과 농가경영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데 기 여함. ○ 소비 유형을 고려하여 조리와 섭취가 용이하도록 소포장 및 단순 1차 가공(세척, 절단 등)하여 유통함. 최근 소포장은 기본이고, 혼합과일세 트 및 밀키트(Meal Kit) 등 기획상품 매출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 품화 전략으로 단순한 원물을 유통하는 단계를 넘어 신선편이 식품 또 는 가공 등의 상품을 개발함. ○ 신선도 유지가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온라인 중심의 콜드체인

시스템(Cold Chain System) 유통망을 구축함. <요약 및 시사점 2> 정부 차원의 제도개선 방안

○ 중앙 집중 R&D 조직의 지역 분산으로 현장 밀착 연구가 가능하도록

개편함.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 후 보급·확산하는 단선적 체계가 유지됨

으로써 다양한 연구 및 확산 수요(보급과 사업화)를 충족하지 못하고

(11)

여 지역에 특화된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기관-영농지도-농가” 3자 연 대를 통해 현장수요 중심의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보다 실효성 있는 농산물 품질보증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설문조 사 결과, 우리나라의 GAP 인증, 친환경 인증, 농산물이력추적 관리 인 증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높지 않고, 지자체의 품질인증 제도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프랑스의 농산물 품질보증 체계와 같이 보다 엄격하고 소비자에게 친숙한 품질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농 산물 품질 보증으로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 향으로 접근해야 함.

(12)

x

ABSTRACT

A Study on Improving Dry-field Farming Competitiveness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Market Opening (Year 3 of 3)

Background of Research

○ In this three-year study, the first-year study focused on objective

aware-ness of the current status of dry-field farming and the concretization of policy tasks. The second-year study presented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base, the efficient use of resources, ways to organize farms in order to supplement their small scale as tasks for in-depth research.

○ The overall oversupply has decreased field crop prices, and with a

con-tinuous increase in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more imports have replaced domestic products. This has led to a fall in field crop farms' income. Therefore, it is needed to prepare fundamental strategies to de-velop dry-field farming and measur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 The third-year study presents ways to increas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of dry-field farming, including regional countermeasures and strategies to improve value added in terms of consumption, de-mand and production sustainability of field crops.

○ For the development of dry-field farm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icient, consumer-oriented supply system.

- This study suggests concrete way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dry-field farm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first- and second-year studies. Particularly, this third-year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gional responses for the competitiveness of dry-field farming by an-alyzing trends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field crops, and draws ways to enhance competitiveness by focusing on concrete cases. - While the existing methods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dry-field farming have mainly concentrated on cutting costs and im-proving efficiency on the production side, this study derives ways to

(13)

enhanc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of dry-field farming in consid-eration of consumption and demand.

Methods of Research

○ To analyze consumers' preference related to consumption trends,

key-word analysis was conducted. As keykey-word analysis, related key-word analy-sis and sentiment analyanaly-sis were carried out. This study utilized social metrics provided by Daumsoft.

○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10 regions to identify cases of regions

that are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dry-field farming, and to re-view ways to establish a regional field crop production and shipment system.

○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including analyzing factors in an

increase in farms' sales and analyzing the impact of a differentiation factor on agricultural auction prices by using data from the 2015 Agricultural Census and auction price data of the Garak-dong Wholesale Market.

○ A survey was conducted for producers and consumers.

- The KREI consumer panel of 1,000 people was surveyed to identify purchase and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s,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the products, awareness of brands and certification systems, etc.

- Also, 934 KREI local correspondents were surveyed to identify major activities and difficulties by farming activity in the value chain stage, demand for policy support, etc.

○ To examin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s for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case studies on two advanced countries, France and Israel, were performed.

- In France, the following were investigated: the production situ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 quality assurance system, marketing strategies, methods to operate organizations of producers and business operators, and so on.

(14)

xii

- In Israel, the study focused on the performance and policy situation of investment in agricultural R&D.

Changes in Consumption and Trends of Field Crops

○ According to the survey, when purchasing field crops, consumers

main-ly valued quality such as freshness, taste, and fragrance, and whether they are domestic products.

- Consumers also consider brands, but they are less considered than safety (GAP etc.) and convenience (small packaging etc.). In addi-tion, while consumers value whether field crops are domestic prod-ucts, the proportion of those considering domestic producing areas was relatively low.

○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keywords by utilizing SNS big data

on major field crops, taste (texture), cooking tips (recipes, foods good to eat together), and effect were mentioned more than particular brands or producer groups.

-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duce and distribute products whose taste and freshness can be maintained and whose recipes are easy.

○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taste (texture) of field crops that

consum-ers want as well as to provide it.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distribution net that can maintain freshness.

- The global e-commerce company Amazon launched AmazonFresh, the fresh food delivery service in 2007, and has delivered groceries in 24 hours after purchase. In Korea, Gmarket, Auction, Naver, Kakao and so forth sell fresh food. That is,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fresh food is changing from offline to online, and producers need to seek ways to use this distribution net.

○ In consideration of consumption types, small packaging and simple

pri-mary processing (washing, cutting, etc.) for easy cooking and intake are necessary.

(15)

Regional Production Methods

○ To create the production base of dry-field farming, it is needed to first

produce and disseminate seeds.

- This is the most urgent stage for the systematization of dry-field farm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for raising seeds and seedlings resistant to pest, disease, and viruses, and for easy harvest through mechanization.

○ Local governments should build active and systematic support systems

for agricultural machine rental support policies.

- For this, it is required to consider 1) jointly using agricultural ma-chines among farms and purchasing agricultural mama-chines for rental that suit regional situations, 2) purchasing small agricultural machines and attachments for dry-field farming, 3) building warehouses for ag-ricultural machines for rental, 4) purchasing equipment for managing the machines including forklifts, and 5) creating a computing system to manage agricultural machines for rental, and so on.

○ The public function, including local governments,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hardware. However, for future development, it is more im-portant to innovate software such as the business ability of organ-izations in producing areas.

- In planning and marketing, the role of organizations in producing areas has become more important.

