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Copied!
54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金 勝 權

張 慶 燮 李 顯 松

鄭 基 仙 曺 愛 姐 宋 寅 珠

(2)

한국사회는 어느 다른 사회와는 달리 儒敎主義에 근거한 傳統的 價 値와 規範이 강하였기 때문에 「家族」은 家父長的, 家族中心的 價値觀 하에서 구성원의 생활과 관계가 통제되어 왔다. 그러나 1960년대 초 부터 시작된 産業化, 都市化, 西歐化 등으로 가족을 둘러싼 제반 환경 은 급격히 변화되었으며, 이러한 사회변동은 家族關聯 諸般 價値觀에 도 큰 영향을 주어 왔다. 과거의 家族主義的 價値觀은 약화되었으며, 家族의 機能과 役割은 급격한 사회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면을 보이고 있다. 특히 傳 統的 및 現代的 價値觀의 混在와 家族機能의 弱化는 가족원간의 葛藤 을 유발하여 家庭暴力, 家出, 逸脫靑少年 問題 등을 야기시키고 있으 며, 심지어는 家族員 遺棄, 離婚‧別居, 自殺 등 家族解體로 이어지기 도 한다. 다른 한편 산업화 초기에 성행된 女性就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취업의 목적은 종전의 가족의 生計維持에서 여성자신의 自我成 就로까지 확대되어 이제는 低所得層 女性뿐만 아니라 中産層 女性까 지, 그리고 未婚女性뿐만 아니라 旣婚女性까지도 노동시장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여는 가족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가족기능의 약화는 사회적 책임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本 硏究는 약 40년간의 산업화 과정에서 한국 가족의 다양 한 變化樣相을 분석하여 가족이 지닌 諸般 問題點을 정확하게 性格糾 明하고, 21세기의 변화방향을 전망한다. 이어서 한국 가족의 내재된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社會變化에 適應하고, 사회에 긍정적인 役

(3)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家族親和的 社會政策을 추진하기 위한 귀중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한국 가족 이 건전하게 유지‧발전하고, 전체 가족원의 「삶의 質」을 향상시키 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本 硏究는 본 연구원 家族福祉‧人口政策팀 金勝權 博士의 책임 하 에 완성되었으며 연구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 연구수행 및 보 고서 執筆을 위한 연구진의 구체적인 分擔內譯은 다음과 같다. 硏究總括 및 企劃 (金勝權) 要 約 (金勝權) 第 1章 서 론 (金勝權) 第 2章 가족관련 제 이론 및 연구동향 (金勝權‧宋寅珠) 第 3章 한국 가족변화의 주요 요인 (金勝權) 第 4章 가족가치관의 특성과 변화 (張慶燮) 第 5章 가족구조의 변화 (金勝權) 第 6章 가족기능의 변화 (金勝權) 第 7章 가족형성 및 주기의 변화 (曺愛姐) 第 8章 가족의 경제생활변화 (李顯松) 第 9章 산업화 과정에서의 가족관계 변화 (鄭基仙) 第10章 가족해체와 결손가족의 문제 (金勝權‧宋寅珠) 第11章 다양한 가족의 출현 (金勝權‧宋寅珠) 第12章 21세기 한국 가족의 변화전망과 대응방안 (金勝權‧宋寅珠) 第13章 결 론 (金勝權)

(4)

본 보고서의 작성 및 출판에는 많은 분들의 노력이 있었다. 세 번 의 원내 워크숍에서 많은 조언을 주신 연구원 가족들, 정책자문회의 에서 연구의 방법 및 내용에 대한 방향을 주신 자문위원들, 그리고 원고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연구진의 자료수집에 적극적으로 도와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아울러 본 보고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주신 金柔敬 主任硏究員, 宋秀珍 主任硏究員에게 감사를 드리며, 아울러 보고서를 검독하여 주신 徐文姬 副硏究委員과 金亨謨 責任硏究員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마지막으로 本 報告書에 收錄된 內容은 硏究者들의 個人的인 意見이며, 本 硏究院의 公式 見解가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2000年 12月 韓國保健社會硏究院 院 長 鄭 敬 培

(5)

要 約 ··· 19

第 1 部 導 入 部

第1章 序 論 ··· 97 第1節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97 1. 硏究의 必要性 ··· 97 2. 硏究의 目的 ··· 98 第2節 硏究內容 및 方法 ··· 99 1. 硏究內容 ··· 99 2. 硏究方法 ··· 101 第2章 家族關聯 諸 理論 및 硏究動向 ··· 105 第1節 家族關聯 諸 理論 ··· 105 1. 構造機能主義 理論 ··· 105 2. 象徵的 相互作用理論 ··· 108 3. 交換理論 ··· 112 4. 葛藤理論 ··· 114 5. 家族發達理論 ··· 116

(6)

6. 體系理論 ··· 118 7. 生態理論 ··· 120 第2節 家族硏究의 最近動向 ··· 123 1. 1960年代의 家族硏究 動向 ··· 127 2. 1970年代의 家族硏究 動向 ··· 127 3. 1980年代의 家族硏究 動向 ··· 129 4. 1990年代의 家族硏究 動向 ··· 133

第 2 部 韓國 家族變化의 主要 要因

第3章 韓國 家族變化의 主要 要因 ··· 141 第1節 社會的 要因 ··· 141 1. 産業化 ··· 141 2. 都市化 ··· 144 3. 女性의 社會的 地位變化 ··· 149 第2節 人口學的 要因 ··· 159 1. 初婚年齡의 上昇 ··· 159 2. 出産率의 低下 ··· 160 3. 平均壽命의 延長 ··· 162 4. 早期死亡의 增大와 年齡別男女死亡率 隔差 ··· 163 第3節 家族價値觀的 要因 ··· 165 1. 結婚價値觀의 變化 ··· 165

(7)

2. 子女價値觀의 變化 ··· 173 3. 家族扶養價値觀의 變化 ··· 179 4. 夫婦關係 價値觀의 變化 ··· 183 第4節 家族變化의 主要要因이 주는 示唆點 ··· 187 第4章 家族價値觀의 特性과 變化 ··· 193 第1節 家族價値觀 論議의 焦點 ··· 193 第2節 壓縮的 社會變動과 家族價値觀 ··· 197 第3節 家族價値觀의 類型 ··· 201 1. 儒敎的 家族價値觀 ··· 201 2. 道具主義的 家族價値觀 ··· 203 3. 敍情主義的 家族價値觀 ··· 206 4. 個人主義的 家族價値觀 ··· 209 5. 家族價値觀의 混合化 ··· 213 第4節 家族價値觀의 特性과 變化의 示唆點 ··· 216

第 3 部 韓國 家族의 變化樣相

第5章 家族構造의 變化 ··· 227 第1節 小家族化와 家族規模 縮小 ··· 228 第2節 家族世代의 單純化와 核家族의 增大 ··· 230

(8)

第3節 非定型的 家族形態의 出現 ··· 233 1. 1人家口의 增加 ··· 234 2. 老人單獨家口의 增加 ··· 237 3. 偏父母家口의 增大 ··· 238 4. 새싹가정의 增加 ··· 240 第4節 家族構造變化의 示唆點 ··· 241 第6章 家族機能의 變化 ··· 245 第1節 家族機能의 槪念的 論議 ··· 245 第2節 家族機能의 變化樣相 ··· 248 1. 經濟的 機能 ··· 248 2. 性的 및 再生産 機能 ··· 252 3. 子女의 養育 및 社會化 機能 ··· 254 4. 情緖的 機能 ··· 259 5. 餘暇 및 休息의 機能 ··· 261 6. 社會保障的 機能 ··· 265 第3節 家族機能 變化의 示唆點 ··· 268 第7章 家族의 形成 및 週期 變化 ··· 270 第1節 配偶者 選擇 理論 ··· 271 1. 수레바퀴 理論(Wheel Theory) ··· 272 2. 刺戟-價値-役割理論(Stimulus-Value-Role Theory) ··· 273 3. 濾過理論(Filter Theory) ··· 273

(9)

4. 配偶者 關係 形成(Premarital Dyadic Formation)모델 ··· 274 5. 交換理論(Exchange Theory) ··· 275 第2節 우리 나라 家族形成過程의 變化 ··· 276 1. 配偶者 選擇條件 및 結婚決定의 變化 ··· 276 2. 家族形成 時期의 變化 ··· 280 3. 結合形態의 變化 ··· 282 第3節 家族週期의 槪念과 段階別 區分 ··· 286 1. 家族週期의 槪念 ··· 286 2. 家族週期段階의 基準 및 分類 ··· 287 第4節 家族週期의 段階別 變化樣相 ··· 290 1. 家族週期 關聯 事件發生時의 婦人年齡 ··· 290 2. 家族週期 段階別 期間 ··· 293 第5節 家族週期 段階別 期間變化의 特徵 ··· 298 1. 夫婦만의 期間 ··· 298 2. 子女養育 期間 ··· 299 第6節 家族形成 過程과 家族週期 變化의 展望과 示唆點 ··· 300 第8章 家族의 經濟生活 變化 ··· 306 第1節 家口의 所得構造 變化 ··· 307 1. 所得의 源泉과 構成 ··· 307 2. 所得 및 支出에 대한 管理 ··· 311 第2節 家口의 消費構造 變化 ··· 314

