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第 2 節 壓縮的 社會變動과 家族價値觀

문서에서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페이지 193-197)

서구에서 2~3세기 동안에 이루어진 사회변동을 불과 40~50年의 짧은 기간동안에 압축적으로 경험해 온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家族主 義는 변함없는 특성으로 거론되고 있다. 식민통치, 전쟁, 군부쿠데타, 産業化로 이어지는 격동의 시간 속에서 우리 나라 사람들은 자신의 물질적, 신체적, 정신적 보호를 위해 國家와 社會라는 共同體에 의존 할 수 없었다. 대신 가족을 중심으로 갖가지 위기에 대처하고 새로운 기회를 개척해 나가고 사회적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따라서 한국인 들의 家族主義, 구체적으로 가족중심주의는 급격한 사회변동을 체화 시켜 나가는 일종의 機制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20세기 사회사는 민족의 가족사들을 조합해 구성해 보는 것이 가장 체계적인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한국인들의 가족 중심적 삶이 모든 가족성원에 의한 특정한 기족가치관의 공유를 전제로 한 것은 아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갖 고 있는 가족에 대한 이해와 태도는 오히려 세계 어느 사회보다도 다 양하고 복합적이다. 이에 따라 사회 전체는 물론 한 가족 내에서도 가족성원마다 상이한 기족가치관이 서로 조율되지 못해 많은 갈등이 생기며, 사회적 및 개인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족구성원들이 가족에 의존하면 할수록 이러한 갈등이 증폭될 수 있다. 한 가족 내 에서의 세대, 성별 등에 따른 기족가치관의 차이는 흔히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대화를 통해 조율되기보다는 가족 내 권력관계에 의해 권위 주의적으로 통제되거나, 아예 가족성원들간의 대화와 접촉을 감소시 키는 작용을 하는 경향이 있다.

가족 내부에 다양한 기족가치관이 존재하는 것 자체를 사회문제로 볼 수는 없으며, 오히려 생동감 있는 가족문화를 만들어 내는 자원으

로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기족

배경을 갖고 있다. 특히 敍情主義的 家族價値觀과 個人主義的 家族價

値觀은 여성이 가족 내적 존재로서 심성적 태도와 기능이 중요하다고 보는 데에서 일치하며, 이는 儒敎的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 우리 나라의 상류층 가족에서 敍情主義的 家族價値觀이 쉽게 수용된 배경 이 되었다. 동시에 유교이념은 여성의 가정적 및 사회적 지위를 극도 로 억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서구의 여성주의적 주장과 個人主義 的 家族價値觀이 한국 사회에서 강한 호소력을 가질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28)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호 이질적이고 상충적인 기족가치관들 이 우리 사회와 가족 내에서 동시에 공존하는 사실은 거시적 사회변 동과 마찬가지로 매우 우발적인 현상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러한 우발적 다원성이야말로 우리 나라 사람들의 가족관계와 가족생활의 본질적 딜레마를 규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질적 기족가치관들 사이 의 갈등과 부조화는 각각의 기족가치관이 갖고 있는 문제점과는 별개 로 겪어야 하는 것으로, 한국인들이 가족관계와 가족생활에 엄청난 심리적 부담을 안고 있음을 말해 준다. 아래에서는 네 가지 기족가치 관들의 내용과 배경을 살펴보겠다.29)

28) 이에 관련하여, 다양한 기족가치관의 우발적 공존을 주장하는 데 대한 반론이 제 기될 수 있음. 예를 들어, 페미니스트 입장에서는 한국인들이 갖고 있는 도구주 의, 서정주의, 개인주의 기족가치관들은 결국 儒敎的 가부장제 기족가치관에 종속 되어 있는 것으로 한국 가족의 근본적 가부장성을 부정하지는 못한다고 볼 수도 있음. 반대로 유교주의자 입장에서는 개인주의 기족가치관 등의 확산은 儒敎的 家族價値觀의 뚜렷한 쇠퇴를 분명히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도 있음.

29) 다양한 기족가치관들의 내용과 배경에 대한 아래의 논의는 장경섭의 「한국가족의 이념과 실제: 家族規範의 다중성과 내부모순」(󰡔철학과 현실󰡕 제22호, 1994)에 일 부 제시된 내용을 수정하고 대폭 보충한 것임.

문서에서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페이지 193-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