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과제(1/2차년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과제(1/2차년도)"

Copied!
18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8 R 864 ( 1/2 ) R

864 l 2018. 12. l

www.krei.re.kr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과제(1/2차년도)

The Fulfillment of the Livestock Industry’s Social Responsibility and Policy Issues (Year 1 of 2)

+ | 연구책임자 | 우병준 bjwoo@krei.re.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미주리대학교 농업경제학 박사 | 연구참여자 | 김현중 kim1025@krei.re.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건국대학교 경영학 박사 박성진 seongjin20@krei.re.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오클라호마주립대학교 농업경제학 박사 서강철 softvalue@krei.re.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전남대학교 경제학 석사

The Fulfillment of the Livestock Industry’s Social Responsibility and Policy Issues (Year 1 of 2)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과제

(1/2차년도)

www.

krei

.re.kr

우병준 ㅣ 김현중 ㅣ 박성진 ㅣ 서강철 2018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R839 국가 푸드플랜 수립 방안 연구 R840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병해충 영향과 대응과제 R841 농식품 기업의 수출 결정 요인 및 전략 분석 R842 농식품 표시정보 현황 및 활용도 제고 방안 R843 농업분야 부가가치세 제도 발전 방향과 과제 R844 농업의 다원적 기능 확충 방향과 과제 R845 농업환경자원 관리 정보체계 구축 기초연구 R846 농지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농업진흥지역 지정·운영 개선 방안 R847 농촌 노인의 문해력 제고 방안 R848 농촌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혁신정책 추진 방안 R849 농촌지역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R850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농촌기업 활성화 방안 R851 산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공유림 활용 방안 R852 소비 변화에 대응한 식량정책 개선 방안 R853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R854 원예농산물 통합마케팅조직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R855 주요 채소류의 수급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 R856 중소 식품업체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정책과제 R857 농림업 분야 중점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 R858 농업·농촌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 (1/5차년도) R859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2/2차년도) -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 대상 심층연구 R860 미래 국토 전망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방안 연구 (2/3차년도) R861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 (2/2차년도) R862 제4차산업혁명 시대의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 (1/2차년도) R863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1/3차년도) R864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과제(1/2차년도) R865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 (4/5차년도) R866 북한의 농림축산물 교역 동향 분석과 향후 전망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T. 1833-5500 F. 061) 820-2211

(2)
(3)

연구 담당 우병준︱연구위원︱연구 총괄, 제1, 2, 6장 집필 김현중︱부연구위원︱제3, 5장 집필 박성진︱부연구위원︱제4, 5장 집필 서강철︱연구원︱제5장 집필 연구보고 R864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과제(1/2차년도)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8. 12.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 02-2269-9917 I S B N︱979-11-6149-256-8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4)

i

머 리 말

지속적인 경제 성장으로 국민들의 축산물 소비가 증가하면서 우리나라 농업에서 축산업의 경제적 위상이 매우 높아졌다. 축산업의 성장 배경에는 경쟁력 제고와 경제적 효율성 극대화에 기초한 공장식 축산 적용 확대가 있다. 최근 이러한 사육방식의 부정적 측면이 강조되고 축산업에 대한 사회 적 요구내용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의 요구에 대한 축산업의 책임 이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어떻게 충족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미와 내용을 정리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필요한 정책 방 향과 과제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반 국민과 축산업 생산자를 대상으로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인식 및 행태조사와 중요도 -만족도 분석(IPA)을 함께 실시하였다. 지속가능한 축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현재 상황에 대한 축산업 종사자 들의 인식 개선과 자발적 변화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 축산업의 역할은 동 물성 단백질의 안정적 공급원으로 한정적이었으나 지금은 그 책임과 범위 가 확대되어 생명을 다루는 동물자원산업으로서 더 많은 가치를 창출이 요 구되는 경제적·사회적 영역으로 변화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이 연구가 우리나라 축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연 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2018.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5)
(6)

iii

요 약

연구 배경과 목적 농축산물 시장개방의 위기에 직면하면서 우리나라 축산업은 경쟁력 확 보를 위해 대량의 축산물 생산에 적합한 공장식 축산 경영방식을 도입했 다. 이를 통해 농가의 경제적 이익이 극대화될 수 있었으나 빈번한 가축 전염병 발생과 축산물 안전성 문제 제기, 대규모 사육 방식에 의한 악취와 환경오염 발생, 비인도적인 사육방식과 동물학대 문제 등 공장식 축산업의 부정적 측면이 제기되었다. 사회가 요구하는 축산업의 역할은 과거에 비해 복잡·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축산업을 둘러싼 이해당사자의 입장이 다르고 사회적인 대화도 충 분하지 못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축산업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의 요구를 정확히 인식하고 대응해야 한다. 따라서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지를 정리하고 책임 이행을 위한 정책과제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축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사회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으로 축산업이 계속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의 1차년도는 축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이 무엇인지를 정 의하고, 사회적 책임 이행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그 범위와 내용을 구체화 하는데 주력한다. 이를 바탕으로 축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과 제를 도출한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축산업의 제도 개선 및 발전에 대한 기 존 연구들과 사회적 책임의 정의 및 이행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또 한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축산정책과 관련 법령이 어떻게 변화해 왔 는지를 정리하였다. 축산관계자 면접조사를 통해 축산 관련 기업들의 농업 과 연계된 사회공헌 활동 사례를 검토하였다. 관련 전문가 그룹과의 집단

(7)

iv 면담과 인터뷰를 통해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내용을 설정하고 소비자 및 생산자 설문조사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과 이해당사자들의 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소비자와 생산자를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IPA를 실시하였다. 또한 소비자를 대상 으로 친사회적 효용함수를 적용한 분석을 실시하여 환경보전과 동물복지 등이 유의미한 구매 결정요인인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내용 이 연구 제1장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축산업의 제도 개선 및 발전 에 대한 기존 연구들과 사회적 책임의 정의 및 이행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 하였다. 또한 축산 관련 기업들의 농업과 연계된 사회공헌 활동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선행연구 사례들도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제2장에서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였다. 특히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을 기업의 사회 적 책임 이행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의 한계를 정리하고, 이 연구에 서의 기본적인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외부불경제 최소화, 기업 의 사회적 책임(CSR), ISO 26000 등의 내용을 검토한 후, 축산업의 사회 적 책임이 무엇인지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가 요 구하는 축산업의 역할을 ‘안전한 축산물을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 으로 생산·공급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축산업이 사회적 요구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 한 축산업의 역할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은 축산물 생산과정이 합법 적이고, 각종 외부불경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동물복 지와 같은 윤리적 행위의 실천까지 요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 였다.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이 연구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시민적 책 임, 경제적 책임, 생태·환경적 책임, 윤리적 책임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축산업을 둘러싼 여러 가지 대내외적 환경변화와 이에 대 응하여 축산정책과 관련 법령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정리하였다. 해방 이