(10)

第3節 經濟環境의 變化와 失業家庭의 問題 ··· 317 1. 失業家庭의 經濟的 問題 ··· 318 2. 失業家庭의 家族結束力 弱化問題 ··· 322 3. 失業이 子女에 미치는 影響 ··· 327 第4節 經濟生活變化의 示唆點 ··· 329 第9章 産業化 過程에서의 家族關係 變化 ··· 334 第1節 夫婦關係 ··· 335 1. 夫婦關係에 대한 價値觀 ··· 336 2. 結婚滿足度 ··· 340 3. 夫婦 役割關係 ··· 344 4. 夫婦權力關係 ··· 350 5. 夫婦葛藤과 暴力 ··· 356 6. 家族週期別 夫婦關係의 變化 ··· 362 第2節 父母-子女關係 ··· 367 1. 成長期 子女와 父母와의 關係 ··· 367 2. 成人期 旣婚子女와 父母와의 關係 ··· 375 第3節 家族關係 變化의 示唆點 ··· 385 第10章 家族解體와 缺損家族의 問題 ··· 389 第1節 家族解體의 槪念的 論議 ··· 391 1. 家族解體의 槪念 ··· 391 2. 家族解體 關聯 理論的 論議 ··· 393

(11)

第2節 家族解體의 原因 ··· 399 1. 死亡 ··· 399 2. 離婚 ··· 405 3. 家出, 遺棄 ··· 416 第3節 缺損家族의 生活과 問題 ··· 420 1. 偏父母家族 ··· 420 2. 새싹가정 ··· 424 3. 單獨家口 ··· 428 第4節 家族解體의 展望과 示唆點 ··· 432

第 4 部 21世紀 韓國 家族變化의 展望과 家族福祉政策

第11章 多樣한 家族의 出現 ··· 443 第1節 多樣한 家族의 論議와 爭點 ··· 444 第2節 西歐社會에서의 多樣한 家族의 出現 ··· 450 第3節 多樣한 家族生活 ··· 454 1. 獨身家族 ··· 456 2. 無子女夫婦家族 ··· 460 3. 再婚家族 ··· 464 4. 同居家族 ··· 467 5. 共同體家族 ··· 471 6. 同性愛家族 ··· 473

(12)

7. 其他 家族形態 ··· 476 第4節 ‘多樣한 家族들’의 展望과 示唆點 ··· 479 第12章 21世紀 家族變化의 展望과 政策的 對應方案 ··· 483 第1節 21世紀 家族變化의 展望 ··· 483 1. 家族變化 主要 要因의 變化展望 ··· 483 2. 家族構造 및 機能變化의 展望 ··· 485 3. 家族經濟生活 및 家族關係의 變化展望 ··· 487 4. 家族解體 및 缺損家族, 多樣한 家族의 出現 ··· 488 第2節 家族變化에 따른 政策的 對應方案 ··· 490 1. 家族政策의 基本原則 ··· 492 2. 對應方案 ··· 497 第13章 結 論 ··· 517 參 考 文 獻 ··· 522

(13)

表 目 次

〈表 2- 1〉 家族關聯 主要 理論의 3次元的 類型化 ··· 123 〈表 2- 2〉 韓國 家族硏究의 領域 및 對象別 主要 動向 ··· 126 〈表 3- 1〉 産業別 就業者 構成比(1963∼1999年) ··· 143 〈表 3- 2〉 職業別 就業者 構成比(1963∼1999年) ··· 144 〈表 3- 3〉 市部‧郡部間 移動人口 變動推移(1965∼1995年) ··· 147 〈表 3- 4〉 都市化率 變化推移(1960~1995年) ··· 148 〈表 3- 5〉 全體 人口對比 首都圈 人口比率(1960~1995年) ··· 149 〈表 3- 6〉 25歲 以上 人口의 性別 學歷 構成比(1970∼1995年) ··· 150 〈表 3- 7〉 學校級 및 性別 就學率(1980∼1999年) ··· 151 〈表 3- 8〉 性別 經濟活動人口數 및 經濟活動參加率의 變化 (1963~2000年) ··· 153 〈表 3- 9〉 婚姻狀態別 女性의 經濟活動參加率(1981~1997年) ··· 154 〈表 3-10〉 婚姻狀態別 女性就業者 構成比(1980~1999年) ··· 155 〈表 3-11〉 國會議員 中 女性比率(1960~2000年) ··· 156 〈表 3-12〉 5級 以上 國家 및 地方公務員 中 女性比率 (1983~1998年) ··· 157 〈表 3-13〉 韓國의男性平等指數 및 女性權限尺度의 順位 (1997~1998年) ··· 159 〈表 3-14〉 性別 平均 初婚年齡(1960~1999年) ··· 160 〈表 3-15〉 合計出産率의 變化(1960~1999年) ··· 161

(14)

〈表 3-16〉 合計出産率 減少要因 分析(1959~1989年) ··· 162 〈表 3-17〉 平均壽命 變動推移(1970∼2000年) ··· 163 〈表 3-18〉 性‧年齡別 死亡率(1989~1999年) ··· 164 〈表 3-19〉 性‧年齡別 死因順位(1999年) ··· 165 〈表 3-20〉 結婚에 대한 態度(1996年) ··· 167 〈表 3-21〉 結婚에 대한 贊成比率(1998年) ··· 168 〈表 3-22〉 再婚에 대한 贊成比率(1998年) ··· 170 〈表 3-23〉 30代 女性의 未婚率(1975∼1995年) ··· 172 〈表 3-24〉 主要 3國의 20∼24歲 女性의 就學率, 經濟活動參加率, 未婚率 比較(1950∼1990年) ··· 173 〈表 3-25〉 韓國婦人의 子女 必要性에 대한 態度 (1991∼2000年) ··· 174 〈表 3-26〉 韓國婦人의 아들 必要性에 대한 態度 (1991∼2000年) ··· 176 〈表 3-27〉 ‘대를 잇기 위해 아들은 꼭 必要하다’에 대한 意見 ··· 177 〈表 3-28〉 子女의 結婚‧敎育費用의 父母負擔에 관한 意見 (1996年) ··· 179 〈表 3-29〉 父母의 老後 扶養責任에 대한 態度(1996年) ··· 180 〈表 3-30〉 ‘長男이 父母님을 모셔야 한다’에 대한 意見(1996年) · 182 〈表 3-31〉 ‘旣婚 女性도 自己 일이 있어야 한다’에 대한 意見 (1996年) ··· 184 〈表 3-32〉 맞벌이 夫婦의 家事分擔에 관한 意見 ··· 186 〈表 5- 1〉 家口數 및 家口員 變化(1960∼1995年) ··· 229 〈表 5- 2〉 家族의 世代構成 및 家族類型 變化(1960∼1995年) ··· 231 〈表 5- 3〉 家族形態의 變化(1970~1995年) ··· 232

(15)

〈表 5- 4〉 核家族의 構成(1995年) ··· 233 〈表 5- 5〉 1人 家口의 變化(1970~1995年) ··· 234 〈表 5- 6〉 1人 家口主의 特性 ··· 236 〈表 5- 7〉 65歲 以上 老人家口 世代構成 ··· 238 〈表 5- 8〉 家族形態의 變化(1970~1995年) ··· 240 〈表 5- 9〉 새싹가정의 現況(1990∼2000年) ··· 241 〈表 6- 1〉 年齡別 및 職業別 1日 平均 일하는 時間 ··· 251 〈表 6- 2〉 有配偶 出産率의 變動推移(1960~1999年) ··· 253 〈表 6- 3〉 子女 養育 및 社會化 機能遂行에 所要하는 時間 ··· 256 〈表 6- 4〉 保育施設 利用兒童數의 增加推移(1992~2000年 6月) ··· 257 〈表 6- 5〉 全體 兒童數 및 保育施設 利用兒童數(2000年 6月) ··· 257 〈表 6- 6〉 家族 보살피기에 보내는 時間 ··· 260 〈表 6- 7〉 交際 및 餘暇活動에 보내는 時間 ··· 263 〈表 6- 8〉 家族間 機能의 遂行程度와 特性 ··· 267 〈表 7- 1〉 15~49歲 旣婚婦人 및 15~34歲 未婚者의 配偶者 選擇條件 ··· 277 〈表 7- 2〉 配偶者 選擇條件에 있어 가장 重要한 것 ··· 277 〈表 7- 3〉 15~49歲 旣婚婦人의 初婚年度別 平均 交際期間 ··· 278 〈表 7- 4〉 15~49歲 旣婚婦人의 初婚年度別 結婚決定 ··· 280 〈表 7- 5〉 初婚夫婦의 結婚年齡 構成上의 變化(1990~1999年) ··· 283 〈表 7- 6〉 再婚水準의 變化(1990~1998年) ··· 284 〈表 7- 7〉 平均 再婚年齡의 變化(1988~1999年) ··· 285 〈表 7- 8〉 平均 再婚年齡과 離婚年齡의 變化(1988~1999年) ··· 285 〈表 7- 9〉 結婚經歷別 結合形態의 變化(1988~1998年) ··· 286