○ It is needed to pursue a model that systematizes a value chain centered

on production (the production system including farmland use, workforce use, and mechanization), distribution in producing areas (establishing APCs, nurturing distributing organizations in producing areas, etc.), and creation of value added such as the sixth industrialization (processing support, use of local products, and cooperative networking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Using only one strategy is not effective. Efforts for innovation are in progress in all sectors including production, processing, creation of value added, and marketing. Although there are major strategic areas,

(16)

xiv

all sectors of the value chain of major products are making efforts for innovation.

○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regional leadership, and form the pivot

related to trust in products in the market, the organizing of farmers, the future outlook, etc. through the leadership. It is required to review the government's leading role for major products.

- Regional diversifi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risk management ability are important. Local governments also need various efforts.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of Value Added of Dry-field Farming

○ As for the value added of dry-field farming, the proportion of operating

surplus is higher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s of 2014, operating surplus accounts for 65.8% of value added items of dry-field farming, consumption of fixed capital 20.0%, and compensation of employees 12.2%.

- The proportion of compensation of employees is very low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reason is that field crops are produced mostly through self-labor or family labor.

○ As for the trends of changes in the value added of agriculture and

for-estry, the proportion of operating surplus has decreased gradually, while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fixed capital has been on a gradual increase.

- The reason is that value added has increased through fixed capital in-vestment, including large agricultural tools and farming-related facili-ties, for a more advanced profit structure of dry-field farming since the Uruguay Round.

○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the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r organizations'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n increase in the sales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 In particular, direct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sell-ing local specialties and operatsell-ing direct sales stores have a positive

(17)

effect on improving farms' value added by reducing distribution costs.

○ KREI local correspondents were surveyed concerning how much

activ-ities in each stage of the agricultural value chain contribute to enhanc-ing value added.

- In the input of production factors and production,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were developing differentiated varieties and managing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In selection, processing, packaging and distribution sectors,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developing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and increasing direct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were important. In the sales sector,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sales methods such as the Internet and direct transaction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is-tribution market. Last, in the consumption sector, the most important activity was building consumer trust through quality standardization etc.

- As for policy support activities that help to increase the value added of dry-field farming, the survey showed the highest demands for the "mechanization support project for dry-field farming" and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base of dry-field farming" regarding organizing farmers and scale-up.

○ The survey result on the present state of the use of agricultural brands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brands is 5,291 as of 2014, a 65% in-crease from 1999. This indicates that local governments and producer organizations have actively developed differentiated brand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sales strategies.

- Nevertheless, overall consumers have a low level of awareness of field crop brands except for fruit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re-sponded the reason is that they cannot tell the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branded agricultural products and general ones. In fact, an analysis of auction price data of the Garak-dong Wholesale Market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auction prices of major producing areas and non-major producing area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major producing areas do not have brand premiums.

(18)

xvi

Summary and Implications 1: Ways to Enhance Regional Competitiveness of Dry-field Farming

○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echnologies centered on

field demand by uniting local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ions, and farmers' organizations from the R&D planning stage.

- To create the production base of dry-field farming, it is needed to first produce and diffuse seeds that suit regional conditions. For ex-ample, the city of Yeoju produced virus-free sweet potato seedlings jointly wit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thereby saving labor and farm operating costs considerably.

○ An active and systematic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agricultural machine rental support policy.

- For this, it is required to consider 1) jointly using agricultural ma-chines among farms and purchasing agricultural mama-chines for rental that suit regional situations, 2) purchasing small agricultural machines and attachments for dry-field farming, 3) building warehouses for ag-ricultural machines for rental, 4) purchasing equipment for managing the machines including forklifts, and 5) creating a computing system to manage agricultural machines for rental, and so on.

○ A workforce support project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each region

can solve the problem of agricultural labor shortage autonomously. - In Namhae-gun, Saenamhae Agricultural Cooperative is operating a

garlic growing workforce support project as its own business that highlight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ooperative operates a garlic farming support group; the administration covers 50% of the expenses, the cooperative 10%, and farm households 40%. Changnyeong-gun also runs a manpower bank.

○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for organizing

farmers that enable cooperation and solidarity of various actors in each region.

(19)

farmers should be organized first. Whether a region has a leader who can lead organizing farmers can affect the competitiveness of dry-field farming in the region. Therefore, different regions need dif-ferentiated, diverse forms of leadership.

○ In consideration of consumption types, small packaging and simple

pri-mary processing (washing, cutting, etc.) for easy cooking and intake are necessary.

- Recently, in addition to the trend of small packaging, the sales of spe-cial offer products have increased, including mixed fruit sets and meal kits. Thus, it is required to develop fresh-cut or processed products beyond the stage of distributing original products as a commercializa-tion strategy.

○ Maintaining freshness is an important task;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nline-centered distribution net of the cold chain system. -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fresh food is changing from offline to

online, and producers need to seek ways to use this distribution net.

○ It is needed to manage regional joint brands by enacting ordinances in

cities and counties.

- Each city/county should strictly manage quality by specifying quality control standards in ordinances. Goodtrae of Buyeo-gun is a repre-sentative success case of regional brand marketing. Buyeo-gun enact-ed ordinances to thoroughly control the quality of Goodtrae products, and has selected actors for managing the brand. Also, farmers who participate in brand agriculture receive differentiated support.

Summary and Implications 2: Ways to Improve the Government-level System

○ The existing centralized R&D organizations should be dispersed to

re-gions to enable field-based research.

- The unilinear system with dissemination and diffusion after govern-ment-led R&D has not satisfied demands for a variety of research and diffusion (dissemination and commercialization). Major developed countries (the US, Japan, and Israel) have regional research centers

(20)

xviii

for research suitable for specialized regional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echnologies centered on field de-mand through the three-party solidarity of a research institution (ARO), agricultural extension (SHAHAM), and farms.

○ It is needed to introduce a seasonal foreign worker program.

- It is important to increase short-term labor supply through regional manpower banks or manpower support projects. However, it is also required to provide information to create an efficient and transparent workforce market. To this end, a seasonal foreign worker program can be considered by referring to a Swiss case.

○ For a temporary response to the Korea-China FTA, the account for

im-proving major producing areas should be switched from the regional balance special account to the special account for rural areas.

- It is needed to avoid uniform project implementation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set up region-centered development plans, and se-lect base improvement methods that suit the plans by considering the regionality of dry-field farming. Nevertheless, government-led im-plementation is necessary to secure stable finances. It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creating production conditions of high val-ue-added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establishing the minimum farming base.