(8)

v 후 지금까지의 축산 관련한 주요한 이슈들을 바탕으로 정책 대응체계와 과 정을 살펴보며, 미래 다가오는 이슈와 이에 대응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하 였다. 제4장에서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이해당사자들의 행태 를 분석하기 위해 소비자와 생산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중요 속성들에 대해서도 IPA를 실시하였다. 또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친사 회적 효용함수를 적용한 분석을 실시하여 환경보전과 동물복지 등이 유의 미한 구매 결정요인인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생산자와 소비자 두 집 단 간에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은 위법행위 적발 시 법적 처벌 강화를 중요시하는 반 면, 생산자들은 가축질병 근절과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정부 정책 지원 강 화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처벌 강화는 중요하게 보지 않았다. 또한 만족 도가 낮은 사회적 책임 항목의 개선 가능성과 관련해서, 소비자들은 축산 업 종사자의 준법 의식 개선 가능성을 매우 낮게 보는 반면 생산자들은 가 장 높게 보았다.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관련하여 소비자들은 축산 업 종사자의 현실 인식과 자발적 의식 개선을 중요시 여기는 반면, 생산자 는 정부 정책 지원 확대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축산인증이나 동물복지축산인증에 대한 조사 결과 해당 제품에 대 한 소비자 인지도가 매우 낮았으나, 인증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 자들의 경우에는 공익적 소비행위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하고 추가적인 지 불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의 절반에 가까운 생산자들은 유기축산이나 동물복지인증제도 참여 여부를 고민하고 있으나, 경영비 상 승과 소득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쉽게 참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제5장에서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시민적 책임, 경제적 책임, 생태· 환경적 책임, 윤리적 책임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소비자와 생산자를 대상 으로 각각의 책임에 대한 이행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경 제적 책임만 잘 이행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축산인은 모든 책임이 다 잘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답했다. 한편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관련하

(9)

vi 여 주요 생산자단체의 구체적인 실천 내용을 정리하였다. 또한 사회적 책 임 내용별로 각각의 이행상태를 점검하고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제6장에서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촉진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더 책임지는 축산업, 더 건강한 축산업, 더 깨끗한 축산업, 더 가까운 축산업’을 정책 방향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달성 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제 내용을 정리하였다.

(10)

vii ABSTRACT

The Fulfillment of the Livestock Industry’s Social

Responsibility and Policy Issues (Year 1 of 2)

Background & Purpose of Research

The role that society requires of the livestock industry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diverse than in the past. But different stakeholders' positions around the industry vary and social dialogue is not enough. Therefore, the livestock industry must accurately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needs of socie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i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and to organ-ize the policies for carrying out the responsibilities.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past researches to summarize how Korea's livestock policy and related laws have changed in response to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the industry. A survey and IPA were con-ducted on consumers and producer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behavior of the livestock industry's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a consumer analysis using a pro-social utility function to examine whethe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animal welfare are significant buy-ing factor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categorize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into four categories: civil responsibility, economic responsibility,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And the study summarized the policy tasks required t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defined the role of the livestock industry as "production and supply of safe livestock products by using a way that the people can ac-cept," and thus define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industry as "to

(11)

faith-viii

fully fulfill the social needs." In the role of the livestock industry, "an ac-ceptable way" is defined as "the legal production process of livestock prod-ucts with no negative externality, and further requiring the implementation of ethical acts such as animal welfare."

According to a survey of producers and consumers on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a difference in awareness between the two groups was confirmed. On strengthening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consumers put emphasis on toughening legal punishment when it comes to detecting illegal acts, while producers put the most im-portance on strengthening government policy support to root out livestock diseases and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In relation to the fulfillment of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livestock industry, consumers value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voluntary improvement of the livestock in-dustry, while producers believe that greater government policy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The consumer survey has shown that consumers have very low aware-ness of organic and animal welfare products. However,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certified products were clear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s and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amounts. Nearly half of the producers in the survey are considering whether to par-ticipate in organic livestock or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programs, but are not easily involved due to rising managing costs and concerns about income.

Researchers: Woo Byungjoon, Kim Hyunjoong, Park Sungjin and Seo Gangcheol

Research period: 2018. 1. ~ 2018. 12. E-mail address: bjwoo@krei.re.kr

(12)

ix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범위와 주요 연구 내용··· 3 4. 선행연구 검토··· 5 제2장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1. 논의 배경··· 11 2. 관련 이론 검토··· 19 3. 개념 및 의의··· 26 제3장 사회적 요구와 축산정책 변화 1. 사회적 요구와 축산정책··· 31 2. 키워드 분석을 통한 축산업의 이슈 변화··· 47 3. 소결··· 50 제4장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행태 1. 조사 개요··· 55 2. 사회적 책임 인식··· 58 3. 행태 분석··· 68 4. 소결··· 90 제5장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실태 1.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소비자 및 생산자 평가··· 95 2. 사회적 책임 이행실태··· 100

(13)

x 3. 소결··· 135 제6장 결론: 정책 방향과 과제 1. 정책 과제 도출 배경··· 137 2.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140 부록 1. 축산업 종사자의 법적 책임··· 151 참고문헌 ··· 165

(14)

xi

표 차례

제1장 <표 1-1> 농업 부문별 총생산액(명목) 추이··· 2 <표 1-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관별 정의··· 6 제2장 <표 2-1> 농업생산액(명목) 상위 5개 품목 추이··· 13 <표 2-2> 축산농가 규모화 및 전업화 추이··· 13 <표 2-3> 축산업에 대한 이미지 조사 결과··· 16 <표 2-4>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내용 정리··· 27 <표 2-5>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내용에 대한 동의 여부 (소비자 조사) ··· 28 <표 2-6>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내용에 대한 동의 여부 (축산농가 조사) ··· 28 <표 2-7>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중요성 동의 여부··· 29 제3장 <표 3-1> 해방 이후 축우 보호정책(해방 이후~1960년) ··· 33 <표 3-2> 경제성장과 축산 진흥 시기의 축산정책(1961~1979년) ··· 35 <표 3-3> 전환기의 축산정책(1980~1990년) ··· 36 <표 3-4> 개방기의 축산정책(1991~2000년) ··· 38 <표 3-5> 2000년 이후의 법령 제정··· 40 <표 3-6> 축산 부문 주요 대책(2010년 이후) ··· 41 <표 3-7> 축산 부문 주요 제도··· 42 <표 3-8> 2000~2010년 축산업 관련 인터넷 기사 키워드 순위··· 49