(16)

〈表 7-10〉 核家族의 家族週期의 基本模型 ··· 290 〈表 7-11〉 家族週期 各 段階의 始作 및 終結當時 婦人의 平均年齡 ··· 293 〈表 7-12〉 家族週期 各 段階別 期間 ··· 295 〈表 7-13〉 家族週期 中 夫婦만의 期間, 子女養育期間, 女子 老人만의 期間 ··· 299 〈表 8- 1〉 家口 勤勞所得의 所得源 分布의 變化 ··· 309 〈表 8- 2〉 家口所得 構成의 變化 ··· 310 〈表 8- 3〉 消費支出 構成의 變化 ··· 315 〈表 8- 4〉 階層間 所得隔差 變化(1996~1999年) ··· 321 〈表 9- 1〉 家事分擔에 대한 態度 ··· 339 〈表 9- 2〉 韓國 夫婦의 結婚滿足度 變化(1988~1998年) ··· 341 〈表 9- 3〉 집안 일에 대한 最終意思決定權 ··· 353 〈表 9- 4〉 夫婦暴力의 實態 ··· 358 〈表 9- 5〉 靑少年 苦悶相談 對象 ··· 371 〈表 10- 1〉 全體 旣婚家口 對比 死別家口 및 性別 旣婚家口主 對比 死別家口主의 比率(1980~1995年) ··· 400 〈表 10- 2〉 性別 死別人口數의 變化(1970~1995年) ··· 400 〈表 10- 3〉 40代 男子의 死亡構成比(1970~1999年) ··· 402 〈表 10- 4〉 性別 自殺에 의한 死亡率‧死亡原因順位의 變化 推移(1990~1999年) ··· 404 〈表 10- 5〉 總 離婚件數와 租離婚率(1975~1999年) ··· 407 〈表 10- 6〉 結婚, 離婚 및 再婚에 대한 贊成比率(1998年) ··· 408 〈表 10- 7〉 離婚事由의 變化推移(1975~1999年) ··· 410

(17)

〈表 10- 8〉 平均 離婚年齡과 同居期間 및 15年 以上 同居夫婦의 離婚比率(1990~1999年) ··· 411 〈表 10- 9〉 15年 以上 長期同居 夫婦의 離婚(1970~1998年) ··· 413 〈表 10-10〉 家庭不和 原因 中 家出 및 遺棄‧別居의 年度別 構成比(1970~1998年) ··· 417 〈表 10-11〉 發生類型別 要保護兒童(1990~1998年) ··· 419 〈表 10-12〉 새싹가정 發生 現況(1985~2000年) ··· 425 〈表 10-13〉 全體 單獨家口 中 離婚‧死別 家口의 分布 (1985~1995年) ··· 428 〈表 10-14〉 全體 單獨家口 中 65歲 以上 老人獨身家口의 增加推移(1985~1995年) ··· 429 〈表 11- 1〉 30~40代 家口主의 年齡階層別 夫婦家口의 數 (1985~1995年) ··· 461 〈表 11- 2〉 性別 全體 婚姻 中 再婚構成比(1990~1999年) ··· 464

圖 目 次

〔圖 1-1〕硏究의 흐름도 ··· 104 〔圖 11-1〕各年度別 單獨家口의 年齡代別 分布: 1985, 1990, 1995年 ··· 456 〔圖 12-1〕「女性 1366」의 役割模型 ··· 505

(18)

第 1 章 序 論

1.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硏究의 必要性

— 지난 수십 년간 우리 나라는 산업화, 도시화, 서구화 등의 영향 으로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가족」을 비롯하여 사회 모든 영역에 변화를 가져옴. ∙ 특히 한국 가족은 유교에 근거한 傳統的 價値와 規範에 주로 지배되고 있었기 때문에 산업화‧서구화가 가족 및 가족구성 원 개인에 미친 영향은 더욱 큼. — 家族構造의 축소와 분화, 가족기능의 변화, 가족해체의 증가, 성 역할 변화 및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확산 등 한국 가족이 겪고 있는 급격한 변화는 전반적으로 가족이 담당하여온 전통적 家族 機能의 弱化로 이어져 현재 많은 가족문제가 양산되고 있음. ∙ 특히 단기간에 유입된 서구적 가치관은 뿌리깊게 잔존하고 있는 유교적 가치관과 婚材됨으로써 가족간에 또 가족구성 원간에 가치관 차이로 인한 갈등이 증폭되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가족관련 사회 정책은 문제가족에 대 한 최소한의 事後的 治療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가족이라는 사

(19)

회적 단위를 강화하고 문제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근본적 해결 책으로서의 성격은 극히 미약함.

□ 硏究의 目的

— 본 연구는 최근 ‘危機’에 처한 것으로 평가되는 한국 가족의 실 태와 변화양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여 위기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약화된 가족기능을 보완‧신장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 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基礎資料로서 기여하고자 함. ∙ 가족기능의 강화를 위한 사회적 대응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사 회유지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건강한 가족의 형성을 도모 하고 궁극적으로 이를 통한 한국인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 으로 하고 있음.

2. 硏究內容 및 方法

□ 硏究內容

— 가족관련 제 이론 및 연구동향 분석 — 한국 가족변화의 원인 ∙ 가족변화의 주요 요인 ∙ 가족가치관의 특성과 변화 — 한국 가족의 변화양상 ∙ 가족구조의 변화 ∙ 가족의 기능변화와 전망

(20)

∙ 가족의 형성 및 주기변화 ∙ 가족의 경제생활 변화 ∙ 산업화 과정에서의 가족관계 변화 ∙ 가족해체와 결손가족의 문제 — 21세기 가족변화의 전망과 정책적 대응방안 ∙ 다양한 가족형태의 출현 ∙ 가족변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

□ 硏究方法

— 가족관련 국내외 기존문헌의 고찰을 기본으로 함. — 가족관련 각종 조사자료 및 통계자료를 재검토‧분석함. — 연구내용의 적절성 논의 및 정책적 示唆點 導出 등을 위한 정책 협의회 및 워크숍 개최

第 2 章 家族關聯 諸 理論 및 硏究動向

1. 家族關聯 諸 理論

□ 構造機能主義 理論

— 구조기능주의 이론은 1960년대까지 사회학계의 支配的인 理論으 로서 사회현상에 대한 거시적 접근을 위주로 전체 사회체계의 유지 시스템 및 각 부분체계간 또는 상‧하위 체계간의 기능적

(21)

상호작용관계에 주 관심을 기울임. — 구조기능론은 가족을 미혼자녀의 사회화 및 개인의 인격안정이 라는 기능을 수행하는 必須的 下位體系로 봄. 따라서 각 사회체 계간의 상호작용 및 조화를 강조하고 가족강화를 통한 社會安定 을 중요시함.

□ 象徵的 相互作用理論

—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공유된 의미와 상호작용을 중시하여 가족 역시 사회적 집단인 동시에 상호작용하는 자아와 정체성의 집합 으로 槪念化하고 가족원간의 관계가 형성‧유지‧변화되는 방식 및 그 영향요인으로서의 환경, 그리고 이들 모두가 개인의 자아 인식과 행위양식에 미치는 영향 등을 主 硏究對象으로 함. — 가족연구에 있어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가족관계, 가족역할을 중 심으로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개인의 役割期待 와 認知, 수행과정 등을 중심으로 가족내 의사소통 연구 및 가 족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음.

□ 交換理論

— 교환이론은 모든 사회적 행위를 사회적 맥락속의 교환행위로 보 고 또 최소의 비용 및 최대의 보상을 추구하는 合理的 行爲者로 서의 인간을 전제하여 개인의 행위를 설명하고자 함. - 가족학에서 교환이론은 주로 구애 및 배우자 선택, 의사결정과 정, 결혼의 질과 안정성, 그리고 임신결정, 이혼, 여성의 직업만 족도 등의 연구에 적용되어 옴.

