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1. 주요 연구내용

제1장 서론에서는 1, 2차년도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밭 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구체화하는데, 특히 시장개방화에 대응하여 지역 단위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밭작물 소비와 관련하여 주요 소비시장 및 소비 트렌드 분 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SNS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상에서 밭작물에 대한 잠재적 소비자의 선호 유추 및 수치화할 수 없는 SNS 이용자의 밭작물에 대한 주관적 가치에 대한 정보 등을 파악하였다.

<그림 1-2> 연구 추진체계도

자료: 저자 작성.

14 서론

제3장에서는 밭작물 소비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지역 단 위 밭농업 경쟁력 대응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쟁력 제고 방 안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먼저 산업연관표상 밭농업 부가가치 구조 변화 분석을 통 해 밭농업의 수익 구조를 파악하였고, 다음으로 생산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가치사슬 관점에서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활동 실태, 문제점 및 애로 사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차별화 전략의 하나인 농산물 브랜드 제도 의 현황 및 성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주요 연구내용을 요약하고 지역 단위 밭농업 경쟁력 제고 관점에서 주요 정책 및 제도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5.2. 연구방법론

이 연구에서는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도출을 위해 문헌조사, 빅데이 터 분석, 사례지역조사, 계량 분석, 설문조사, 해외조사 등을 활용하였다.

먼저, 최근 소비 트렌드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하기 위해 SNS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키워드 분석은 세부적으로 연관어 분석과 감성 분석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음소 프트(Daumsoft)에서 제공하는 소셜메트릭스(social metrics)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에서 밭농업에 대한 경쟁력을 충실하게 구축하고 있는 사 례를 조사·발굴하여 지역 단위 밭농업 생산·출하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자 농정연구센터와 공동으로 11개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15년 농업총조사 자료 및 가락동 도매시장 경락가격 자료를 활용 하여 각각 농가판매액 증가 요인과 농산물 경락가격의 차별화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KREI 소비자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농산물 구입 및 소비

행태, 제품 구매 시 고려사항, 브랜드 및 인증제도 인식 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KREI 현지통신원 93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가치사슬 단계에서 영농활동별 주요 활동 및 애로사항, 정책 지원 요구 사항 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추진 체계를 살펴보기 위해 프 랑스와 이스라엘을 대상으로 해외 선진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랑스 에서는 채소·과일 생산 현황, 품질보증체계, 마케팅 전략, 생산자 및 사업 자조직체 운영방식 등을 조사하였고, 이스라엘에서는 농업 R&D 투자 성 과 및 정책 현황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