(15)

xii <표 3-9> 2011년 이후 분기별 축산업 관련 인터넷 기사 키워드 1순위·· 49 제4장 <표 4-1> 응답자 현황 및 사회·경제적 특징(소비자) ··· 56 <표 4-2> 응답자 현황 및 사회·경제적 특징(생산자) ··· 57 <표 4-3>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중요성에 대한 생산자와 소비자 비교··· 59 <표 4-4> 생산자와 소비자 조사 결과의 ′  계수··· 61 <표 4-5>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 관련 속성에 대한 중요도 평가··· 65 <표 4-6> 만족도 2점 이하 항목에 대한 개선 가능성··· 66 <표 4-7> 개선 가능성이 낮은 이유··· 67 <표 4-8>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정보별 영향 정도··· 68 <표 4-9> 일반 축산물 가격에 대한 소비자 인식··· 69 <표 4-10> 유기·동물복지인증 축산물과 일반 축산물의 비교··· 72 <표 4-11> 인증 축산물 구매경험자의 일반적 예상가격··· 73 <표 4-12> 인증 축산물 구매 미경험자의 추가 지불 의향 분석··· 73 <표 4-13> 최대 지불 가능 금액과 지불 가능 적정 가격 비교··· 74 <표 4-14> 친사회적 선호 모형 추정 결과··· 80 <표 4-15> 친사회적 혜택이 없을 경우 축산물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추정··· 81 <표 4-16> 인증 축산물에 대한 가격 프리미엄에서 친사회적 선호의 비중··· 81 <표 4-17> 축산물 구입(판매)으로 인해 유발되는 친사회적 혜택···· 82 <표 4-18> 일반 축산물과 인증 축산물의 사회 기여도 비교··· 84 <표 4-19> 유기 및 동물복지축산 실천 및 소비 확대 필요성 여부·· 84 <표 4-20> 인증제도 참여 중이거나 참여 계획 중인 이유··· 85 <표 4-21> 미래 유기 및 동물복지축산물 소비 확대 여부 전망··· 85

(16)

xiii <표 4-22> 유기 또는 동물복지인증제도 참여 의사 여부··· 86 <표 4-23> 인증제도 참여 계획이 없는 이유··· 86 <표 4-24> 유기·동물복지인증 실천에 따른 산란계 생산성 및 소득 변화 예상··· 87 <표 4-25> 유기·동물복지인증 실천에 따른 젖소 생산성 및 소득 변화 예상··· 88 <표 4-26> 유기·동물복지인증 실천에 따른 육계 소득 변화 예상···· 88 <표 4-27> 유기·동물복지인증 실천에 따른 돼지 생산성 및 소득 변화 예상··· 89 <표 4-28> 유기·동물복지인증 실천에 따른 한우 번식우 소득 변화 예상··· 89 <표 4-29> 유기·동물복지인증 실천에 따른 한우 비육우 소득 변화 예상··· 90 제5장 <표 5-1> 소비자의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행도 평가··· 96 <표 5-2> 소비자의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도와 이행도 평가··· 96 <표 5-3> 생산자의 축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행도 평가··· 98 <표 5-4> 생산자의 축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도와 이행도 평가··· 99 <표 5-5> 가축사육업의 HACCP 인증 현황··· 102 <표 5-6> 식육의 잔류물질 검사 통계··· 103 <표 5-7> 생산 및 유통단계 계란 검사 결과··· 104 <표 5-8> 나눔축산운동본부의 직접적 사회공헌 활동 실적··· 107 <표 5-9> 나눔축산운동본부의 간접적 사회공헌 활동 실적··· 107 <표 5-10> 한우협회의 직접적 사회공헌 활동 실적··· 108 <표 5-11> 한우자조금의 간접적 사회공헌 활동 실적··· 108 <표 5-12> 육계협회의 직접적 사회공헌 활동 실적··· 109

(17)

xiv <표 5-13> 서울우유협동조합의 직접적 사회공헌 활동 실적··· 110 <표 5-14> 서울우유협동조합의 간접적 사회공헌 활동 실적··· 111 <표 5-15> 축산업의 부가가치 및 생산유발 계수··· 112 <표 5-16> 축산업의 생산유발액··· 113 <표 5-17> 축산업의 취업 및 고용유발 효과(2013년 기준) ··· 113 <표 5-18> 2000년 이후 우리나라 구제역 발생 현황··· 116 <표 5-19> 2000년 이후 우리나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현황··· 117 <표 5-20>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단계별 직·간접 기회손실 규모···· 118 <표 5-21> 친환경 축산물의 인증 현황··· 122 <표 5-22> 친환경 축산 재정 사업의 성과지표 실적··· 124 <표 5-23> 2015~2018년 가축분뇨 배출시설 특별점검 결과··· 125 <표 5-24> 가축분뇨 배출시설 특별점검 결과(2017년 상반기) ··· 126 <표 5-25> 가축분뇨 배출시설 특별점검 결과(2017년 하반기) ··· 127 <표 5-26> 가축분뇨 배출시설 특별점검 결과(2018년 상반기) ··· 128 <표 5-27> 단계별 무허가축사 적법화 대상··· 129 <표 5-28> 간소화신청서 및 이행계획서 접수 현황··· 130 <표 5-29> 축산업 관련 지자체 민원 발생 및 처리 내역 (전남 나주시 사례) ··· 132 <표 5-30>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 현황··· 134 제6장 <표 6-1> 부류별 농축산물 수입액 동향··· 138 <표 6-2>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과 정책 과제 내용 정리··· 139 부록 <부표 1-1> 축산 관련 주요 법률··· 151 <부표 1-2> 배출시설의 허가 규모 및 신고 규모··· 156

(18)

xv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1> 연구 체계도··· 5 제2장 <그림 2-1> 우리나라 육류 생산량과 소비량 추이··· 11 <그림 2-2> 주요 품목별 농가소득 추이··· 12 <그림 2-3> 공장식 축산 지속이 미래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결과··· 15 <그림 2-4> 2017년 축산업 연관어 감성 키워드 분석 결과··· 17 <그림 2-5> 2018년 축산업 연관어 감성 키워드 분석 결과··· 18 <그림 2-6> Carroll의 피라미드 모델··· 21 <그림 2-7>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세부 영역··· 24 제3장 <그림 3-1> 축산 관련 법률 변화··· 45 <그림 3-2> 축산업 관련 키워드 포함 인터넷 기사 수 추이··· 49 <그림 3-3> 시대별 사회적 요구와 정책 대응··· 52 제4장 <그림 4-1> 소비자의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인지 여부··· 59 <그림 4-2> 중요도-만족도 분석의 사분면 구성··· 60 <그림 4-3> 사회적 책임 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소비자) ·· 62 <그림 4-4> 사회적 책임 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생산자) ·· 63 <그림 4-5> 유기인증 축산물과 동물복지인증 축산물 인지율··· 69

(19)

xvi <그림 4-6> 유기 및 동물복지인증 축산물 구매경험이나 지속적 구매행위 여부··· 70 <그림 4-7> 유기 및 동물복지인증 축산물 가격이 더 높음에 동의 여부··· 71 제5장 <그림 5-1> 소비자의 축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도-이행도 분석··· 97 <그림 5-2> 생산자의 축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도-이행도 분석··· 100 <그림 5-3> 살충제 검출 계란 및 출하중지 조치 관련 언론보도·· 105 <그림 5-4> 국민 1인당 1일 단백질 공급량 추이··· 114 <그림 5-5> 축산물 도매가격 추이··· 115 <그림 5-6> 친환경 축산물(유기, 무항생제) 인증 농가 현황··· 122 <그림 5-7> 연도별 악취 민원 발생 현황··· 132

(20)

1.