(22)

□ 葛藤理論

— 갈등이론은 한정된 자원을 두고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개 인들간의 대립과 갈등이 사회에 편재한다고 봄. 즉, 불평등에 따 른 긴장과 갈등의 양태 및 그 해결방식이 한 사회 또는 집단의 특징을 이룸. 이러한 갈등은 사회체계의 유지와 발전적 변화에 機能的일 수도, 또 逆機能的일 수도 있음. - 따라서 가족연구에서도 갈등이론은 가족내 구성원간의 자원‧권 력 불평등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가족관계의 문제 등에 주로 관심을 기울임.

□ 家族發達理論

— 가족발달이론은 내적으로는 가족성원들의 요구와 외적으로는 사 회의 요구에 의하여 정해진 일련의 단계들로 가족이 변화함을 밝히고 그 과정, 즉, 가족의 형성‧성장‧쇠퇴‧발전 등을 시계열적 으로 분석‧기술‧설명하는 데 크게 기여함. — 그러나 가족발달이론은 보다 역동적이고 확률적인 사건 또는 집 단으로서의 가족현상을 바라보는 최근의 추세와 달리 그 단계론 이 지닌 目的論的‧決定論的 성격과 특정한 가족유형 즉, 핵가족 형에만 적합하다는 등의 한계로 인해 근래 정체되어 있음.

□ 體系理論

- 體系理論은 상호 의존하여 피드백 및 통제의 형식을 통해 영향 을 주고 받는, 체계들간의 위계적 결합모형을 통해 모든 사회현 상을 설명하고자 함.

(23)

— 家族硏究에 있어 체계이론은 가족치료에 특히 많이 적용되고 있 음. 즉,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알코올중독이나 가정폭력 등 가족의 逆機能 내지 病理的 現象을 가족체계의 문제로 접근함. 또한 체계이론은 부부와 가족유형의 분류 등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

□ 生態理論

— 생태이론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 그것을 매개하는 생물학적 유기체이자 또 社會的 存在로서의 가족에 초점을 둠. — 가족연구에 있어 생태이론은 가족의 생존 및 그것을 위한 환경 과의 상호작용으로서 가족행동, 특히 그 중 가족이 사용하는 자 원의 할당과 관리방식, 효과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이에 가 정관리, 가족자원관리, 가계경제학 등 학문분야의 기본 개념틀로 발전함.

2. 家族硏究의 最近動向

— 家族硏究는 그 자체의 家族現實 變化를, 그리고 그에 대한 사회 적 관심과 인식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파악될 가치가 있음. - 여기서는 1960~90년대 한국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가족연구들을 그 주제와 연구영역에 따라 분류하여 주로 量的 側面에서의 변 화추세를 살펴봄.

□ 1960年代의 家族硏究 動向

— 1960년대는 家族硏究의 초창기로서 그 당시 이루어진 연구들은

(24)

양적으로 얼마 되지 않음. 그 내용은 대부분 家族의 構成形態와 家族構造 및 그 문화적 배경으로서의 가족가치, 그리고 친족 등 가족법을 포함한 일반적인 家族制度에 대한 것임.

□ 1970年代의 家族硏究 動向

— 1960년대 간간이 이루어지던 가족연구는 1970년대 들어 本格化 되면서 양적으로도 늘어나고 주제도 보다 확대됨. 가족유형 및 기능, 부모-자녀관계 등이 연구주제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며 가족역할, 적응, 의사소통, 가족문제 등이 새로운 연구주제로 등 장함.

□ 1980年代의 家族硏究 動向

— 1980년대 가족연구는 우선 양적으로 폭발적 증가를 보이며 가족 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특징 임. 따라서 이 시기부터 가족은 고유한 學問的 硏究의 대상으로 안착된 것으로 보임. - 특히 이 시기에는 다른 시기에 비해 배우자선택‧결혼관, 성역할, 부모-성인자녀관계, 장‧노년기 적응 등의 주제가 가장 활발히 연구되어 社會問題가 되었던 한국인들의 結婚行態 및 그간의 사회발전 결과로 등장한 노후생활에 대한 관심 등 당시의 사회 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음.

□ 1990年代의 家族硏究 動向

— 1990년대 家族硏究는 무엇보다도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이 더욱 세분화, 전문화되는 추세가 특징임. 또한 각 학문분과간 또는

(25)

주제간의 연결을 시도하는 등 보다 統合的 視覺의 연구가 늘어 나 그간 한국 가족연구의 양적‧질적 수준의 향상을 보여줌. - 특히 이 시기에는 가족기능, 가족주의, 성의식‧행태, 가족갈등‧ 대응, 이혼‧가족해체에 대한 연구가 과거에 비해 큰 폭으로 증 가하여 90년대의 문화적 多樣化 추세를 보여주는 한편, 그간 사회변동의 부작용으로서 가족과 관련된 사회문제의 증가, 그리 고 그에 대한 구조적 분석시각의 확대 등을 보여줌.

第 3 章 韓國 家族變化의 主要 要因

1. 社會的 要因

□ 産業化

- 산업화의 진행정도는 일반적으로 산업구조의 변화, 즉, 취업자의 산업별 및 직업별 종사자 구성비로 파악됨. - 우리 나라 산업별 취업자는 1960~70年代 후반까지는 농‧임‧어 업에, 1970年代 후반부터는 3차 산업인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 업에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음. ∙ 1차‧2차‧3차 산업 취업자는 1963년 각각 63.2%, 8.7%, 28.1% 에서 1999年 각각 11.6%, 29.9%, 68.6%로 변화함. - 就業者의 職業別 分布의 변화도 산업의 고도화를 잘 보여줌. ∙ 우리 나라 직업별 종사자는 1963년 사무직, 서비스‧판매직, 농림수산직 등이 각각 3.5%, 15.4%, 62.9%, 14.9%였으나 1999

(26)

년엔 각각 10.9%, 23.8%, 10.9%로 변화함. - 産業化는 都市化, 核家族化를 가져오고 그에 따라 전통적으로 가족이 수행하던 기능의 약화를 야기하여 이혼 및 별거가족, 독 신가구, 가족갈등, 가족해체, 청소년 비행, 노인문제 등을 증가 시킴.

□ 都市化

- 2‧3차 산업의 성장 및 교육제도의 발달은 농촌(군부)에서 도시 (시부)로의 대량 인구이동을 가져와 都市化를 촉진시킴. ∙ 도시화율(ubarnization rate)은 1960년 28.0%에서 1995년에는 78.5%로 급격히 증가함. ∙ 이러한 도시화 현상은 특히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 현저하 여, 1995년 수도권 인구는 전체 인구의 45.3%를 차지함. - 도시로의 人口集中은 이동가능성 및 제한된 물질적 환경 등으로 인해 가족구조와 형태 및 가족생활양식 등에 영향을 미침. 특히 도시생활의 경쟁 심화 및 가족원 분거의 증가는 가족내 갈등과 긴장을 높임.

□ 女性의 社會的 地位 變化

- 우리 나라 女性의 敎育水準은 급상승함. ∙ 25세 이상 인구 중 고등학교 학력을 소지한 여성인구의 비 율은 1970년부터 1995년까지 6.1배, 대학 이상은 8.0배 증 가하여 각각 2.7배, 3.0배 증가한 남성에 비해 높은 증가율 을 보임.

(27)

- 우리 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계속 증대하고 있음. ∙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1963년 36.3%에서 2000년에는 48.3% 로 40여 년 동안 12퍼센트 포인트 증가함. ∙ 이는 생활수준의 향상 및 자녀교육비의 증가에 따른 남편 수 입의 보충, 그리고 여성 자신의 개발과 自我成就를 중시하는 태도의 변화에 의한 것임. ∙ 특히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1997년 51.7%로, 전체 취 업여성 중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함. 1999년 현재 는 77.9%를 차지하고 있음. - 국회의원 및 고위공무원 등 고위직에 종사하는 여성의 비율은 그 절대적 수치는 아직 미미하나 꾸준히 증가함. ∙ 국회의원 중 여성의원의 비율은 1960년 0.4%에서 1996년 3.0%로 증가함. 또한 5급 이상 국가공무원 중 여성의 비율은 1983년 0.9%에서 1998년 2.8%로 증가함.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대 및 사회적 지위 상승은 여성 자신의 의식수준 및 성취욕을 높여 여성의 사회활동을 더욱 증가시킬 것임. 이는 여러 측면에서 가족에 肯定的‧否定的 영향을 줌. ∙ 특히 기혼부인의 취업은 가족의 정서적 기능 및 자녀양육‧노 인부양기능의 약화로 직결되어 사회적 지지체계가 없는 상황 에서 사회문제의 발생가능성을 높임.

2. 人口學的 要因

□ 初婚年齡의 上昇

- 우리 나라 남녀의 초혼연령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1960년 남녀

(28)

각각 25.4세, 21.6세이던 것이 1999年에는 남자 29.1歲, 여자 26.3 歲로 증가함.

