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生態理論

문서에서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페이지 117-120)

第 1 節 家族關聯 諸 理論

7. 生態理論

생태이론은 생물학적 유기체로서 또 사회적 존재로서의 환경과 상 호작용 하는 인간 및 가족에 초점을 두며, 1960년대 인간행동과 환경 의 질 사이에서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하고 전체주의적 (holistic), 체계적 관점이 확산되면서 부흥하게 되었다. 가족연구에서의 생태학적 관점은 1892년 리처드(Ellen Swallow Richard)가 주장한 오이 콜로지(oekology)가 가정학으로 정착되면서 가족의 안전과 건강, 더 나 은 삶의 질과 환경과의 연관성에 대해 초점을 두고 사회과학과 자연

과학 뿐 아니라 예술과 인문과학의 다양한 연구성과들을 차용하여 학 제적 성격의 이론으로 발전되었다. 현재 생태이론은 가정관리, 가족자 원관리, 가계경제학 등을 다루는 많은 이론들의 기본 개념 틀로 적용 되고 있다. 가족생태학은 가족들과, 여러 수준 및 종류의 외적 체계들 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들의 관계에 연관되는 광범위한 문제들을 연 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일반이론으로 어떤 특정한 가족유형이나 형 상에 기초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활단계나 생활환경을 경험하 고 있는 다양한 구조나 국가, 민족 혹은 인종의 가족들에게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생태이론은 첫째, 환경과 상호작용 하는 가족이 생태계를 구성한다 는 것, 둘째, 가족이 하나의 집단으로서 그 자체와 사회의 共同善을 위해 구성원들에 대해서 물리생물학적 유지, 경제적 유지, 심리 사회 적 기능과 양육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 셋째, 세상 모든 사람들과 지 구자원과의 상호의존성으로 세계의 생태학적 건강은 국가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가족이 취하는 결정이나 행동에 달려 있다는 것 등을 기본 전제로 한다. 이러한 생태학적 관점의 밑바탕에 깔린 핵심적인 가치 는 생존의 가치로서 다른 생명체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존과, 생명을 지탱하려는 비생물적인 환경의 유지와 지속성을 포함한다. 人間向上 의 개념이 또한 핵심적인데 향상(betterment)은 “더 나은 것을 위해 존 재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체계에서의 변화이며 그 자체 궁극적인 善 으로 간주된다.

이에 생태이론은 크게 다음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들을 주되게 다룬 다. 첫째, 가족의 생존, 삶의 질 향상, 그리고 자연자원의 지속적인 산 출을 보장하기 위해 내적으로든 혹은 그들 환경과 상호 의존하는 체 계로서든 기능하고 적용하는 과정과 다양한 방식, 둘째, 개인과 집단 으로서의 가족의 요구와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족이 사용하는 자

원의 할당과 관리방식 및 그 효과, 셋째, 다양한 종류, 차원의 환경과 환경적 변화가 인간발달에 미치는 영향, 넷째, 인간 생활의 질을 향상 시키는 환경을 창조하고 관리하고 고양시키기 위해, 그리고 생명에 필요한 환경과 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 이루어져야 할 실천 및 그를 위한 가족의 역할, 다섯째, 인간 자체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변화의 종류와 내용 및 그에 대한 가족과 가족전문가의 기여방식이 그것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태이론은 물질, 에너지, 정보, 공간, 시간 등 일반체계개념과 인간생태계, 유기체, 인구, 환경, 상호 작용, 상호의존성, 지각, 조직, 테크놀러지 및 적응 등의 인간생태학적 개념, 그리고 가족, 욕구, 가치, 목표, 자원, 인공물, 관리, 의사결정, 유지활동, 의사소통, 인간발달, 인간생활의 질 및 환경의 질 등 가족 생태학적 개념을 그 주요개념으로 하고 있다. 생태이론에 기반한 연 구의 대표적 주제를 몇 가지 보면 가족의 특징을 찾기 위한 가치유형 론, 가치와 구축된 환경, 특히 가정설비 이용간의 관계, 환경으로부터 정보가 지각되는 방식의 차이에 기반한 의사결정 양식의 유형, 가족 의 에너지 소비와 보존, 가족-지역자원 연계와 가족재산간의 관계, 아 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간‧외부‧거시체계와 가족체계의 연관성, 일정한 경계와 규모내 특정가족의 전반적인 생활방식 및 적응행동 등 이다.(Boss et al., 1993)

생태이론은 우선, 물리체계에 기반한 일반체계이론의 가정이 가족 생태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가라는 점에서, 또 이론의 일반성의 수준 및 영역의 광범위성으로 인한 기술적‧질적 說明力이 제한된 다는 점에서, 그리고 抽象性이 높음으로 인해 개념화와 용어가 불 명확하다라는 점 등에서 이론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가족 생태이론은 아직 성숙해 가는 과정에 있는 일반이론이기 때문에 그 잠재력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家族關聯 諸 理論을 時間, 分析水準, 가족 변화에 대한 觀點 등에 의해 3차원적으로 그 특징을 요약해보면 <表 2-1>과 같다.

〈表 2-1〉家族關聯 主要 理論의 3次元的 類型化 시간

정적 동적

수준 및 변화 내생적 외생적 내생적 외생적

개인적 차원 교환이론 관계적 차원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가족적 차원 생태학적이론 체계이론 체계이론

발달이론

제도적 차원 갈등이론

발달이론 資料: Klein, David M. & James M. White, Family Theories, Sage Publitions,

1996: 유계숙 외 편역, 󰡔가족학이론󰡕, 1999에서 재인용.

문서에서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페이지 117-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