연구 필요성

우리나라의 경제가 성장하고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축산물에 대한 수 요가 단기간에 증가하였고, 이를 통해 축산업 규모도 커졌다. 이에 국민 1 인당 1일 에너지 공급량에서 축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1970년 3.1%에서 2015년 14.8%로 크게 증가하였다.1 국내 소비 시장을 다져나가며 축산업 의 성장과 규모 확대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1990년대 우루과이라운드 협 상이 타결되었고, 막 성장 중이던 우리나라 축산업은 세계 시장 개방의 위 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수입 축산물에 대한 경쟁력 확 보를 우선순위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수입 축산물에 대한 경쟁력 확보는 생산성 극대화와 비용 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 및 품질 경쟁력 제고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소 규모의 부업형 농가는 규모화된 전업농가로 변화했고, 여기서 더 나아가 대량의 축산물 생산에 적합한 속칭 ‘공장식 축산(factory farming system)’ 경영방식이 자리 잡았다. 공장식 축산이란 농가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축사 공간에 가축을 최대한 집약적으로 사육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주어진 단위면적당 사육두수가 많기 때문에 면적 대비 효율성이 높아져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각 연도. 󰡔식품수급표󰡕.

서 론

1

(21)

2 서론 축산물 생산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계화 또는 ICT 시스템 등을 도 입하여 일괄적으로 개체별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력을 크게 절감 할 수 있다. <표 1-1>에서 보듯이 우리나라 농업 총생산액은 50조 원 미만 수준에 정체되어 있고 재배업 부문의 총생산액은 매년 감소하고 있다. 반 면 축산농가 수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전업화와 규모화, 즉 공장식 축산의 영향으로 축산물 생산량과 생산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구 분 2013(A) 2014 2015 2016 2017(B) 변화율(B/A) 농업 총생산액 49,826.8 49,237.7 48,470.9 47,275.7 48,170.4 -3.3% 재배업 33,514.6 30,363.2 29,259.3 27,977.2 27,992.9 -16.5% 식량 10,956.7 9,904.4 9,413.3 8,007.7 8,377.6 -23.5% 채소 12,810.3 11,418.2 11,676.1 11,544.9 11,031.6 -13.9% 과실 5,427.9 4,818.8 4,317.4 4,495.3 4,735.6 -12.8% 특약용작물 1,908.4 1,757.9 1,626.9 1,834.2 1,716.1 -10.1% 화훼류 733.9 710.9 629.8 557.6 563.1 -23.3% 축산업 16,232.8 18,781.9 19,125.7 19,229.7 20,122.7 24.0% 한육우 3,682.3 4,285.3 4,707.7 5,057.0 4,663.7 26.7% 돼지 5,009.5 6,615.1 6,967.1 6,756.5 7,338.0 46.5% 닭 2,171.2 2,023.8 1,909.5 1,998.6 2,376.7 9.5% 우유 2,074.2 2,338.0 2,285.1 2,175.1 2,128.0 2.6%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8).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표 1-1> 농업 부문별 총생산액(명목) 추이 단위: 십억 원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공장식 축산업의 부정적 측면이 제기되고 있다. 빈번한 가축 전염병 발생과 축산물 안전성 문제 제기, 대규모 사육 방식에 의한 악취와 환경오염 발생, 비인도적인 사육방식과 동물학대 문제 등이 있다. 축산업으로 인한 환경오염이나 가축질병 등 외부불경제를 고려하면 국내에서 축산업을 지속함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가 너무 과대평가 되 었다는 주장도 있다. 근래 들어서는 비농업계뿐만 아니라 농업계 일부에서 도 축산업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근원적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사회가 요구하는 축산업의 역할은 과거에 비해 복잡·다양해지고 있다.

(22)

서론 3 하지만 축산업을 둘러싼 이해당사자의 입장이 다르고 사회적인 대화도 충 분하지 못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축산업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회의 요구를 정확히 인식하고 대응해야 한다. 축산업과 국민 사이에 존재하는 인식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지를 정리하고 책임 이행을 위한 정책과제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축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우리 사회가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으로 축산업이 계속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 해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인지를 구명(究明)하고,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를 점검하고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1차 연도는 축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이 무엇인지 개념을 정의하고,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범위와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이 주된 목 적이다. 또한, 축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정리한다.

3.

연구 범위와 주요 연구 내용

3.1. 연구 범위

「축산법」 제2조(정의)에 따르면 축산업은 종축업·부화업·정액등처리업 및 가축사육업을 말한다.2 이 연구는 주된 연구 대상으로서 축산업의 범위 2축산법28에 따르면 가축사육업은 가축을 사육하여 판매하거나 젖··꿀을 생산하는 업을 말한다.

(23)

4 서론 를 가축사육업으로 설정하는데, 이는 현재 우리 사회의 축산업에 대한 부 정적 인식은 주로 가축사육업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 서 언급하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은 가축사육업에 종사하는 생산자가 개 인의 경제활동 과정에서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을 뜻한다.

3.2. 주요 연구 내용

이 연구는 크게 6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장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축산업의 제도 개선 및 발전에 관한 기존 연구들과 사회적 책임 의 정의 및 이행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다. 또한, 축산 관련 기업들의 농업 과 연계된 사회공헌 활동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관한 선행연구 사 례들도 검토한다. 선행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제2장에서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이 연구에서 다루는 축산업의 사 회적 책임이 무엇인지를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특히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의 한계를 정리하 고, 이 연구에서의 기본적인 분석틀을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축산업을 둘러싼 여러 가지 대내외적 환경변화와 이에 대 응하여 축산정책과 관련 법령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정리한다. 해방 이후 지금까지의 축산 관련한 주요한 이슈들을 바탕으로 정책 대응체계와 과정 을 살펴보며, 미래 다가오는 이슈와 이에 대응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이해당사자들의 행태 를 분석하기 위해 소비자와 생산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중요 속성들에 대해서도 IPA를 실시한다. 또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친사회 적 효용함수를 적용한 분석을 실시하여 환경보전과 동물복지 등이 유의미 한 구매 결정요인인지를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시민적 책임, 경제적 책임, 생태· 환경적 책임, 윤리적 책임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소비자와 생산자를 대상 으로 각각의 책임에 대한 이행도를 조사한다. 또한 구체적인 실천내용과

(24)

서론 5 이행상태를 점검하고 개선 가능성을 검토한다. 제6장에서는 축산업의 사회 적 책임 이행 촉진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를 도출한다. <그림 1-1> 연구 체계도 자료: 저자 작성.

4.

선행연구 검토

4.1. 사회적 책임 관련 연구

사회적 책임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겠지만 사회적 책 임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대부분 기업의 경제활동과 관련한 내용에 집중되 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 대 한 정의는 학자 및 기관, 국가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 로 기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경제·사회·환경문제를 해결하여 기업의 이해관 계자와 사회의 요구 및 기대를 충족시키는 활동을 의미한다.