□ 出産率의 低下

- 우리 나라 합계출산율은 産業化정책 및 가족계획사업이 시작된 이후 지속적으로 저하하여 1999年 1.425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 합계출산율은 1960년 6.0으로 매우 높았으나 1987년 인구대 치수준인 2.1에 도달하였고 이후 더욱 낮아져 40여 년 동안 75%의 저하율을 보임. ∙ 이러한 출산율의 저하는 근래에 올수록 유배우 출산율의 감 소보다는 초혼연령의 상승에 의한 부분이 더 큼.

□ 平均壽命의 延長

- 우리 나라 인구의 평균수명은 1970년 63.15세, 2000년 74.85세로 30년간 11.7세가 상승하였음. ∙ 성별로 보면 30년간 남자가 11.25세, 여자가 11.94세 상승하 였음. 따라서 남녀의 평균수명 차이는 1970년 6.93세에서 2000년 7.62세로 격차가 더 커짐. -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인인구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핵가족 화와 함께 노인단독가구의 급증 및 그로 인한 노인부양 문제를 증가시킴.

□ 早期死亡의 增大와 年齡別 男女死亡率 隔差

- 우리 나라 40대 남성의 사망률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

(29)

이며 남녀간 사망률 차이 역시 큰 편임. ∙ 1999년 현재 남자의 연령별 사망률을 보면, 40~44세 3.8, 45~49세 5.7이며 동연령층 여자의 사망률은 각각 1.2, 1.9임. ∙ 이들 연령층 남성은 대부분 미혼자녀를 둔 가족의 家長으로 이들의 사망은 가족생활에 많은 영향을 줄 수밖에 없음.

3. 家族價値觀的 要因

□ 結婚價値觀의 變化

- 우리 나라 사람들의 결혼에 대한 가치관은 많이 변화하여 절대 적이고 보편적인 제도로서의 결혼에서 개인이 선택하는 하나의 생활형태로서 결혼으로 이동하는 경향성이 나타남. ∙ 조사표본이 다르긴 하지만 ‘결혼은 반드시 해야한다’는 응답비 율이 1996년 조사에서는 36.7%, 1998년엔 33.6%로 더 낮아짐. ∙ 개인적 선택으로서의 결혼에 대한 선호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서 또, 연령층이 어릴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 타나 이러한 변화는 지속될 전망임. - 결혼가치관의 변화는 미혼율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는 특 히 여성미혼인구의 증가를 가져옴. ∙ 30歲 女性의 미혼율 변화를 보면 1975年 4.2%에서 1995年 9.7%로, 35歲는 1975年에 1.0%에서 1995年에 3.9%로 상승함.

□ 子女價値觀의 變化

- 우리 나라 사람들의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태도도 급격히 변화

(30)

하여 자녀출산 역시 결혼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개인적 선택사항 이라는 가치관이 확산되고 있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결과 반드시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비율은 1991年 90.3%, 1997年 73.7%였으나, 2000年에는 58.1%로 급격히 감소함. ∙ 이러한 경향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젊을수록 더 높 게 나타나고 있어 향후에도 그 추세가 지속될 전망임. - 전통적인 남아선호관 역시 그간 점점 약화되어 왔으나 2000년 동 조사결과 응답자의 59.4%가 남아는 ‘꼭 있어야 된다’ 내지 ‘있는 것이 좋다’로 생각하고 있어 가부장적 남아선호 가치관의 불식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임을 보여줌.

□ 家族扶養價値觀의 變化

- 가족부양의 대표적 형태인 노부모 부양책임에 대한 태도를 살펴 본 결과 자녀가 노부모의 부양책임을 진다는 태도는 시간이 갈 수록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노부모 부양책임은 장자만이 아니라 자녀 모두 내지 아들, 딸 모두에게 있다는 가치관이 확산되고 있어 남녀평등 의식의 진전을 보여줌. ∙ 특히 장남에 의한 부양의 당위성에 대해 연령이 젊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도시지역일수록 반대율이 높아 이러한 변 화추세는 지속될 전망임.

□ 夫婦關係 價値觀의 變化

- 부부관계 가치관의 변화를 기혼여성의 취업에 대한 찬성여부 및

(31)

가사분담에 대한 태도로 살펴본 결과 전통적 가치관에서 개인 주의적 가치관으로의 변화가 관찰됨. ∙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기혼부인의 취업 및 가사분담에 대한 찬성률이 높게 나타나 이러한 추세는 지속 될 전망임. ∙ 그러나 기혼여성의 취업에 따른 가사분담은 태도의 변화만큼 현실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고 있어 취업여성의 직장일과 가 사전담으로 인한 이중부담이 큰 것으로 판단됨.

第 4 章 家族價値觀의 特性과 變化

1. 家族價値觀 論議의 焦點

- 오늘날 우리 사회에선 세대와 학력, 지역, 성별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가족가치관이 나타나고 있음. ∙ 이는 가족의 민주성, 개방성을 높이기도 하나 많은 경우 가 족내 개인에 대한 권위주의적 억압이나 세대간‧집안간 갈등, 또는 가족중심의 삶에 의한 사회적 관심의 위축 등 부정적 문제로 노출되고 있음. - 이에 현대 한국인들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가족가치관을 크게 네 가지 즉, 유교적, 도구주의적, 서정주의적, 개인주의적 가족가 치관으로 유형화하여 그 내용과 실태를 살펴봄.

(32)

2. 壓縮的 社會變動과 家族價値觀

- 강한 가족주의는 한국사회의 뚜렷한 특징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 가족 내에서도 구성원들간에 가족에 대한 이해와 태도는 이 질적으로 나타남. ∙ 이는 한국인들이 전통문화 외에 산업화, 도시화, 서구화 등 그간의 급격한 사회변동에의 노출, 평균수명의 연장 등에 의 한 것임. - ‘압축적 근대화’(compressed mordernization)란 20세기 한국이 겪은 식민지배, 전쟁, 국가주도의 산업화, 세계화, 정보화 등 엄청난 사회구조적 변동이 단기간내 사회 전 영역에 걸쳐 일어난 현상 을 말함. ∙ 이는 서구 사회들에 비해 매우 단절적, 외생적, 자의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발생한 이념적 혹은 현실적 정합성을 갖지 못하는 많은 변화들이 가족가치관에 그대로 반영됨. - 오늘날 한국 가족가치관은 ‘우발적 다원성(accidental pluralism)’을 띠는 다양한 가족가치관들이 갈등하며, 때로는 기능적 정합관계 로 작용하며 혼재하고 있음.

3. 家族價値觀의 類型

□ 儒敎的 家族價値觀

- 조선시대 가족규범을 골간으로, 성, 세대 사이의 도덕적 위계 및 부양 관계를 핵심으로 함.

(33)

∙ 최근 급격히 약화되는 추세이나 부모-자녀간, 부부간의 관계 를 규정하는 중심규범임. - 유교적 가족가치관은 전통시대에도 계층적으로 제한된 영향력을 가졌으며, 그 현대적 지속성이 현대 사회의 거시적 변화상과는 괴리되었다는 데에 문제가 있음. ∙ 조선시대에 유교적 가치관은 양반의 계급문화였으며, 상민이 나 천민에 대해 양반의 도덕적 지배력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하였음. ∙ 유교적 가족가치관은 전통 신분질서가 해체된 현대에 들어서 범사회적으로 보편화되었고, 특히 가족을 중심으로 한 사회 의 도덕적 통합 및 노인에 대한 부양규범 유지에 결정적 기 능을 함. ∙ 유교적 가족가치관은 물질적으로 실천하기 힘든 빈곤계층 및 이에 의해 차별과 종속을 당하는 여성, 청소년, 청년의 소외 를 조장하고 있음.

□ 道具主義的 家族價値觀

- 도구주의적 가족가치관은 현대 한국인들이 격동의 20세기를 살 아오면서 일종의 생존방식으로서 개발한 가족 중심적 생활철학 이며, 한국 가족주의의 특수성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 ∙ 안정된 국가체제 및 공동체질서의 공백 속에서 한국인들은 오로지 가족에 의존해 스스로를 보호하고 물질적 성취를 이 루어 왔음.

(34)

∙ 사회적 출세, 물질적 성취, 심지어 정치적 성공 등을 위해서 가족자원이 최대한 동원되었고, 그러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 할 수 있는 가족이 이상화됨. ∙ 그러나 가족성원들의 출세와 치부를 위해 정상적인 가정생활 을 희생시키며 가족을 사회적 경쟁의 도구로 만들어 가정이 빈 껍데기로 전락하는 결과를 가져옴. ∙ 또한 사회적으로는 공정한 사회질서의 정립에 심각한 질곡을 형성함.