○ It is required to build a system for supporting the purchase of domestic

ingredients of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 The purchase costs of domestic ingredients are higher than those of imported ingredients. To lessen the burden,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exporting agricultural enterprises that process domestic ingredients. It is necessary to expand support for ingredient-purchas-ing funds, distribution costs for export, marketingredient-purchas-ing and so on for ex-porting enterprises that use domestic ingredients.

○ An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assuranc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21)

certification of GAP,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agricultural products traceability management, and consumer trust in local gov-ernments' quality certification systems is low. It is required to en-hance the value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create value added by in-troducing a stricter quality assurance system familiar to consumers, as in France.

Researchers: Chae Gwangseok, Kim Hongsang, Kim Yeanjung, Kim Booyoung Research period: 2017. 1. ~ 2017. 12.

(22)
(23)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선행연구 검토··· 5 4. 연구 범위··· 10 5.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13 제2장 밭작물 관련 소비 및 트렌드 변화 분석 1. 농산물 주요 소비시장 변화··· 17 2. 국내 밭작물 소비 트렌드 변화··· 20 3. SNS 빅데이터를 활용한 밭작물 소비자 분석··· 26 4. 시사점··· 46 제3장 소비 변화에 대응한 지역 단위 밭농업 대응 방식 1. 주요 밭작물 생산 및 유통구조 변화··· 49 2. 지역 단위의 생산 대응 방식 형태··· 54 3. 사례지역 현장 조사··· 56 4. 시사점··· 87 제4장 밭농업 부가가치 현황과 성과 분석 1. 주요 품목별 부가가치 및 수익 구조 변화··· 91 2. 농가판매액 증가에 미치는 요인 분석··· 95 3. 가치사슬 관점에서의 밭농업 실태 및 애로사항··· 101 4. 지역별 농산물 브랜드 현황과 성과··· 108 5. 시사점··· 115

(24)

xxii

제5장 요약 및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119

2. 결론: 정책 및 제도 개선 방안··· 124

(25)

표 차례

제1장 <표 1-1> 주요 품목류별 생산지수 변화 추이··· 4 <표 1-2> 2010년 대비 2015년 농업생산지수 증가율 순위··· 11 제2장 <표 2-1> 식료품 주 구입처별 선택 이유(2013년 vs 2016년) ··· 22 <표 2-2> 밭작물 구매 시 고려 요소(척도 평균) ··· 26 <표 2-3> 분석대상 품목··· 27 제3장 <표 3-1> 주요 노지채소 재배면적 변화··· 50 <표 3-2> 마늘 주산지(상위 7개 시·군) 재배면적 변화··· 51 <표 3-3> 양파 주산지(상위 7위 시·군) 재배면적 변화··· 51 <표 3-4> 주요 시설 재배면적 변화··· 52 <표 3-5> 현장 사례조사의 주요 취급품목과 특징··· 57 <표 3-6> 현장 사례조사의 주요 조사항목··· 58 <표 3-7> 여주시 서류와 고구마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 (2011~2015) ··· 59 <표 3-8> 안동시 식량작물 생산량 변화(2011~2015) ··· 62 <표 3-9> 안동시 두류와 콩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 (2011~2015) ··· 62 <표 3-10> 창녕군 채소류의 생산량 변화(2011~2015) ··· 65 <표 3-11> 창녕군 양파, 마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 (2011~2015) ··· 66 <표 3-12> 남해군 주요 조미채소류와 엽채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1~2015) ··· 68

(26)

xxiv <표 3-13> 새남해농협 영농지원단 작업내용 및 단가··· 69 <표 3-14> 밀양시 풋고추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2012~2015) ···· 70 <표 3-15> 해남군 엽채류와 배추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 (2011~2015) ··· 72 <표 3-16> 신안군 시금치와 대파 재배농가 현황(2017년) ··· 74 <표 3-17> 괴산군 잡곡과 옥수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 (2011~2015) ··· 76 <표 3-18> 서산시 고추, 양파, 마늘의 생산면적 및 생산량 변화 (2011~2015) ··· 78 <표 3-19> 부여군 산지유통 통합마케팅 조직 현황··· 80 제4장 <표 4-1> 주요 밭농업의 총투입 구조변화··· 93 <표 4-2> 주요 밭농업의 부가가치 구성요인별 중간투입 구조변화·· 94 <표 4-3> 주요 품목의 부가가치 변화··· 95 <표 4-4> 경영형태별 농가판매액 분포(2015년 농업총조사 기준) ··· 96 <표 4-5> 분석자료 기초통계량··· 97 <표 4-6> 식량작물 재배농가의 농산물 판매액 결정요인 분석결과·· 99 <표 4-7> 채소류 재배농가의 농산물 판매액 결정요인 분석결과·· 100 <표 4-8> 가치사슬 단계별 밭농업 부가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는 정도··· 103 <표 4-9> 가치사슬 단계별 영농활동을 수행하는 데 애로 정도··· 104 <표 4-10> 밭농업 관련 원료조달(종자, 농자재 등) 및 농업생산 시 중요한 요소(1, 2순위) ··· 105 <표 4-11> 밭농업 관련 농산물 생산 및 유통 조직화의 저해 요인··· 105 <표 4-12> 밭농업 관련 농산물 판매 시 어려운 점(1, 2순위) ··· 106 <표 4-13> 생산자가 속한 작목반/영농법인에서 가공공장 운영 시 겪는 문제점··· 106

(27)

<표 4-14> 정책지원 활동별 밭농업 부가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는 정도··· 107 <표 4-15> 농산물 브랜드 현황··· 108 <표 4-16> 시·도별 브랜드 현황··· 109 <표 4-17> 품목별 브랜드 등록 현황··· 109 <표 4-18> 밭작물 품목별 소비자의 품목 브랜드/지역 공동브랜드 인식 비율 및 인식 경로··· 110 <표 4-19> 밭작물 품목별 소비자의 식품 구매 시 브랜드 고려 비율 및 고려/비고려 이유··· 111 <표 4-20> 농산물 브랜드화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 112 <표 4-21> 밭작물 구매 시 상표/브랜드별 품질 및 안전성 차이 체감 정도··· 112 <표 4-22> 농산물 브랜드화에 대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의견··· 113 <표 4-23> 양파의 경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114