(25)

6 서론

구분 정의

유럽연합집행위원회 (Commission of the EC)

기업들이 자발적인 방식으로 사회·환경문제들을 자사의 영업활동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상 호작용 속에 통합시키는 것 지속가능발전 세계기업협의회 (WBCSD)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종업원, 그 가족, 지역공동체 그리고 전체 사회와 함께 협력하면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기업의 헌신 국제표준화기구(ISO) 조직의 결정과 활동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투명하고 윤리적 형태를 통한 조직의 책임 국제노동기구(ILO) 기업의 법적의무를 넘어 자발적으로 전개하는 주도적 활동이며, 기업이 자사 활동이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있는 방식 국제사용자기구(IOE) 법 준수를 넘어 다양한 사회·경제·환경 분야에서의 기업의 자발적이고 긍정적인 활동 자료: 서의경(2014)을 재정리함. <표 1-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관별 정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학술적 접근은 1950년대 미국에서 대기업들 이 생겨나면서 시작되었다. 보엔(Bowen 1953)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경 영자의 윤리의식에 기초해서 ‘사회의 목표 및 가치에 바람직한 방식을 추 구하는 의사결정을 하거나 행동을 하는 의무’라고 학문적으로 처음 정리하 였다. 이후 1960~1970년대에 걸쳐 다양한 사회운동가들과 NGO 활동, 언 론의 관심 등이 증가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렇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개념을 학계나 기업에서 광범위하게 받아들인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부정한 프리드먼(Friedman 1970)인데, 그는 ‘기업(business)의 궁극적인 책 임은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고, 기업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여 주주 이익 을 극대화하는 것 자체가 사회에 최고로 봉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에서 책임의 영역이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정 립한 연구로는 캐럴(Carroll 1979)이 있다.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을 경제적(economic)·법률적(legal)·윤리적(ethical)·자의적(discretionary) 책 임으로 분류하고, 이들은 단계적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동시에 이행되어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 책임 중 경제적 책임은 가장 본질적이고 우선 적인 책임으로 사회가 원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여 이윤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법률적 책임은 법적 테두리 내에서 기업 활동이 이루어져

(26)

서론 7 야하는 것을 의미하며, 윤리적 책임은 법적 규정 이외에 사회가 요구하는 내용을 지켜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의적 책임은 기부행위 등과 같이 기 업의 개별적·독자적 선택에서 발생하는 책임을 의미한다. 캐럴(Carroll 1991)은 기존 연구를 재정리한 ‘CSR 피라미드 모형’을 제 시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영역을 경제적 책임(수익 창출), 법적 책임(법적 의무 준수), 윤리적 책임(윤리적이고 공정한 활동), 자선적 책임(philanthropic responsibility, 사회공헌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최근 기업의 수익과 무관하고 비용으로만 인식되는 기존의 사회적 책임 개념과 다르게 기업의 이윤추구와 사회적 공공이익 실현을 동시에 추구하 는 경영전략이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연구가 포터·크레이머(Porter and Kramer 2011)인데, 기업이 수익창출 이후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 라 기업 활동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면서 동시에 경제적 수익을 추 구하는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개념을 주장하였다.

4.2. 농림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연구

4.2.1.

국내연구

국내 선행연구 중 농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이며, 책임 이행실태와 이행을 위한 정책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기존에 연구된 바가 없다.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는 사회적 책임의 이행 주체가 기업이고, 기업이 책 임 이행을 위해 농업과 연계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 전부이다. 이계임 외(2015)는 농업과 기업의 상생협력 제도화와 관련한 연구에서 기업의 농촌사회 기여 사례를 정리하고,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도입방안 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경우·류성민(2014)은 특정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에 대한 연구에 서 농가들과의 상생을 기반으로 하는 CSV 모델을 언급하면서, 고품질 원 료 수급을 통해 기업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동시에 농가에 안정적 판

(27)

8 서론 로 제공과 기부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사례로 정리하였다. 이 사례는 농가지원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이 유기적 협력도 맺고 있음 을 강조하였다. 강충한 외(2014)는 농촌을 대상으로 식품기업이 수행하고 있는 CSV 사 례를 발굴하고 이들 사례를 분석하여 로컬푸드형·후방지원형·공동법인창 업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로컬푸드형의 경우 중소 규모 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CSV 활동의 지속성 유지가 어렵기 때문 에 장기적으로는 후방지원형 또는 공동법인창업형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고 분석하였다. 이동민 외(2013)는 CSV를 전략적으로 경영활동에 적용한 국내 식품기 업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기업과 농업·농촌이 공동으로 조직을 창업하는 공동창업형 CSV 활동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식품기업과 농업· 농촌의 관계가 기존의 CSR 형태에서 점차 CSV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농업·농촌 현장에서 이러한 움직임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 직 구축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4.2.2.

해외연구

해외연구의 경우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점에서 축산식품기업의 사 회적 책임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일부 있다. 이들 연구의 특징 중 하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인식 하고 접근하는 것이다.

루만·테우프젠(Luhmann and Theuvsen 2017)은 독일 닭고기 산업의 사

회적 책임 이행과 소비자 선호관계를 컨조인트와 클러스터 분석으로 살펴 보았다. 분석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제품의 질과 동물복지, 고용창출 문제 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방송매체와 포장지를 통해서 관련 정보를 주로 획득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소비자와의 소통체계를 설정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28)

서론 9 2013)는 CSR 활동이 독일 양돈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품안전성 문제, 환경오염 및 기타 사회적 문제 등에 대한 방어막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 확 산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 연 구는 소비자들이 실제로 양돈업의 CSR 활동을 인식하고 높이 평가하는지 를 확인하기 위해 123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수의 소비자만이 이런 활동을 인지하고 있고, 실제 축산물 구매활동 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사과정에서 소비자들이 CSR에 대해 인지한 이후에는 이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실제 축산물 구매 에 반영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하이더·테우프젠(Heyder and Theuvsen 2009)은 농식품 생산과정에서 발

생하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 비대칭성 문제 때문에 농식품업의 CSR 관련 논쟁이 확대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4.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용어 정의, 책임 이행 사례 및 정책 검토와 관련된 국내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것이 없다. 그동안 축산업에 의한 환경오염 발생이나 가축질병에 따른 경제적 피해 등 개별 사안에 대한 단 편적 연구들은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들을 모두 종합한 사회적 책임의 개 념을 정립하고 분석한 연구는 이 연구가 처음이다. 이 연구는 축산업이 인식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이 무엇인지 구체 적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와 축산농가의 인식을 조사한 첫 사례이 다. 또한 소비자들이 축산물 소비를 할 때 공익적 가치에 대해 인식하고 실제 지불의사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29)
(30)

1.