□ 敍情主義的 家族價値觀

- 서정주의적 가족가치관은 서구의 자본주의 사회변동 과정에서 생산의 탈가족화와 맞물려서 가정의 심성보호적 기능이 강조되 면서 확립된 것임. ∙ 아동노동의 금지, 모성 보호 등이 확산되어 아동과 여성이 주로 가정에 머물게 되고, 가장인 남성노동자의 소득수준이 향상되어 가정생활이 물질적으로 안정화되면서 서정적 가족 주의는 중산층화된 노동자계급의 가족문화로 확립됨. - 한국사회도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결과로 중산층 노동자 계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주부의 학력 상승, 대중매체의 발달 등 에 힘입어 서정적 가족주의가 주요 가족문화의 하나로 정착됨. ∙ 서정적 가족주의는 (노부모를 배제한) 부부와 미혼자녀 중심 의 핵가족적 연대를 강조하기 때문에 세대간 갈등의 주 요인 이 됨.

(35)

∙ 가정생활 자체가 가족관계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 때 문에 가족내 안정된 삶에 대한 심적 욕구는 가족간의 부담을 가중시켜 부부갈등의 주 요인이 됨.

□ 個人主義的 家族價値觀

- 개인주의적 가족가치관은 여성 해방, 청소년의 자율성 강화 등 개인성의 발전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민주화의 진척과 맞물려 있음. ∙ 여성들의 경제활동증가는 이러한 개인주의적 가족가치관의 확산을 추동하였고, 이로 인하여 남녀의 평등 및 개인의 자발적 선택과 자아성취를 중시하는 가치관의 전환이 이루 어짐. - 결혼식에서부터 일상 생활양식에 이르기까지 개인적 선호와 선 택이 중시되면서 현대인의 가정은 상업자본의 전방위적인 공략 대상이 되고 가족생활의 상업적 식민지화를 야기함. ∙ 상품소비를 중심으로 영위되는 가족생활은 가족유대를 물질 적 관계로 피상화시키며 가정문화를 퇴락 시킴. ∙ 그 결과 소비생활을 주로 담당하는 가정내 여성의 역할에 대 한 과도한 중시 및 책임추궁, 세대간 소비행태의 이질성에 따른 가족내 불화, 그리고 노동자들의 정치적 무관심 등이 나타남. ∙ 특히 청소년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상품소비에만 탐닉하 는 탈사회적이고 몰지성적 인격체를 양산하는 데 영향을

(36)

주게 됨.

□ 家族價値觀의 混合化

- 이상의 네 가지 가족가치관 유형은 실제 현실에서는 많은 경우 서로 혼합되어 존재하며 태도 및 행위의 불일치를 초래하거나 다른 종류의 가족규범들을 파생시키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많 은 사회문제들을 발생시킴. ∙ 예를 들면 남편의 출세나 자녀교육을 위한다는 ‘치맛바람’은 유교적 가족규범과 도구주의적 가족가치관의 결합, 호화혼수 나 고액과외, 사치성 도피유학 등은 도구주의적 가족가치관 과 소비지향적 가족관계의 결합으로 볼 수 있음.

□ 家族價値觀의 特性에 따른 提言

- 한국사회에서는 다양한 가족가치관들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한 가족규범만이 강조 또는 비판되거나, 그에 맞추어 국 가의 가족복지정책이 특정한 ‘모범적’ 가족유형 또는 가족성 원간의 기계적인 부양규범을 전제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일 어날 우려가 있음. - 앞으로의 복지정책은 다양성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개별 상황에 따라 신축적인 복지지원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 가야 함. ∙ ‘가족에 의한 복지’에서 탈피하여 ‘가족을 위한 복지’를 중 심으로 하되, ‘가족을 통한 복지’를 부분적으로 가미하는 식이어야 함.

(37)

∙ 이를 위해 전국적인 가족실태 및 유형조사가 정기적으로 이 루어지고, 각 가족별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를 체계적으로 파 악할 수 있는 일선 전문인력을 늘려야 함. ∙ 또한 소득‧주거‧건강‧고용 등에 걸친 종합적인 가족지원체계 를 마련하되, 노인 중심의 가족복지를 아동 중심의 가족복지 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

第 5 章 家族構造의 變化

1. 小家族化와 家族規模 縮小

-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 출산율의 저하, 결혼율의 저하, 교육 수준의 상승 등 1960년 이후 우리 사회가 겪은 인구학적, 경제‧ 사회적 변화는 가구구성 및 가족체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옴. — 가족구조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은 자녀수 감소에 의한 가족규모 의 축소임. ∙ 평균 가구원수는 1960년 5.6명에서 1995년 3.3명으로 감소함. ∙ 평균가구원수의 감소는 인구증가율보다 더 큰 총가구증가율 에서 잘 나타남. ∙ 평균 가구수의 증가 및 가구원수의 감소는 출산율 저하, 핵 가족화, 그리고 1인가구의 증가 등에 의한 것임.

(38)

2. 家族世代의 單純化와 核家族의 增大

— 평균 가구원수의 변화는 세대구성에도 영향을 주어 가족세대가 단순화되고 핵가족이 증대하고 있음.

□ 1, 2世代 家口의 增加와 3世代 家口의 減少

- 총가구 중 1960년 7.5%, 64.6%의 구성비율을 보이던 1세대 및 2 세대 가구는 1995년 14.7%, 73.7%로 증가함. ∙ 1세대 가구는 첫째, 가족형성 규범의 변화로 무자녀가족의 증가 및 결혼 후 출산까지의 기간 연장에 의해, 둘째, 성인 자녀들의 독립으로 노인들만 남은 가구의 증가에 의해, 셋 째, 미혼가구의 증가와 동반된 형제자매들로 구성된 가족의 증가에 의해 증가함. - 반면, 3세대 가구는 1960년 28.5%에서 1995년 11.6%로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임.

□ 核家族의 增加와 擴大家族의 減少

- 1, 2세대 가구의 증가 및 3세대 가구의 감소는 핵가족의 증가와 확대가족의 감소 등을 의미함. ∙ 핵가족은 1970년 71.5%에서 1995년 79.8%로 증가된 반면, 직 계가족은 1970년 18.8%에서 1995년 9.1%의 절반수준으로 감 소함. ∙ 핵가족엔 「부부가족」, 「부부+미혼자녀」, 「편부(모)+자녀」 등 이 있으며 산업화과정 중 세 형태 모두 증가함.

(39)

∙ 핵가족 형태 중 부부가족은 동부보다 읍‧면부 지역에 많아 이농현상에 의한 농촌지역 노인단독가구의 증가를 알 수 있 으며, 반대로 편부모가족은 읍‧면부보다 동부지역에 많음.

3. 非定型的 家族形態의 出現

□ 1人家口의 增加

- 전체가구 중 1인가구의 구성비율은 1970년 3.7%에서 1995년 12.7% 로 변화하여 1인가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1인가구의 증가는 주로 농촌의 노인독신가구와 도시의 미혼 가구 증가에 의함. ∙ 1995년 현재 1인가구는 전체의 71.2%가 동부에, 20.4%가 면 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음. ∙ 전반적으로 도시지역엔 교육수준이 높고 연령층이 낮은, 미 혼 1인가구가, 농촌지역엔 교육수준이 낮고, 연령층이 60대 이상인, 그리고 사별한 여성가구주의 1인가구가 분포함.

□ 老人單獨家口의 增加

- 사회변동과 평균수명의 연장 및 남녀사망률 차이 등의 인구학적 변천에 따라 노인단독가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 ∙ 도시문제, 가족생활규범 등의 변화 및 노인인구의 증가는 가족안에서 이루어지던 노인부양이 사회적 책임으로 되고

(40)

있음을 말함. ∙ 일차적으로 노인인구의 증가가 노인독신가구 및 노인부부가 구 등 노인단독가구의 증가를 야기함. ∙ 자녀와의 동거형태가 계속 변화함에 따라 노인단독가구는 생활에 있어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이 큰 것으로 알려짐. ∙ 따라서 노인단독가구의 경제적, 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요구되며 여러 측면에서 어려움이 보다 큰 노인독신가구에 대해 보다 적극적 관심이 필요함.

□ 偏父母家口의 增加

- 편부모가구는 이혼, 별거, 사망, 유기 등에 의해 양친 중의 한쪽 과 그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임. - 편부모가구는 자녀양육자 및 주수입원 등의 측면에서 편부가족 과 편모가족간에 차이가 있음. ∙ 편모가구가 겪는 문제는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크며, 부의 부재로 인한 과거 역할기대 및 역할수행 조정과 자녀의 역할 혼란 등에 기인하는 정서적 어려움이 큼. ∙ 편부는 상대적으로 가사일이나 자녀양육 등에서 어려움을 크 게 겪으며 보육시설 이용 등에 의한 교육비 증가 부담이 있 음. 아동 역시 어머니 상실로 인한 발달상의 또는 학교생활 상의 문제를 많이 경험함.

