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第 2 節 家族硏究의 最近 動向

문서에서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페이지 120-124)

연구동향의 파악은 연구대상 또는 문제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성과 및 한계에 대한 성찰을 통해 앞으로의 더 나은 연구방향을 모색하는 데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그 동안 집적된 연구물은 한국 지식인 사회의 관심주제, 연구관점 및 연구활동 내역을 담은 역사적 사실로 서 사회사적‧지식사회학적 고찰의 대상이 되며, 무엇보다 특정 주제 와 대상에 대해 시기별로 변화를 보이는 연구내용과 방향은 그 자체

로서 우리 나라 사회현실의 변화 궤적을 보여준다. 따라서 해방이후 한국 학계의 가족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가족의 변화상, 나 아가 그 변화의 배경요인이자 맥락으로 작용하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특징 및 그 역사적 근대화 과정의 일면을 알 수 있다.

가족에 대한 연구는 사회과학을 중심으로 가정학, 의학, 법학, 행정 학 등 다양한 학문분과에서 이루어져왔으나 기존 가족연구에 대한 동 향 파악은 주로 가족사회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최재석, 1976:

한남제, 1984: 조은, 1986: 박민자, 1993: 이동원‧함인희, 1996 등)6). 가 족사회학의 연구동향 파악은 시대별로 분석대상이나 주제, 접근시각, 연구문제의 범위, 연구방법 등 몇 가지 기준을 통해 기존 연구물들을 분류하고 그 양적‧질적 개요를 파악하거나 질적 수준이 높은 몇 가지 중심적인 연구물을 중심으로 각 연대별로 나온 연구결과들의 중심적 인 내용을 연구문제별로 정리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서는 전자의 방법을 취하되, 분류의 기준을 연구영역 및 연구 주제로 하였는데, 이는 본 글에서 사회학적 접근의 가족연구뿐만 아 니라 보다 실용적이고 정책적인 관심에서 이루어진 것들, 예를 들면 사회복지학 쪽의 사회사업 또는 정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나 의학 쪽의 임상사례 분석과 관련된 장애인 또는 환자아동의 가족생활 연구 등, ‘가족’ 그 자체나 가족과 관련된 사회현상을 연구대상으로, 또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더라도 연구문제가 가족관련 현상인 경우 등 가족 현상과 관련하여 새로운 또는 보다 심화된 인식을 제공하는 기존의 모든 연구물을 가족연구로 포괄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포괄적 범위에서 가족관련 연구의 동향을 그 주제에 따라 양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일면 우리 나라 가족현상의 본질과 성격을 밝힌 기존연구의 학

6) 각 학문별(인류학, 사회학, 경제학, 가정학, 법학, 교육학) 가족연구의 개략적인 동 향과 성과는 한국가족학회의 󰡔가족학논집󰡕(1993)을 참조.

문적 성과 및 한계를 피상적으로 파악하게 할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그러나, 학문분과별, 학자별, 시기별 등으로 너무나 다양하고 방대한 가족연구의 질적 내용을 본 연구에서 모두 담아내는 데에는 현실적으 로 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무엇보다 우리 나라 가족의 변화를 다양한 측면에서 보여주고 그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본 저술 의 목적은 오히려 가족관련 연구주제들의 양적 분포를 시기별로 개괄 하는 것으로도 잘 달성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판단은 당대의 사회현실과 학자들의 연구관심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 성이 존재함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글의 자료는 저널에 실린 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이며, 일반적 인 내용을 모아 정리한 교과서이거나 이미 출간된 논문을 모아 엮어 펴낸 경우가 대부분인 단행본은 일단 제외하였다. 자료의 수집자체가 완벽하게 될 수 없다는 한계, 그리고 분류대상으로의 선정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본 글에서 분류대상 으로 한 연구목록은 우선 1999년 경희대 유영주 등이 수집‧정리한 하 우출판사의 󰡔가족학 논문 목록집󰡕에 실린 것들을 중심으로 하였다. 또 한 연구주제의 분류도 대부분 이 목록집의 그것을 많이 따랐다. 그 외 1989년 한국가족학연구회에서 편찬한 󰡔가족학 논문목록󰡕 및 그간 연구 동향을 정리한 다른 글들-이동원‧함인희(1996), 가족학논집5(1993)-에 실린 연구 목록을 보충하였으며, 연구주제가 둘 이상의 분야에 대등한 비중으로 걸쳐있는 연구들의 경우는 중복하여 포함하였다.

한국 가족연구의 변화동향에서 우선 눈에 띄는 가장 큰 변화는 그 양적 규모의 성장이다. <表 2-2>는 1960년대부터 최근에까지 이른 그 변화를 연구영역 및 연구대상별로 요약한 것이다.

〈表 2-2〉韓國 家族硏究의 領域 및 對象別 主要 動向1)

문서에서 한국 가족의 변화와 대응방안 (페이지 12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