논의 배경

우리나라 육류 소비량은 2000년 150만 9천 톤에서 2017년 253만 6천 톤 으로 증가하였으며, 육류 생산량은 118만 9천 톤에서 169만 1천 톤으로 증 가하였다. 육류 소비량 증가세를 육류 생산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수급격 차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축산물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2-1> 우리나라 육류 생산량과 소비량 추이 단위: 톤 주: 육류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합계를 의미한다.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8).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2

(31)

12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구제역(FMD)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의 빈번한 국내 발생 및 미국에서의 광우병(BSE) 발생 영향을 받은 2000년대 중반을 제외하고 육류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육류 생산량은 2010~2011년 기 간 구제역 발생과 대규모 매몰처분으로 크게 감소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우리나라 축산업 생산액은 2000년 8조 820억 원에서 2017년 20조 1,227 억 원으로 증가하였으며,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0년 25.3%에서 2017년 41.7%로 확대되었다. 축산업의 성장은 축산농가의 소득 증가를 의 미한다. <그림 2-2>에서 볼 수 있듯이 논벼·과수·채소·일반 밭작물 등의 주요 재배업 농가의 소득은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반면, 축산농가의 소득은 지속 성장하고 있다. <그림 2-2> 주요 품목별 농가소득 추이 단위: 천 원 주: 농가소득=경상소득(농업소득+농외소득+이전소득)+비경상소득 자료: 통계청(2018). 󰡔2017 농가경제통계󰡕. <표 2-1>에서 보듯이 농업 생산액 상위 5개 품목은 쌀을 제외하고 모두 축산이다. 특히 2016년부터는 돼지 생산액이 쌀 생산액을 추월하고 있는

(32)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13 데, 농지면적과 농가 수 감소 등으로 쌀 생산액은 계속 줄어드는 반면 돼 지 사육 마릿수는 계속 증가하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구분 2010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순위 품목 생산액 품목 생산액 품목 생산액 품목 생산액 품목 생산액 1 쌀 6,787.4 쌀 8,153.6 쌀 7,697.2 돼지 6,756.5 돼지 7,338.0 2 돼지 5,322.7 돼지 6,615.1 돼지 6,967.1 쌀 6,391.9 쌀 6,619.6 3 한육우 4,863.3 한육우 4,285.3 한육우 4,707.7 한육우 5,057.0 한육우 4,663.7 4 닭 2,146.0 우유 2,338.0 우유 2,285.1 우유 2,175.1 닭 2,376.7 5 우유 1,693.4 닭 2,023.8 닭 1,909.5 닭 1,998.6 우유 2,128.0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8).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표 2-1> 농업생산액(명목) 상위 5개 품목 추이 단위: 십억 원 축산업의 경제적 외형 성장으로 국민경제에서 축산업이 차지하는 중요 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지인배 외(2012)의 연구에 의하면 축산업의 전 후방 연관산업 규모는 58조 원, 종사인원은 56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된다. 축산업의 외형은 성장하고 있지만 전체 축산농가 수는 오히려 감소 하고 있다. 이는 <표 2-2>에서 볼 수 있듯이 소규모 영세 축산농가의 퇴출, 규모화와 전업화에 의한 대규모 상업적 축산농가 비중 증가 때문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즉 공장식 축산업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구분 한육우 젖소 돼지 닭 농가당 사육 마릿수(마리) 2006 11 58 850 33,100 2017 30 62 2,386 57,444 전업농 사육 비율(%) 2006 34 74 80 75 2017 64 87 92 91 축산농가 수(백 호) 2006 1,902 83 113 36 2017 984 66 44 30 주: 전업농 기준은 한육우 및 젖소 50마리, 돼지 1,000마리, 닭 3만 마리 이상 자료: 통계청(각 연도). 󰡔가축동향󰡕. <표 2-2> 축산농가 규모화 및 전업화 추이

(33)

14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우리나라 축산업은 국민들이 소비하는 동물성 단 백질의 약 70%를 책임지는 동시에 국민경제와 농가의 주요한 소득원 역할 을 하고 있다. 최윤재(2015)는 축산업의 존재가치로 단백질 제공과 경제적 가치 이외에도 반려동물산업과 생명산업 등을 포함한 동물자원산업으로서 의 성장가능성과 가축분뇨 자원화를 통한 환경성 증대 등도 있으므로 우리 나라에서 축산업의 존재가치가 매우 크다고 주장한다. 축산업계와 관련 학자들이 축산업의 긍정적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고 있 지만,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 문제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환경문제에 대해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축산업의 존재 의미와 가치에 대해 의문 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민국 외(2011)는 경제적 성과만을 고려하는 경 쟁력 제고 중심 축산정책의 한계를 지적하고, 환경문제 등을 포함하여 사 회에 긍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축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2012년에 농림수산식품부가 실시한 국민 인식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63.5%가 농어촌 지역의 난개발이 심각하다고 답했고, 전체 중 13.6%의 응 답자가 축사를 농어촌 지역의 경관을 훼손하는 시설로 인식하고 있었다.3 전국의 전체 축사 면적을 산정하였을 때 무허가축사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 중이 30.4%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정민국 외 2011)와 앞의 인식조사 결과 를 함께 고려하면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소음, 각종 환경오염 발생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 인식을 가늠할 수 있다. 축산농장의 악취 발생과 관리에 대한 김두환 외(2013)의 연구에서 전국 48개 축산농장을 직접 방문하여 악취 저감을 위해 매월 지출하는 비용규 모에 대해 조사한 결과, 50만 원 이하와 100만 원 이하가 각각 5개소, 200 만 원 초과가 2개소였다. 즉 악취 저감을 위해 비용을 들여 직접적인 조치 를 취하는 농장이 조사대상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조사대상 농가 중 양돈농장(19개소)의 경우 60%에 해당하는 농장이 최근 2년간 민 3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 2012. 2. 16. “농어촌 토지이용 실태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 발표.”

(34)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15 원발생을 경험하였고 악취 저감을 위해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상당수 양돈농가가 악취 발생에 따른 민원을 경험하고 이 를 해결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축산농가 전 체적으로는 악취 문제에 대해 소극적인 대응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병오 외(2012)는 우리나라 축산업의 문제점은 축산업의 고속성장 과정 에서 공장식 가공축산업의 확대에 있다고 지적하였다. 시장개방에 따른 경 쟁력 확보를 위해 공장식 축산업이 도입되었지만, 수입 축산물과 비교할 때 가격경쟁력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규모가 작아도 체질이 강한 지속가능한 축산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지속가능한 축산업으로 전환을 위해서는 소비자에게 초점을 맞춘 축산업을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생산자> <소비자> <그림 2-3> 공장식 축산 지속이 미래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결과 단위: % 자료: 저자 작성. 이 보고서에서 실시한 국민조사4에서 현재와 같은 공장식 축산 형태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수행될 경우,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소비 자들은 긍정적(45.7%)인 영향보다는 부정적(54.3%)인 영향이 더 많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생산자들은 부정적(43.1%)인 영향보다는 긍정적(56.9%) 4 설문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제4장 참조.