(41)

∙ 따라서 편부모가구에 대하여 편부냐 편모냐에 따라 다른, 즉,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적 지원방안이 강구되어야 함.

□ 새싹가정의 增加

- 이혼, 별거, 가출 등으로 인한 가족해체가 증가하면서 새싹가정- 소년소녀가장세대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 ∙ 새싹가정은 친‧인척과의 동거 또는 그들의 도움에 의지하여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이 생계 및 교육 등에 있 어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특히 성인의 보호가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만 14세 이하 아동들 로만 구성된 새싹가정 단독세대는 생활상의 문제가 더욱 큼. ∙ 따라서 새싹가정의 생활 안정화를 위하여 후견인이나 수양부 모, 그룹홈 등 이들이 성인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第 6 章 家族 機能의 變化

1. 家族機能의 槪念的 論議

□ 家族機能

— 가족기능이란 가족이 수행하는 역할, 행위로서의 가족행동을 의

(42)

미하며 그 행동의 결과가 사회의 유지, 존속이나 가족구성원의 욕구충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의 문제와 관련됨. ∙ 가족은 개인과 사회를 매개하는 위치의 체계인 관계로 사회 지향적 측면과 개인지향적 측면을 모두 가짐. 따라서 가족기 능 역시 가족내적 기능과 가족외적 기능으로 구분됨. ∙ 가족기능은 가족구성원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나타나며, 그 과정에서 개별가족원은 사회변화와 구성원간의 관계변화에 의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따라서 구성원간 관계를 일차 적으로 규정짓는 가족구조의 변화는 가족기능의 변화를 당연 히 수반함. - 가족 기능에 대한 정의와 분류 및 현대가족의 기능에 대한 평가 는 학자들마다 상이하지만 전반적으로 현대가족은 전통적 가족 과 비교해봤을 때 ‘기능이 상실’ 또는 ‘축소’되었다는 것이 일반 적 견해임. ∙ 우리 나라 가족 역시 서구와 마찬가지로 그간의 산업화, 도 시화, 서구화 등에 따른 가족기능의 축소 및 약화를 겪고 있 다고 많은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됨.

□ 硏究方向

— 本 硏究에서는 가족기능을 경제적 기능, 성적 및 재생산 기능, 자녀의 양육 및 사회화 기능, 정서적 기능, 여가 및 휴식기능, 그리고 사회보장기능 등 여섯 가지로 구분하여 그간의 사회변화 에 따른 한국 가족의 기능약화 및 그에 따른 문제점에 초점을 두고 논의함.

(43)

∙ 가족기능의 변화에 대한 가족내적 책임 및 사회적 책임 양자 를 모두 논의하고자 함.

2. 家族機能의 變化樣相

□ 經濟的 機能

— 전통사회에서의 가족은 작업집단의 하나로서, 생산활동은 재생 산활동과 융합되어 가족가치에 의해 규제됨. 그러나 산업화는 가정과 일터의 분리를 가져왔으며 그에 따라 현대 가족은 생산 기능이 약화되고 소비기능이 강화됨. ∙ 가구로부터의 생산 분리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된 것이나 완료된 것은 아님. 즉, 지금도 가족사업 등의 형태로 가족내 생산활동은 존재함. - 가족은 자녀들의 사회화 및 가족밖 경제활동 적응에 요구되는 물질적, 심리적 자원을 제공하며 사회에 대한 노동공급을 계속 하고 있음. 즉, 비록 최근들어 소비주체로서의 가족이 강조되고 있지만 가족의 경제적 기능은 계속 유지되고 있음. - 우리 나라의 산업화 과정은 한국가족의 생산기능 약화 및 소비 기능 강화를 가져옴. ∙ 생산직‧사무직의 증가는 가정과 일터의 분리를 촉진시켜 주 요가족원이 가정밖에서 보내는 시간을 증가시켜 가족의 유대 감을 약화시키는 한 요인이 됨.

(44)

∙ 또한 1차 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에 민감한 2, 3차 산업의 엄 청난 성장은 가계소득 향상에 기여한 반면, 직업의 안정성을 낮춰 가족경제의 안정성을 해치는 한 요인이 됨.

□ 性的 및 再生産 機能

— 과거 전통사회와 마찬가지로 현대 사회에서도 정상적인 규범하 에서 성적 욕구의 본능을 해결하고 종족유지를 가능케 하는 공 간은 여전히 가족임. - 그간의 사회변화는 임신 및 출산의 자유, 다양한 피임법의 개발 및 보급 등을 통해 성에 대한 규범 및 가치관을 변화시켜 가족 의 성적 기능에 변화를 가져옴. ∙ 가족의 성적 기능은 출산을 위한 수단보다는 본능 충족 및 결혼생활 만족요인으로서 보다 능동적 성격이 강화됨. ∙ 특히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는 초혼연령의 상승, 독신자 및 미혼율의 증가 등을 가져오며 가족의 성적 기능을 약화시킴. - 가족의 재생산 기능 역시 급격히 약화되고 있음. ∙ 그간 한국사회가 겪은 출산율의 저하 및 초산연령의 상승, 그리고 특히 연령층에 따라 크게 차이를 보이는 기혼부인의 유배우 출산율 저하추세는 가족의 재생산기능 약화를 잘 보 여줌. - 가족의 성적 및 재생산 기능의 약화는 성개방풍조 등과 맞물려 가족의 성규제적 기능의 약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성적 규범 및 가치관의 혼란 등을 야기하고 있어 그에 대한 대책이 요구됨.

(45)

□ 子女의 養育 및 社會化 機能

— 자녀의 양육 및 사회화 기능은 자녀의 지적 및 정서적 측면, 진 로, 결혼, 성격 등 자녀의 성장과 인격형성에 관련된 제반 문제 를 지도하는데 있어서의 가족역할을 말함. - 그러나 근래 산업화와 함께 사회가 다원화, 이질화, 전문화되면 서 자녀의 양육 및 사회화 기능은 전문인 또는 전문기관으로 이 전되고 부모는 자녀양육에 있어 3자적 입장에 처하게 됨. ∙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보고서󰡕에 의하면, 실제 한국 가족이 자녀 보살피기에 소요하는 시간은 1일 평균 남성 9분, 여성 49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우리 나라 가족의 동 기능의 약화를 잘 보여줌. ∙ 실제 자녀양육 및 사회화 기능은 정규학교, 보육시설, 유치 원, 학원 등의 전문기관으로 많이 이전되었으며 이는 보육시 설을 활용하는 아동수가 계속 증가하는 데서도 잘 나타남. - 우리 나라 가족의 자녀양육기능 약화는 특히 인성위주가 아닌 입시위주의 한국 교육제도에 기인하는 바가 큼. ∙ 고학력 및 좋은 학벌이 출세의 발판이 되면서 발생한 조기교 육열 및 과잉교육열은 자녀의 입시경쟁력을 높이는 데 모든 가족자원을 소모하며 자녀의 과잉보호 및 가정교육 부재 등 의 부작용을 낳고 있음. - 오늘날 더욱 심각한 문제는 세대간 갈등과 세대차이의 문제로 나타나는 자녀의 사회화 기능 퇴화임. 이는 가족내 부모-자녀간 의 소통 및 유대 약화가 사회적으로는 세대간 통합 및 문화전승

(46)

의 저해로 이어짐을 말해줌.

□ 情緖的 機能

— 현대인은 사회‧경제적 활동시간 및 직장생활과 학교생활에서 받 는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긴장과 갈등을 완화시켜주는 공간으로서의 가족이 더욱 중요시됨. ∙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보고서󰡕에 의하면 가족 정서적 기능 의 발현으로서 남편 및 아내가 각 가족원을 보살피는데 투여 하는 시간은 매우 낮은 수준에 그치고 있어 우리 나라 가족 의 정서적 기능약화가 심각함을 말해줌. - 한편 가족의 정서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가족관 계에 있어서도 부부관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 부부 관계가 부자관계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증가하고 있음. ∙ 부부중심가족은 가족성원 생활태도의 개성화를 진작시켜 부 부간 갈등야기 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배우자선택 및 결혼을 개인화시켜 가족성립조건을 불안정하게 하는 등 가족내외적 으로 가족기능 약화를 가져오기 쉬움.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새싹가정(소년소녀가장세대)’ 및 요보호 아동의 증가가 이를 잘 말해줌. - 가족의 정서적 기능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한국 가족의 그 기능은 계속 약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됨.