(28)

xxvi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1>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12 <그림 1-2> 연구 추진체계도··· 13 제2장 <그림 2-1> 1인당 연간 식품공급량 추이(1990~2015) ··· 17 <그림 2-2> 품목별 식품공급량 추이(1990~2015) ··· 18 <그림 2-3> 채소류 및 과일류 월평균 가계지출 추이(1990~2016) ·· 19 <그림 2-4> 품목별 월평균 가계지출 추이(1990~2016) ··· 20 <그림 2-5> 식료품 주 구입처(2013년 vs 2016년) ··· 21 <그림 2-6> 채소류 구입 시 고려요인(2013년 vs 2016년) ··· 23 <그림 2-7> 채소류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2013년 vs 2016년) ··· 23 <그림 2-8> 과일류 구입 시 고려요인(2013년 vs 2016년) ··· 24 <그림 2-9> 과일류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2013년 vs 2016년) ··· 25 <그림 2-10> 연관어 분석결과(고구마) ··· 29 <그림 2-11> 긍정·부정감성어 순위(고구마) ··· 29 <그림 2-12> 연관어 분석결과(감자) ··· 30 <그림 2-13> 긍정·부정감성어 순위(감자) ··· 31 <그림 2-14> 연관어 분석결과(잡곡) ··· 32 <그림 2-15> 긍정·부정감성어 순위(잡곡) ··· 32 <그림 2-16> 연관어 분석결과(토마토) ··· 33 <그림 2-17> 긍정·부정감성어 순위(토마토) ··· 34 <그림 2-18> 마늘과 양파의 연관어 교집합 현황··· 35 <그림 2-19> 연관어 분석결과(마늘) ··· 36 <그림 2-20> 긍정·부정감성어 순위(마늘) ··· 36 <그림 2-21> 연관어 분석결과(양파) ··· 37

(29)

<그림 2-22> 긍정·부정감성어 순위(양파) ··· 37 <그림 2-23> 연관어 분석결과(대파) ··· 38 <그림 2-24> 연관어 분석결과(쪽파) ··· 39 <그림 2-25> 긍정·부정감성어 순위(대파) ··· 39 <그림 2-26> 긍정·부정감성어 순위(쪽파) ··· 40 <그림 2-27> 연관어 분석결과(고추) ··· 41 <그림 2-28> 긍정·부정감성어 순위(고추) ··· 41 <그림 2-29> 연관어 분석결과(배추) ··· 42 <그림 2-30> 긍정·부정감성어 순위(배추) ··· 43 <그림 2-31> 연관어 분석결과(부추) ··· 44 <그림 2-32> 긍정·부정감성어 순위(부추) ··· 44 <그림 2-33> 연관어 분석결과(버섯) ··· 45 <그림 2-34> 긍정·부정감성어 순위(버섯) ··· 46 제3장 <그림 3-1> 밭작물 재배면적 변화··· 49 <그림 3-2> 주요 품목별 유통경로··· 53 <그림 3-3> 니껴바이오 농업회사법인의 주요 생산제품··· 63 <그림 3-4> 부여군 굿뜨래 로컬푸드 종합유통센터··· 81 제4장 <그림 4-1> 농림업 생산액과 부가가치 추이 변화··· 91 <그림 4-2> 농산물의 가치사슬 구조··· 101

(30)
(3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이 연구는 3개년에 걸친 다년 연구로 1차년도 연구에서 ‘밭농업의 실태 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과 정책과제의 구체화’에 초점을 두었다면, 2차년도 연구는 ‘생산기반 정비, 자원의 효율적 이용, 영세성 보완을 위한 조직화 방안 등을 심층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1차년도 초기 연구계획에서 3차년 도 심층연구과제로 지역별 차별화 전략, 새로운 시장 개척 및 고부가가치 화 전략, 효율적 정책 및 지원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김홍상 외 2016). 1차년도 연구에서는 밭농업의 구체적인 현황과 실상 파악을 위해 농지 이용 및 밭농업의 구조 변화 분석, 밭농업 경쟁력 실태 분석, 밭농업의 성 장요인 및 주산지 효율성 분석, 농업경영체의 밭농업 인식 조사 등을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밭농업 경쟁력 제고를 정책기조 전환(인식의 전환)과 정책성과 제고 과제로 구분하고, 우선적인 정책성과 과제로 기반 정비, 안 정적 노동력 확보, 주산지 중심 정책의 성과 제고를 위한 조직화 및 자원 투입 효율성 제고 등을 제시하였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밭농업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필요한 다양한 측면 중 생산·공급 측면과 관련된 인력 부족 문제 해소 및 기계화, 기반 정비, 조직화 등의 과제를 심층 분석하여 정책 및 제도 개선 과제를 도출하였다 (김홍상 외 2016). 먼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의 밭작물 품목별/월별/작업단계별 체계적인 노동력 공급 기반을 조성하고, 기반 정비

(32)

2 서론 사업은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확대정책에서 벗어나 시설의 안정적 이용·관리 능력을 갖춘 지역의 현장 수요를 중심으로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기반 정비 사업의 경우 시·군 단위 농발계획, 원예산업발전계획 등을 고려 하여 중장기 공동경영체 육성계획과 연계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3차년도 연구는 지역별 차별화, 부가가치화 제고 전략, 정책 및 제도개 선 방안 등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3차년도 연구에서는 밭농업 의 소비·수요 측면과 생산 지속성 측면에서 지역별 대응방식, 부가가치 제 고 전략 등 당초 1차년도 연구계획서상의 주요 연구 내용으로 구성하되, 구체적으로 지역 단위에서의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중심으로 접근하 였다. 1, 2차 연구에서는 주로 농업경쟁력 제고 관점에서 밭농업의 생산 구조 를 중심으로 ‘경쟁력 강화 방안’에 주력하였다. 하지만 생산 측면에서 기계 화 및 기반 정비 촉진으로 생산비를 절감하더라도 밭작물 수출 경쟁국 수 준으로 대외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1차년도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경영비는 중국의 4.3배, 생산비는 3.4배로 나타나는 데, 주로 토지임차료, 기타제재료비, 고용노동비 등에 의한 차이에 기인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밭작물 농가의 소득이 감소한 것은 전반적인 공급 과잉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고, 수입농산물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수입산의 국내산 대체가 확 대되었기 때문이다(김홍상 외 2015). 향후 지속적으로 시장 개방이 확대되 는 상황에서 근본적인 밭농업의 발전 전략, 경쟁력 제고 대책의 마련이 요 구된다. 1, 2차 연구에서 밭농업 기반 정비와 기계화 기반 등의 구축뿐만이 아니라 주산지 조성, 농업인 조직화 등 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인 정책 틀을 제시하였다. 해당 산업의 경쟁력은 시장과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는데, 포터(Porter)에 의하면 소비자의 선택은 소비자 가치, 즉 “소비자 평가-지불가격”에 의해 좌우된다(이용선 외 2012). 그 동안 국내 밭작물의 경쟁력을 생산비 관점에서 중국, 미국 등의 경쟁국과 비교하거나 품질 등 일부 상품적 특성을 기술적으로 비교하는 연구가 시도되었다. 밭농업 경쟁