(35)

16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인 영향이 더 많은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축산업 실천 방식에 대한 일반 국민과 축산농가의 인식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공장식 축산에 대한 인식 차이에도 불구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축산 업에 대한 이미지를 설문할 결과, 모두가 ‘신선하고 품질 좋은 단백질 공 급’을 1순위로 선정하였다. 뒤를 이어서는 ‘가축분뇨에 의한 악취와 환경 오염’, ‘가축질병과 그에 따른 대규모 살처분’, ‘열악한 사육환경과 동물복 지 문제’ 등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들로 응답하였다. 조사 결과에서 특이한 것은 소비자들은 ‘신선하고 품질 좋은 단백질 공 급’과 ‘농가소득 증가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와 같이 축산업의 긍정적 인 역할에 대한 이미지를 먼저 선택하였다. 반면 생산자는 소비자에 비해 부정적 이미지를 우선하여 선택하였는데, 이는 일반 국민들이 축산업에 대 해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생산자가 잘 알고 있고 이에 대해 나름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농가소득 증가 및 지역경제 발 전에 기여’ 항목에 대해 소비자들은 상당히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나, 생산 자들은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는 축산농가의 소득 정도에 대한 견해 차 이로 보이는데, 소비자들은 축산농가의 소득이 높다고 보는 반면 생산자들 은 그렇지 않다고 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문항 생산자 (순위) 소비자 (순위) 신선하고 품질 좋은 단백질 공급 56.1 (1) 65.7 (1) 가축분뇨에 의한 악취와 환경오염 47.2 (2) 37.1 (3) 가축질병과 그에 따른 대규모 살처분 35.0 (3) 31.1 (4) 열악한 사육환경과 동물복지 문제 35.0 (3) 25.8 (5) 농가소득 증가 및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 22.8 (5) 43.3 (2) 주: 1~3순위까지 응답률을 합산한 것임. 자료: 소비자와 생산자 조사 결과. <표 2-3> 축산업에 대한 이미지 조사 결과 단위: % 위 조사 결과는 농협중앙회가 실시한 과거 설문조사5와 비교해 보아도 큰 차이는 없다. 축산인과 관련 단체 및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농협

(36)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17 중앙회 조사에서 우리나라 축산업이 지향해야 하는 어젠다로 “경쟁력을 갖춘 축산업”, “국민친화 축산업”, “친환경 축산업”이 선정되었다. 특히 이 조사에서 축산 어젠다 실천을 위해 필요한 축산인의 역할로 ‘친환경농장 가꾸기’, ‘농가 의식 개선’, ‘질병 예방 및 방역 강화’ 순으로 높은 답변을 받았다. 이는 <표 2-3>의 내용과 거의 일치하는 내용으로 축산업계도 축산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문제 해결책 으로 “국민친화적 친환경 축산업” 등을 제시하면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는 정부의 정책지원이 집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소프트의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마이닝 도구인 ‘소셜 메 트릭스 비즈(SOCIALmetrics BIZ)’를 활용하여 축산과 관련한 연관어 및 감성 키워드를 분석하였다.6 이 분석은 트위터·블로그·커뮤니티 등의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뉴스를 분석채널로 활용하였다. <그림 2-4> 2017년 축산업 연관어 감성 키워드 분석 결과 자료: 저자 작성. 5 농협중앙회 축산경제리서치센터. 2015. 8. 19. “소득 3만 불 시대, 축산정책 방향 설문조사 결과.” NH 축경 포커스 2015-2. 6 연관어 및 감성 키워드 분석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래정책실 박혜진 연구원이 실시하였다.

(37)

18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분석 결과를 보면 2017년의 경우 부정 감성어가 300건을 넘어 긍정 감 성어 숫자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다<그림 2-4>. 그런데 2018년에는 부 정 감성어가 550건 이상으로 전년보다 매우 크게 증가한 반면 긍정 감성어 는 100여 건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축산업과 관련한 국민들의 감정적 인식 이 단기간에 매우 악화된 것을 보여준다<그림 2-5>.7 <그림 2-5> 2018년 축산업 연관어 감성 키워드 분석 결과 자료: 저자 작성. 그렇다면 일반 국민들의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이 연구는 국민 식생활과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에 서 있는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축산업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정 리하고 그 구체적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7 분석에 사용된 키워드들은 분뇨, 악취, 소음, 먼지, 메탄가스, 살처분, 구제역, 류인플루엔자, AI, 무허가, 폐기물, 학대, 오수, 폐수, 오폐수, 갈등, 분쟁, 동물학 대, 살충제, 농약, 계란, 축사, 다이옥신, 가축방역, 고름우유, 축산방역, 항생제 등이다.

(38)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19

2.

관련 이론 검토

2.1. 이론적 검토

2.1.1.

외부불경제 피해 최소화 접근

사회적 책임과 이행에 대한 실천적 접근은 대부분 경영학적 관점에서 이루 어졌다. 기업이 경제활동 과정에서 인식하는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떤 식으로 책임을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다. 경제학 관 점에서도 사회적 책임 문제를 다루는 경우가 있는데 주로 자원배분 과정에서 의 효율성과 연결하여 언급하는 외부성(Externality) 개념을 활용한 접근이다. 외부성에는 긍정적 외부성과 부정적 외부성이 있다. 한 경제주체의 경제 행 위가 의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경제주체에게 이득을 주는 경우를

외부경제(External Economics), 불이익을 주는 경우를 외부불경제(External

Diseconomics)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공장식 밀집사육 과정에서 적법하게 가축분뇨를 처리했음에 도 악취가 발생할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축산농가는 추가적인 비용을 들 여 악취방지 설비를 설치하거나 사육방식을 변경할 이유가 없다. 농가가 추가적인 비용을 지급해야 할 법적·경제적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지 역 주민들은 악취 발생으로 고통을 느끼면 농가나 정부에 민원을 제기하 고, 변화가 없으면 공기정화기를 사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하는 등의 행위를 선택하게 된다. 이처럼 악취 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나, 축산농가는 비용부담에서 자유로우므로 사회적으로 적정한 수준 (즉 사육밀도를 줄여 가축분뇨 냄새 억제를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수 준)보다 더 많은 가축을 사육한다. 효율적 자원 배분의 실패 문제, 즉 외부 불경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앞 절의 조사 결과에서 공장식 밀집사육에 대해 소비자와 생산자의 견해 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식 축산에 대해 생산자는 저렴하고

(39)

