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第 11 章 多樣한 家族의 出現

문서에서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페이지 75-78)

- 한국 사회의 변동 및 그에 따른 개인의 가치관 변화는 가족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適應을 요구함. 이에 다양한 形態의 가족들 이 출현하고 있음.

∙ 새로운 가족형태들은 보는 觀點에 따라 한국가족의 危機를 나타내는 指標일 수도 있고 새로운 가족생활에 대한 대안적 모델일 수도 있음.

∙ 그러나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실을 直視하고 그 긍정적 측면 을 적극적으로 認定, 受容할 필요가 있음.

∙ 특히 情報社會로의 변화는 生活樣式 및 家族形態의 分化‧多 樣化를 더욱 加速化시킬 전망이어서 이들 가족에 대한 관심 이 더욱 요구됨.

1. 多樣한 家族의 論議와 爭點

- 가족에 대한 기존연구는 대부분 남녀의 ‘自然的’ 性別分業에 기 반한 핵가족을 定型的인 가족모델로 하여 수행되어 왔음.

∙ 構造機能論的 연구가 대표적임.

∙ 이는 근대사회와 핵가족, 그리고 전통사회와 확대가족 사이 의 필연적 연관성을 常識化시켜옴.

- 이러한 정형화된 가족(the family)에 대한 비판과 도전이 1960년

대부터 활발해짐.

∙ 우선 서구의 家族史硏究는 가족형태가 지역별, 시대별로 매우 다양하였음을 보여줌. 이는 가족의 變化에 대한 인식 을 제고시킴.

∙ 페미니즘 및 맑시즘 등 批判理論들은 가족이 안정되고 조화 된 하나의 行爲體가 아니라 다양한 이해를 가진 개인들간의 緊張과 葛藤이 존재하는 社會的 場임을 보여줌.

∙ 특히 페미니스트 연구는 가족이 여성의 抑壓에 기반한 家父 長的 社會秩序의 再生産 기제임을 밝힘으로써 가족을 실천 의 대상으로 규정하는 데 크게 기여함.

— 1980년대 등장한 포스트모던 가족론은 現實의 無限한 多樣性 을 주장하며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 자체를 核心的 主題로 부 각시킴.

- 다양한 가족형태와 관련된 논의들은 결국 ‘가족’에 대한 정의 문 제임. 가족이 불변의 고정된 實體가 아니라는 점에서 가족에 대 한 定義는 유연할 수 있고 또 그렇게 될 필요가 있음.

2. 西歐社會에서의 多樣한 家族의 出現

- 유럽과 미국사회에서 ‘傳統的 家族의 崩壞’ 및 독신가족, 동거가 족, 재혼가족, 독신모가족 등 다양한 가족들의 확산은 이미 지배 적 추세로서 사회적으로 인정되고 있음.

∙ 이러한 변화는 일차적으로 結婚率의 低下와 離婚率의 上 昇에 의함.

∙ 결혼율 저하와 이혼율의 안정화는 동거율의 증가에 의한 것 으로서 유럽사회에서 동거는 一般化된 家族生活形態임.

∙ 同居의 普遍化는 혼외출산의 증가로 이어져 동거가 결혼보다 일반화된 스웨덴은 1999년 현재 전체 출생아 중 혼외출생아 비율이 55%에 달함.

∙ 이혼율의 증가는 재혼율의 증가와 그에 따른 의붓가족의 증 가를 가져옴. 유럽에서 이혼율이 가장 높은 영국의 경우 의 붓부모와 자식간 갈등이 새로이 社會問題化 되고 있음.

∙ 남녀간 再婚率의 차이에 따라 편부가족보다 편모가족이 많은 것은 일반적 현상임. 특히 유럽의 편모가족 증가는 婚外出産 率 증가에 의한 것이 큼. 최근엔 獨身母(自發的 未婚母)가족 도 증가하는 추세임.

— 그 외 無子女家族 및 獨身者의 증가, 동성애가족의 合法化 등 서구의 가족형태 分化, 多樣化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임.

3. 多樣한 家族生活

- 한국 가족형태의 다양성은 그간 개인의 生涯週期 및 階級論的 觀點에서 많이 수행되었고 한국 가족변화의 중요한 特徵으로 지 적되어왔음.

∙ 그러나 최근 출현하고 있는 다양한 가족들(families)은 과거의

‘非定型的’ 가족형태와는 다른 성격을 가짐.

∙ 즉, 새로운 가족생활에 대한 모색으로서 ‘代案 家族’들이 라는 것임.

문서에서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페이지 7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