(33)

력이 품목이나 상품 유형, 소비 형태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생 산액이나 농가 규모가 큰 품목의 생산 경쟁력 제고나 대책 수립에 기존 연 구와 정책적 관심이 치중되었다. 밭농업이 국내 농업과 농촌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경제적 비중은 계 속 확대되고 있지만, 국가 및 지역 단위의 총체적 대응전략 수립은 현재 미흡한 수준이다. 밭농업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하는 차원에서 식량 자급 기반 구축, 밭농업의 구조 혁신, 미래성장 동력 기반 구축, 밭농업 안 전망 구축 등을 도모하고, 농업 부문에서 새로운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 출하는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김홍상 외 2015). 통계청에 따르면, 쌀의 생산 수준만 감소한 것이 아니라 과일류를 제외 한 대부분의 주요 밭작물(식량작물(쌀 제외), 채소류, 특작류, 화훼류 등)의 생산 수준이 감소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전 세계적인 농산물 수급 불 안과 가격 급등으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지 만, 국내 식량 생산기반은 소비자의 식생활 소비 패턴에 효율적으로 대응 하지 못하면서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량자급률은 1975년에는 73% 수 준에 이르렀으나 2015년에는 24% 수준으로 하락하고, 농지이용률도 지속 적으로 하락 추세이다. 따라서 식량안보 차원에서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생산 측면에서 나타나는 불리한 여건은 밭농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호의 적이지 않으며, 특히 주산지 중심의 전문화된 특화작목이 없는 지역의 경 우 대응전략 마련이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밭농업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 지면서 지역경제의 주요 소득원이 되는 시·군 단위의 경우, 밭농업의 생존 과 발전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밖에 없고, 소비자의 요구 에 부응하는 농산물의 생산과 판매만이 농산물 시장 개방 시대에 바람직한 대응 방안이 된다. 우리 농정은 지금까지 생산(기반 조성), 유통, 소비, 수· 출입 등 각 단계별로 비용 절감을 통한 소득 증대 방안에 주력해 왔다.

(34)

4 서론 <표 1-1> 주요 품목류별 생산지수 변화 추이 구분 2000 2005 2010 2015 재배업 113.9 108.6 97.6 97.5 식량작물 117.7 109.7 95.4 95.5 미곡 118.1 106.5 95.9 96.6 맥류 128.3 156.6 87.5 76.5 두류 102.6 149.8 85 84.6 서류 112.2 120.3 99.9 94 채소류 122.5 114.7 96.8 102.7 과실류 92.9 100.8 96.3 104.2 특작류 147.3 121.5 110.5 131.7 화훼류 109.7 146.3 113.4 49.4 주: 생산지수는 2009~2010년의 생산량을 100으로 하여 각 연도 상대적인 생산량을 %로 나타냄.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림생산지수. 그러나 밭농업이 발전하려면 ‘소비자 지향의 효율적 공급체계’를 구축해 야 한다(김홍상 외 2015). 그러기 위해서 밭농업 생산자는 소비지 시장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의 주요한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밭작물 관련 소비 행태가 가격 중심에서 안전성과 환경을 고려한 품질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사회경제 구조 변화의 관점에서 보면, 늘어나는 단독세대주, 여성의 사회진 출 확대, 교육 및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구매방식의 변화를 낳고 있다. 따라 서 이러한 밭작물 원물 소비에 대한 사회경제적 구조 변화를 파악하여 가치 사슬과 연계한다면 부가가치를 새로이 창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지 시 장의 구매패턴 변화를 반영하는 적절한 대응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 다. 이러한 점에서 농산물 시장 개방하에서 변화된 소비 및 유통 환경에 대 응한 지역 단위의 밭농업 발전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35)

2.

연구 목적

1, 2차년도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구체화하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는 밭작물 소비와 관련하여 소비 트렌드 분석 등을 통해 지역 단위의 밭농업 경쟁력 대응이 가능한지를 살 펴보고, 이를 통해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경쟁력 제고 방안을 도출하고 자 한다. 지역 단위의 밭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부가가치 제고 및 지역 차별화 전략 등의 과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특히, 밭작물의 경우 지역 적으로 생산조건 및 수요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시장개방화에 대응하여 지역 단위 밭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는 밭농업의 농업경쟁력 제고 방안에 있어 주로 생산 측면의 비 용 절감 및 효율성 제고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본 연구는 밭농업의 소비· 수요 측면을 고려한 지역 단위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다. 품목 또는 품목류별, 지역별 차별화 및 부가가치 제고 방안 연구는 기 존에 시도되었지만, 지역 단위에서 밭농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 합적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못하였다.

3.

