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치사슬 관점에서의 밭농업 실태 및 애로사항

가치사슬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미국 등 선진국의 경영학에 서 전 산업을 대상으로 다각적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우리나라에서는 2000 년대 초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가치사슬 분석이 진행되어 왔다. <그림 4-2>

에서 보듯이 가치사슬 분석 관점에 따라 농업경영체에서 이루어지는 경영 활동은 크게 본원적 활동(primary activities)과 지원활동(support activities) 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연중 외 2010).

본원적 활동은 제품을 생산하는 물리적 과정의 총체이며, 지원활동은 본 원적 활동을 보조해 주는 경영행위라 할 수 있다(전라북도농업기술원 2009).

본원적 활동에는 생산요소 투입, 생산, 수확후 관리(선별, 포장, 저장, 가 공), 유통, 판매 등 상품 생산과 판매에 관련된 활동들이 포함된다. 지원 활 동에는 농업경영체의 생산구조인 조직화 및 규모화, 마케팅(홍보, 브랜드 개발, 소비자 선호), 농업기술연구개발(R&D), 정부정책 등이 포함된다.

<그림 4-2> 농산물의 가치사슬 구조

자료: 김연중 외(2010)에서 인용.

102 밭농업 부가가치 현황과 성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 가치사슬 관점에서 주요 품목류별 로 활동 실태, 문제점 및 애로사항을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는 KREI 현지 통신원을 대상으로 밭농업 부가가치 제고방안과 관련하여 설문조사 방식 으로 진행되었다. 설문대상자 934명 중 232명이 응답하여 24.8%의 응답률 을 보였다. 주요 소득작목을 기준으로 농가유형을 구분하면, 벼 제외 식량 작물 4.7%, 노지채소 8.2%, 시설(채소·화훼) 25.4%, 특용작물 10.8%, 과수

40.1%, 기타 10.8%이다.

원료조달, 생산, 선별·포장·저장·가공, 유통, 판매, 소비 등 농업 가치사 슬의 각 단계를 구분하여 각 단계에 속한 활동이 부가가치 또는 판매소득 제고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생산요소 투입 및 생산 분야에서는 농가유형에 상관없이 차별화된 품종 개발과 농산 물 안전성 관리가 밭농업 부가가치 제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별·가공·포장 및 유통 분야에서는 노지채소를 제외하고는 모든 농가유형에서 농산품 가공품 개발과 농산물 직거래 확대 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노지채소의 경우는 고급 및 기능성 포장지 개 발과 공동브랜드 개발이 부가가치 제고에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판매 분야에서는 유통구조 변화에 대응한 인터넷 및 직거래 등 판매방법 개선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농가들이 많았다. 소비 분야에서는 모든 농가유형에서 품질규격화 등을 통한 소비자 신뢰 구축이 부가가치 제고에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8> 가치사슬 단계별 밭농업 부가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는 정도

104 밭농업 부가가치 현황과 성과 분석

으로 재배되는 특성이 있어서 품종에 지역별 차별화를 도모하기가 어렵기

106 밭농업 부가가치 현황과 성과 분석

밭농업 부가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는 정책지원 활동에 대해 5점 척도 기

108 밭농업 부가가치 현황과 성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