(47)

□ 餘暇 및 休息의 機能

— 가족의 여가 및 휴식 기능은 일터와 가정의 연결, 인적 자원의 재충족, 노동력의 질적 향상, 나아가 개인 및 가족 삶의 질 향상 에 절대적인 역할을 함. ∙ 가족원간 생활의 개인화 및 이질화, 그리고 사회경제활동시 간의 증가로 인한 가족공유시간의 감소 등이 가족간 대화부 족과 그로 인한 가족문제를 사회문제로 만들고 있는 요즘 가 족의 이 기능은 더욱 중요해짐. ∙ 그러나 실제 우리 나라 가족의 여가 및 휴식 기능은 미약하 여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보고서󰡕를 보면 개인의 여가활용 은 가족보다는 개인생활로 소모하는 비율이 높음. ∙ 이는 가족원간의 대화부족 및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발생 시킴. 따라서 가족문화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등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오늘날 여가 및 휴식기능은 대부분 창조적 활동보다는 ‘상품소 비’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계급 및 계층간의 불평등 문 제가 큼. 특히 노인들은 거의 소외되고 있음. ∙ 근래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관련 상품도 증대되고 있 음. 이에 부유층의 과시적 여가상품 소비풍조는 사회적 과소 비 및 계층간 괴리감을 조장하는 문제가 큼. ∙ 따라서 소박하고 내실있는 가족놀이문화가 절실히 요청됨. 무엇보다도 한국가족의 정서적 기능 약화, 가족갈등의 증대

(48)

등에 대한 가족내 해결책은 가족의 여가 및 휴식기능 강화 에 있기에 그 대응방안 마련은 더욱 중요함.

□ 社會保障的 機能

— 공적인 부조제도가 미약한 한국 등 유교문화권 국가에서 가족이 수행하는 사회보장기능은 매우 중요함. 그러나 사회변화 및 그 에 따른 가족변화로 우리 나라 가족의 사회보장기능은 위기를 맞고 있음. ∙ 즉, 오늘날 가족은 사회보장기능을 담당할 인적 및 물적 자 원, 시간적 여유가 없음. - 가족의 사회보장기능 약화는 최근 중요한 社會問題가 되고 있는 노인부양문제에서 잘 나타남. ∙ 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 인구는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으로 여러 어려움에 처해있으며 이는 개별 가족단위에서 해결할 수 없음. ∙ 이에 노인부양문제에 대한 國家的, 社會的 責任이 강조되는 추세임. ∙ 그러나 노인이 겪는 심리적 고립감, 외로움 등 情緖的 支持 문제의 해결은 가족을 통해서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에 가 족의 사회보장제도로서의 기능은 여전히 중요하며 또 강화되 어야 함.

(49)

第 7 章 家族의 形成 및 週期 變化

1. 配偶者 選擇 理論

□ 수레바퀴 理論

— 수레바퀴 이론은 두 사람이 사회‧문화적 배경의 同質性으로 인한 공감대의 형성, 자기표현 증대를 통한 상호이해의 심화, 협동적 경험공유를 통한 相互依存의 심화 단계를 통해 애정의 관계를 맺는 과정으로 발전한다고 봄.

□ 刺戟-價値-役割理論

— 자극-가치-역할이론은 남녀가 서로에게 매력을 느끼고 양립할 수 있는 유사한 가치관을 발전시키며 현재와 결혼이후의 역할기대 및 수행능력 평가에 대한 상호 滿足을 共有할 때 결혼으로 발전 된다고 봄.

□ 濾過理論

— 여과이론은 개인이 현실적‧지리적 근접성, 호감과 매력, 사회 적 지위 등의 배경, 가치관의 동일성, 서로에 대한 욕구충족 및 보완가능성 등의 여과망을 통해 가능한 배우자 대상들을 점차 좁혀 배우자를 선택하며 마지막으로 결혼준비의 여과망 을 통과했을 때 결혼하게 되는 것으로 봄.

(50)

□ 配偶者 關係 形成모델

— 배우자 관계 형성모델은 유사성 지각 단계, 친화감(rapport) 달 성 단계, 자기표현 단계, 상호 역할개념 파악 단계, 역할기대 및 보완능력 파악 등 역할의 적합성단계, 그리고 상호결정 단계 등 6단계로 배우자 선택과정이 구성된다고 봄.

□ 交換理論

— 교환이론은 이익 극대화 및 공정교환의 원리에 따라 자신에게 가장 많은 보상을 줄 수 있고, 또 상호 교환하는 자원의 질과 양이 동등한 이성을 배우자로 선택하게 된다고 봄.

2. 우리 나라 家族形成過程의 變化

□ 配偶者 選擇條件 및 結婚決定의 變化

— 배우자 선택조건은 전통혼에서 중요시하던 가문이나 사회‧경제 적인 지위 등에서 배우자 개인의 성격 등으로 변화함. ∙ 가장 중요한 배우자 選擇基準으로 배우자 성격을 지목하는 비율은 연령이 낮을수록, 미혼일수록 더 높아 배우자 선택에 있어 부모의 영향력보다는 당사자의 自律性이 더욱 강조되 는 추세임. — 결혼전 상호적응 및 조정을 위한 交際期間이 점차 길어지고 있음. ∙ 조사결과에 의하면 최근에 결혼한 부인들일수록 교제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남.

(51)

∙ 이는 결혼결정에 있어 당사자의 자율성이 증대되면서 상호간 의 조정이 더욱 중요해진 결과로 파악됨. — 최근의 가족형성과정에서는 혼인당사자의 자율성이 증대하면서 자신의 의사로 배우자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음. ∙ 조사결과에 의하면 최근에 결혼한 부인일수록 ‘선 본인결정, 후 부모동의’ 형태와 ‘전적으로 본인결정’ 형태의 비율이 높 고, ‘전적으로 부모결정’이나 ‘선 부모결정, 후 본인동의’ 형 태의 비율은 감소함.

□ 家族形成 時期의 變化

— 교육기간의 연장, 가외취업의 보편화 및 취업기회의 확대에 따 라 혼전 역할이 多樣化됨으로써 초혼연령이 지속적으로 상승함. ∙ 남자의 초혼연령은 1975년에 27.4세에서 1999년에는 29.1세 로, 여자의 경우는 각각 23.6세에서 26.3세로 증가함.

□ 結合形態의 變化

— 부부간의 年齡差異에 의한 결합형태도 변화를 보여 남자가 연상 인 경우는 좀더 감소한 반면, 동갑이거나 여자가 연상인 경우는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임. — 최근 재혼율 및 평균 재혼연령이 남녀 모두 증가하고 있음. ∙ 1988년에서 1999년 사이 재혼율은 남자 9.8%, 여자는 10.3% 로 증가하여 여자의 재혼증가폭이 남자보다 더 큰 것으로 나 타남.

(52)

∙ 1990년에서 1995년 이후까지 평균재혼연령은 남자의 경우 30 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으로, 여자의 경우 30대 중반에서 30 대 후반으로 모두 상승함. — 또한 남녀간의 結婚經歷別 結合形態도 다양해져 여자초혼-남자 재혼 및 여자재혼-남자재혼 비율이 증가함.

3. 家族週期의 槪念과 段階別 區分

□ 家族週期의 槪念

— 가족주기는 가족이 결혼, 자녀출생, 자녀의 출가, 가계부양자의 퇴직, 배우자의 사망 등 일련의 가족생애사건들(family life events)을 段階的으로 經驗하면서 형성-확대-축소-해체되어 가는 과정을 의미함.

□ 家族週期段階의 基準 및 分類

— 가족주기는 2세대 핵가족을 중심으로 부부가 가족을 이루는 초 혼연령에 기반하여 산출함. ∙ 가족주기는 일반적으로 결혼, 첫 자녀 및 막내 자녀 출산, 자 녀의 결혼 및 배우자의 사망 등 人口學的 事件에 따라 가족 형성기, 가족확대기, 가족확대완료기, 가족축소기, 가족축소완 료기, 가족해체기의 6단계로 구분함(세계보건기구, 1976).

참조

관련 문서

Interagency Working Group on Social Cost of Carbon(2015), Technical Support Document:- Technical Update of the Social Cost of Carbon for Regulatory

연마하는 동안 표면의 상호 작용은 슬러리 안에 물의 존재에 따라 즉,pH 농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그러나 물이 유기 용매로 대체되면 그 영향 은

자기통제 요인에서는 스포츠활동 참여 정도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해 임번장(1995)은 스포츠활동의 경험에서 얻어지는 규칙 의

이러한 색을 은폐색(Crytic coloration)이라고 해요... 이를 혼란색(Disruptive

Modern people living in cities have diverse and close relationships with urban spaces. As institutions or social structures have developed since industrialization,

분포 상태는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이회량 은 줄넘기 훈련 전 후의 혈청 의 일시적 변화와 적응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주간의 운동에 의 한 활성의 변화에

다만, 국가계획과 관련된 경우나,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지정되는 용도지 역, 용도지구 또는 용도구역과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이루어지는 사업의 계

그러나 가족의 위기상황 속에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환자의 건강 회복에도 영향을 줄 뿐 아니라,가족의 안녕과 환자가 가정으로 돌아갈 때,가족생활의 적응 을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