선행연구 검토

3.1. 밭작물 소비 관련 선행연구

이용선 외(2012)는 구입품목 수, 구입 시 확인사항, 주요 과종별 선호규 격, 품질 특성별 중요도와 만족도 등을 중심으로 과일류 선호도와 구입 행 태를 분석하였다. 한편, 농촌진흥청(2014)은 소비자패널의 과일류와 과채 류 구입 실태를 조사하고 국내산 과종의 구입패턴을 분석하여 발표하였다. 이용선 외(2014)는 수입 과일이 본격적으로 수입된 2000년 이후 어떤 요

(36)

6 서론 인에 의해 과일류 소비 변화가 초래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과 일 소비상의 경합관계가 국내산 과일·과채와 수입 과일의 소비구조에 어떻 게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파악하였고, 소비 변화에 대한 경제적 요인 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을 계측함으로써 어떤 요인이 과일 소비 변화 를 주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우리나라의 밭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수급 분석과 전망 연구는 농촌경제 연구원을 주축으로 그동안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주로 품목을 중심으로 전망과 정책 개선방향 제시 정도로 이루어졌다. 김병률 외(1997)는 원예특 용작물 품목 전반에 대한 중장기 수급 분석 및 전망과 정책방향에 대해 종 합적인 접근이 처음 이루어진 연구이다. 수급 분석 및 전망과 함께 정부에 서 추진하고 있는 원예특작 경쟁력 제고 대책의 추진 성과와 문제점을 분 석하여 부문별, 산업별 정책방향과 중점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 에서는 연구대상 산업을 일반채소(노지채소), 시설채소, 과수, 화훼, 특용작 물(버섯, 인삼)로 구분하여 품목별 수급 분석과 중장기 전망을 살폈고(중기 1998~2004년, 장기 2005~2010년), 산업별, 품목별 수급전망은 시계열자료 를 이용한 예측과 KREI의 총량분석모형을 통한 예측이 이루어졌다. 한석호 외(2016)는 원예특작품목의 수급 및 유통 현황을 기반으로 품목 별 재배면적, 생산량, 소비량, 수출입, 경지이용구조 등 수급구조 변화를 분석 및 전망하여, 중장기 품목별 필요 경지면적을 추정하고, 품목부류별 수급정책 수립에 활용하였다. 한편, 윤석원 외(1999)와 오호성 외(2000)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 자의 구매의향 행태에 관한 설문조사 AIDS 모형 등을 이용하여 친환경농 산물에 대한 지불의사를 추정하였고, 김창길 외(2005)와 김창길 외(2008) 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와 구매 행태 분석을 통해 친환경농 산물 소비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농산물의 잠재적 수요 추정과 소득계층별 가격 프리미엄 등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밭작물 소비 관련 연구는 농산물 소비 관련 선호나 개별 대상 품목의 구입 행태 등의 조사로 한정되어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계임 외(2016)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37)

사용하여 트렌드 분석을 하였으나, 분석 대상이 식품 소비에 한정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3.2. 부가가치 제고 전략 관련 선행연구

먼저, 조직화 및 계열화를 통한 농업 부문 가치창출 연구로 황의식·채광 석·조용원(2009)은 수평적 조직화와 수직적 계열화를 바탕으로, 가치창출을 위한 전략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호근(2005)은 경쟁력 제 고를 위한 수직 통합조직의 사례를 분석하여 경쟁력 제고 효과를 제시하였 다. 한편, 최지현 외(2007)는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농산물 생산, 가공, 유통뿐만 아니라 외식 등과의 연 계성을 높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 로 농업 부문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산지와 식품산업 간의 지속적인 거래 시스템 구축, 소비자 수요를 반영한 품질 관리 및 공급 물량 확보, 차 별화를 통한 농식품 소비확대 확대와 관련 인프라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농업 부문 가치창출을 위한 가치사슬 연구로 박현태 외(2009)는 가치사 슬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주요 작물별 가치사슬 구조를 살펴보았다. 투 입에서 생산, 선별·저장·가공·물류, 마케팅까지 단계별 실태 분석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나, 지원활동에 대한 성과는 제시하지 못하였 다는 한계가 있다. 김연중 외(2010)는 주요 작목(쌀, 시설토마토, 느타리)의 생산에서 최종 소비단계까지를 생산단계, 유통단계(선별·포장·가공·물류단 계), 판매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 가치실현 실태와 문제를 분석하여, 개 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시사점이 크다 할 수 있다. 가치 사슬 모델을 토대로 주요 품목(쌀, 시설토마토, 느타리)을 대상으로 단계별 가치증대 효과를 분석하고 중간소비자의 비용 절감과 부가가치 창출, 최종 소비자의 효용 증대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방 안은 본 연구에서 확장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창곤(2013)은 인삼 산 업에 한정하여 재배·생산 부문, 농가경영 부문, 유통·가공 부문, 수출 부문

(38)

8 서론 등 부문별 실태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현안을 도출하였고, 개선과제별 발 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밭작물을 대상으로 김연중 외(2010)의 가치사슬 분 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다만, 성공한 고부가가치 사례와 설문조사를 통해 각 단계별 정책 개선방안을 도 출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점은 기존 선행연구 대비 차별성으로 부각될 수 있다.

3.3. 농산물 지역차별화 전략 관련 선행연구

지역농업 활성화 차원에서 지역특화농업 육성 연구로 박문호 외(2007)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지역 영농조직 발전을 위해서는 사업을 다각화해야 하 며, 경영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킹을 통한 연계가 필요하다 고 주장하였다. 지역농업 관련 연구는 주로 조직화라는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 다. 지역특화 농업의 육성을 위한 조직화 수단으로 도입된 ‘지역농업 클러 스터’에 관한 연구는 김정호 외(2004)에서 처음 제시되었고, 이후 박석두· 박경철·김태연(2005)의 복분자 클러스터, 박문호 외(2005)의 녹차 클러스 터 등의 사례연구가 수행되었다. 박문호 외(2009)의 연구에서 지역농업 육 성을 위한 농가 조직화의 관점에서 주체 유형별 실태를 분석하여 지역농업 조직화의 추진주체 확립방향과 육성방안을 모색하였다. 농산물 브랜드는 경쟁 농산물과 구별하는 차별화 수단으로 관련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성명환 외(1997)는 지리적 표시제의 도입 방안을 통해 시장 개방에 대응하여 외국산 농산물에 대한 국산 농산물의 차별화 방안을 제시 하였다. 김철호 외(2000), 이순석·이상덕·김용희(2003)는 쌀을 대상으로 소 비자의 인식 및 반응 분석을 실시하여 브랜드 쌀의 판매 전략을 제시하였 다. 허무열 외(2001)는 이항선택모형을 통해 쌀의 소비자의 효용을 분석하 고, 국내쌀과 외국쌀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시장 개방에 대응한 정책

(39)

방안을 제시하였다. 많은 농산물 브랜드가 난립하여 소비자가 우수한 농산 물을 분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설문조사를 통한 농산물 브랜드의 자산적 가치 연구(권용덕 2009; 박성호·김완배 2009) 및 성공요인(권기대·김신애 2011)을 분석한 연구도 있었다. 브랜드를 활용한 농산물 차별화 방안 연구는 일부 농산물(쌀, 축산물)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이 이루어졌고, 지역 단위의 차별화 실태와 성과에 대 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서종혁 외(1997)는 농산물 차별화와 관련한 문헌조사 및 국내 실태 조사를 통해 차별화 수단을 제시하였다. 지 리적 명칭이나 향토 지적재산의 발굴 등과 같은 지역 농산물의 차별화 수 단을 활용하여 성공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3.4. 밭농업 경쟁력 실태 관련 선행연구

밭작물 품목별 경영진단 및 경쟁력 제고 방안으로 농촌진흥청(2012)은 25개 품목에 대해서 품목별 FTA 동향 및 생산현황 등 산업 동향과 경쟁력 비교분석, 산업 전망, 비전 및 목표, 경쟁력 제고 대책뿐만 아니라 우수사 례 등 종합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품목별 대책 방안 수립에 시사점이 크다 할 수 있다. 한재환 외(2013)는 품목별 농가 생산비 변동 동향과 농가 경영실태를 분석하여 원예농산물 생산비 절감 방안을 제안하였다. 품목별 농가 경영실태의 규모별 농가 현황 및 경영구조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품목별 효율성 분석에는 DEA 분석기법이 활용되었다. 그리고 밭농업 또는 밭작물의 경쟁력 제고 연구로 성명환 외(2009)는 밭 작물의 자급률 향상 및 안정적 생산·유통 체계 구축 관점에서 주요 밭작물 산업의 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밭작물 산업의 안정적 발전 방향, 밭작물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밭작물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으로 생산 측면에서 규모화, 기계화, 조직화, 시설현대화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필요가 있으며, 유통·저장 측면에서 규모화, 조직화, 시설현대화, 수급조절 등을 통해 유통비용을 절감하고 가격을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음

(40)

10 서론 을 강조하였다. 또한 밭작물 및 가공품 소비 확대방안과 밭작물의 브랜드 -경영체 육성사업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밭농업의 주요 정책과제를 두루 제시하고 있지만, 좀 더 체계적인 실천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용선 외(2012)는 원예산업의 생산·경영, 출하, 소비 구조의 변화 특성과 차별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예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크게 생산구조와 수요 측면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생산구조 분석은 지역집중도와 지역특화계수 산출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수요분석의 경우는 헤도닉 모형을 이용하여 상 품 특성별 가격결정 요인을 추정하였다.

3.5. 본 연구의 차별성

1, 2차 연구에서 밭농업의 농업경쟁력 제고 방안에 있어 주로 생산 측면 의 비용 절감 및 효율성 제고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3차년도 연구에서는 밭농업의 소비·수요 측면을 고려한 지역 단위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품목 또는 품목류별, 지역별 차별화 및 부가가치 제고 방안 연구는 기존에 시도되었지만, 지역 단위에서 밭농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합적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된 적이 없다. 특히, 새로운 미래 창출의 맹아로서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지역 단위 혁신 체계, 거버넌스 등 을 동시에 분석하고자 한다.

4.

연구 범위

일반적으로 농업경쟁력 제고라고 하면 국가 간 가격경쟁력 수준을 비교· 평가하여 세계시장에서 해당 품목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제목도 “시장 개방 확대

(41)

에 대응한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로 지금까지 1, 2차년도에서는 밭농업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생산 측면의 비용 절감 방안 등이 주요 연구 내용이었다. 하지만 앞서 <표 1-1>에서 보았듯이 전반적인 밭농업의 생산 수준은 감 소하는 국면에 처해 있지만, 일부 품목의 생산은 역동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표 1-2> 참조). 이는 농산물 품목이나 상품 특성에 따라 수입농산물이 국내 농산물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구분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오미자 7.8 9 3.3 38.5 76.8 203.1 파프리카 0 0 0 53.8 103 181.5 생강 151.8 233.3 72.5 127.4 110.4 172.5 들깨 90.5 84.7 66 58.6 109.5 164.4 양채류 15.3 19.9 114.2 125 100.3 163.1 느타리 109.4 166.8 162.1 130.3 103.5 143.1 복숭아 65.9 74.5 97.7 128.6 79.6 136.6 우엉 117.2 172.1 88.3 150 76.9 136.4 무화과 - - - - 106.6 135 호박 27.9 51.9 69.3 115.7 94 131.1 사과 141.4 161 109.9 82.6 103.5 131 겉보리 668.9 303.9 156.6 158.9 88.6 129.2 토마토 17.8 44.4 75.6 119.9 91.1 128.2 오디 - - - - 93.8 124.6 녹두 331.7 176.9 131 92.9 96.7 122.5 <표 1-2> 2010년 대비 2015년 농업생산지수 증가율 순위 주: 생산지수는 2009~2010년의 생산량을 100으로 하여 각 연도 상대적인 생산량을 %로 나타냄. 자료: 통계청(각 연도). 농림생산지수. 이와 같이 밭작물 생산은 가격 요인 이외에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품종, 산지, 인증 등의 상품 특성과 품질, 안전성 등을 고려 한 소비자의 평가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이용선 외 2012). 농산물 시장이 개방되어 가격경쟁력이 취약하더라도 상당 부분의 품목은

(42)

12 서론 계속적으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국제적으로 해당 밭작물이 국제 적인 가격경쟁력은 취약하더라도 품질, 안전성 등 비가격 요소의 경쟁력이 높기 때문에 시장에서 소비자에게 선택받고 계속 생산·소비된다고 할 수 있다. 본 3차년도 연구에서 ‘밭농업 경쟁력’이란 농산물 시장이 개방되더라도 시장에서 소비자에게 선택받아 지속적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쟁 력 방안(품질, 안전성 등 비가격요소)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밭 농업’이란 쌀 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종 농업을 포함하고 있어 개념의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분석대상이 무엇인가 하는 관점에서의 개 념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해 주요 품목류(식량작물, 채소류)별 대표작목을 선정하여 사례 품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림 1-1>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자료: 저자 작성.

(43)

5.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5.1. 주요 연구내용

제1장 서론에서는 1, 2차년도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밭 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구체화하는데, 특히 시장개방화에 대응하여 지역 단위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밭작물 소비와 관련하여 주요 소비시장 및 소비 트렌드 분 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SNS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상에서 밭작물에 대한 잠재적 소비자의 선호 유추 및 수치화할 수 없는 SNS 이용자의 밭작물에 대한 주관적 가치에 대한 정보 등을 파악하였다. <그림 1-2> 연구 추진체계도 자료: 저자 작성.

(44)

14 서론 제3장에서는 밭작물 소비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지역 단 위 밭농업 경쟁력 대응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쟁력 제고 방 안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먼저 산업연관표상 밭농업 부가가치 구조 변화 분석을 통 해 밭농업의 수익 구조를 파악하였고, 다음으로 생산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가치사슬 관점에서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활동 실태, 문제점 및 애로 사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차별화 전략의 하나인 농산물 브랜드 제도 의 현황 및 성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주요 연구내용을 요약하고 지역 단위 밭농업 경쟁력 제고 관점에서 주요 정책 및 제도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5.2. 연구방법론

이 연구에서는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도출을 위해 문헌조사, 빅데이 터 분석, 사례지역조사, 계량 분석, 설문조사, 해외조사 등을 활용하였다. 먼저, 최근 소비 트렌드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하기 위해 SNS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키워드 분석은 세부적으로 연관어 분석과 감성 분석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음소

프트(Daumsoft)에서 제공하는 소셜메트릭스(social metrics)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에서 밭농업에 대한 경쟁력을 충실하게 구축하고 있는 사 례를 조사·발굴하여 지역 단위 밭농업 생산·출하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농정연구센터와 공동으로 11개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15년 농업총조사 자료 및 가락동 도매시장 경락가격 자료를 활용 하여 각각 농가판매액 증가 요인과 농산물 경락가격의 차별화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KREI 소비자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농산물 구입 및 소비

(45)

행태, 제품 구매 시 고려사항, 브랜드 및 인증제도 인식 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KREI 현지통신원 93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가치사슬 단계에서 영농활동별 주요 활동 및 애로사항, 정책 지원 요구 사항 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추진 체계를 살펴보기 위해 프 랑스와 이스라엘을 대상으로 해외 선진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랑스 에서는 채소·과일 생산 현황, 품질보증체계, 마케팅 전략, 생산자 및 사업 자조직체 운영방식 등을 조사하였고, 이스라엘에서는 농업 R&D 투자 성 과 및 정책 현황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46)
(47)

1.

농산물 주요 소비시장 변화

1.1. 1인당 연간 채소류 및 과일류 식품공급량 추이

국민 1인당 연간 식품공급량을 살펴보면, 채소류는 1990년 132.6㎏에서 2015년 137.5㎏으로 4.9㎏ 증가하였고, 과실류는 같은 기간에 약 72.4% 증 가하여 2015년도 국민 1인당 연간 과실류 식품공급량이 50.0㎏ 수준이다. <그림 2-1> 1인당 연간 식품공급량 추이(1990~2015) 단위: ㎏ 자료: 최종우·허성윤(2016). 󰡔2015년도 식품수급표󰡕.

(48)

18 밭농업 관련 소비 및 트렌드 변화 분석

1.2. 주요 밭작물 품목별 식품공급량 추이

본 과제에서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은 밭작물 중 배추는 식품공급량이 200만~140만 톤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가장 큰 변동성을 보였으며, 식품공 급량 또한 가장 많았다. 두 번째로 식품공급량이 많은 양파는 식품공급량 이 등락을 반복하면서도 꾸준히 상승 추세를 보였다. 그 밖에 오이, 고구 마, 딸기는 같은 기간에 식품공급량에 큰 변동이 없으며, 감자는 1990년 27만 4,000톤에서 2016년 39만 5,000톤으로 12만 1,000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2> 품목별 식품공급량 추이(1990~2015) 단위: 천 톤 자료: 이계임·김성용(2002). 󰡔2001년도 식품수급표󰡕; 최종우·허성윤(2016). 󰡔2015년도 식품수급표󰡕.

(49)

1.3. 채소류 및 과일류 가계평균 지출 추이

가구당 월평균 채소류 지출액(2010년 가격 기준)은 1990년 42,650원에서 2016년 28,167원으로 감소하였다. 반면에 과일류 지출액은 1990년 31,229 원에서 2016년 31,518원으로 변화하여 지출액이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2-3> 채소류 및 과일류 월평균 가계지출 추이(1990~2016) 단위: 원 주: 지출액은 GDP디플레이터(2010=100)를 이용하여 실질화함. 자료: 통계청(각 연도). 마이크로데이터 원격접근서비스를 이용하여 󰡔가계동향조사󰡕 원자료 분석.

1.4. 주요 밭작물 품목별 가계평균 지출 추이

주요 밭작물 품목별 가구당 평균 지출액(2010년 가격 기준)의 경우, 배 추, 오이, 감자는 감소 추세를 보이며, 딸기, 양파, 고구마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감자 지출액은 실질가격(2010=100) 기준으로 1990년 2,244원에서 2016년 1,094원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같은 기간에 오이 지출액 은 61.3% 감소하였다. 배추 지출액은 급속도로 감소하여 연평균 약 4.6% 씩 감소하였다. 딸기, 양파, 고구마의 가계지출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치

표 차례 제1장 &lt; 표  1-1&gt;    주요 품목류별 생산지수 변화 추이 ····································· 4 &lt; 표  1-2&gt;    2010 년 대비  2015 년 농업생산지수 증가율 순위 ············· 11 제2장 &lt; 표  2-1&gt;    식료품 주 구입처별 선택 이유 (2013 년  vs  2016 년 ) ········ 22 &lt; 표  2-2&gt;    밭작물 구매 시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Assuming perfect conductors, a coaxial transmission line having an inner conductor can support

9.6 Calculus Review: Functions of Several Variables 9.7 Gradients of a Scalar Field. Directional Derivative 9.8 Divergence of a Vector Field. 9.9 Curl of a Vector Field 9.9 Cur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nglish reading strategi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nd

The field measuremen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rmal environment and energy consumption in greenhouses model with hot-air heating system. Then the

• Small lot sizes in both the production process and deliveries from suppliers field a number of benefits that enable JIT systems to operate effectively.. • With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