20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균일한 축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고 인식할 수 있으나, 소비자들 은 각종 환경오염 문제와 가축질병 발생, 식품안전성 문제 등의 주된 원인 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견해 차이는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축산환경 분쟁 문제로 현실에서 나타난다. 축산업에는 대기업을 포함하여 일반 기업의 진출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상당한 수준으로 계열화가 진행되었다. 계열화를 통해 기업이 직 접 농장을 관리하고 가축을 사육하거나, 계약을 통해 위탁사육 농가를 고 용하여 가축을 키우도록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경우 소규모 개 인 사육업자에 비해 더 좋은 시설에서 개선된 방식으로 가축을 사육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축산업의 계열화 또는 농가의 기업화가 증가하고 있음에 도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외부불경제 문제가 줄어들거나 사라졌다 고 할 수 없다. 이는 결국 외부불경제 발생은 농장의 소유주·운영자가 누 구냐의 문제가 아니라 사육방식, 즉 대규모 공장식 사육을 하고 있느냐 여 부인 것으로 보인다. 논의를 매우 단순화하여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외부불경제 문 제를 해결하는 것을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이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축산물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회적 비용을 측정하고, 규제 또는 인센티브 등을 적용하여 사회적 비용을 축산농가의 사적(私的) 비용으로 전환하면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 축산업 외부불경제 발생에 따른 사회적 비용 계측은 매우 어렵다. 축산농가가 법적 책임을 준수했는지, 피해 내용 이 인정할 수 있는 수준인지, 피해수준을 계량화할 수 있는지, 더 나아가 해당 축산농가의 책임이 맞는지 등 현실적으로 모든 상황을 확인해야 사회 적 비용 계측이 가능하다.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외부불경제 최소 화 접근으로 해결하는 것은 일부 개별 사례에 있어서만 적용가능하다. 사회구성원들의 감정이나 느낌(예를 들어 분노나 혐오감) 등과 같이 금 전적 피해를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규제나 인센티브 등의 경제적 도구 를 사용하는 외부불경제 접근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이런 경우는 오히려 축산농가의 윤리적 가치관이나 도덕성, 개인적 신념 등에 의존해야 문제가 해결된다.

(40)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21

2.1.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접근

경영학 측면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해서 다양한 의견들을 정리하는 일 상적인 경영활동 및 임직원의 윤리성까지 포함하는 ‘정도경영’, 환경보호 및 관리 등의 차원을 넘어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개념으로 대표되는 ‘환경 경영’, 자원봉사나 기부금 기탁 등 기존의 자선활동은 물론이고 기업의 경 영전략과 연계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전략적 사회공헌활동까지 포함하는 ‘사회공헌’으로 요약할 수 있다(남영호 2008). <그림 2-6> Carroll의 피라미드 모델 자료: 서울시 자원봉사센터 블로그(http://svc1365.tistory.com/1814: 2018. 10. 26.).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개념을 정리한 Carroll(1991)의 피라미드 모델은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법적 책임·윤리적 책임·자선적 책임 등으 로 구분한다. 이들 각각의 책임에는 우선순위나 중요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모두 동시에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경제학의 외부불경제 관점

(41)

22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윤리적 가치관이나 도덕성, 신념 등의 문제를 기업 의 사회적 책임 이행 측면에서 다룰 수 있다. 피라미드 모델에서 ‘경제적 책임’은 재화와 서비스의 효율적 생산을 통한 수익 창출을 의미한다. ‘법적 책임’은 법적 의무의 준수를 의미한다. ‘윤리적 책임’은 윤리적이고 공정한 활동을 의미한다. ‘자선적 책임’은 기부 및 자선과 같은 사회공헌 활동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이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접 근을 다루고 있으며,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업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기 때문에 기업의 이윤추구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개념과 달리

Porter and Kramer(2011)는 공유가치창출 개념을 주장하였다. 이 주장의

배경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은 기업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기에 기업의 이윤추구와 무관하고 더 나아가 오히려 생산 활동과 무관한 비용으로도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신 공유가치창출 개념을 적용하면 기업의 이윤추구와 지역사회의 필요가 동시에 만나는 지점에서 사업적 가 치가 창출되어 사회적·경제적 이익을 모두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연구들은 공유가치창출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대체하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고 개념 자체도 모호하며,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구체적 전략과 이에 기초한 실제로도 많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한다(임종혁·전달영 2018).

2.1.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적 책임 인식

기업의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전개되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이 제 그 범위와 의미가 매우 크게 확장되었다.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사회적 책임이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

전을 위해 필수적 요소라는 인식 아래, 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들의 사 회적 책임을 규정하는 국제표준을 제정하였다. 특히 국제표준화기구는 사 회적 책임 범위에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일반조직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기존에 통용되던 CSR에서 ‘기업’이라는 단어를 제외한 사회적

(42)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23

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2010년 국 제표준인 “ISO 26000: Guidance on Social Responsibility”를 발표하였다.

ISO 26000에 따르면 사회적 책임의 핵심 사안은 환경·인권·노동관행·조직 지배구조·지역사회 참여 및 사회개발·공정기업관행·소비자이슈 등의 7가 지로 구성된다(한국표준협회 2011).

2.2. 사회적 책임 분석틀 검토

우리나라 축산업은 근래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농업의 환경친화적 성격에 기초한 공익적 기능 논의에 포함되지 못하고 예외로 여겨지고 있다. 축산 업은 다른 농업분야가 가지고 있는 외부경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사실 축산업은 우리나라 농업에서 상업적 경영과 기업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된 분야이다. 따라서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문제에 대한 접근은 축산업 생산 활동이 일반적인 기업 활동과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앞서 정리한 Carroll(1991)의 피라미드 모형을 바탕으로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내용과 구성 요소를 정리하면 <그림 2-7> 과 같다. <그림 2-7>에서 Y축은 ‘요구/대응’, X축은 ‘시간/사건’으로 구성된다. ‘요구/대응’축은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 수준(이행요 청)에 축산업이 대응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시간/사건’축은 과거에서 현재 로의 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건의 빈도를 의미한다. <그림 2-7>의 ‘법/규제’선은 축산업 경제 활동에 대한 법률 설정과 정부 규제 도입을 의미한다. 해방 이후 건국 초기에는 축산업에 대한 법률과 국 가 정책이 미비하였고, 이후 경제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축산업을 진 흥하는 것이 주요한 국가 정책 중 하나였다. 따라서 축산과 관련한 법률과 규제 수준은 매우 낮은 수준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사회적 필요성에 의해 각종 축산 관련 법률이 신설되고 축산업에 대한 규

(43)

24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제가 강화되었다. 따라서 ‘법/규제’선은 시간이 지나면서 제도 변경에 따라 우상향하는 계단형의 모습을 가진다. ‘법/규제’선 하단은 불법영역에 해당 하는데, 고의 여부나 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불법적인 활동이 벌어지는 영 역으로 가축분뇨 무단 방류 등의 행위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영역은 범법 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외부불경제 문제로 볼 수 없다. <그림 2-7>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세부 영역 자료: 디지털 플랫폼 브런치(https://brunch.co.kr/@jungkwon-ahn/5: 2018. 5. 7.)에 제시된 그림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 ‘사회적 기대’선은 축산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 수준 또는 기대치를 의미 한다. 여기서의 ‘사회적 기대’는 관련된 법률이나 규제 자체가 없을 때이거 나, 또는 법률이나 규제가 있더라도 더 높은 정도의 요구 수준으로 형성된 다. 일반적으로는 사회적 요구의 결집이 이루어진 이후 후속적으로 법률이 강화되므로 ‘법/규제’선보다 더 높은 수준에 위치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법/규제’선과 같은 위치에 있거나 더 아래에 있을 수 있다.

참조

관련 문서

윤리의 기본적 개념 “인간의 생각과 언어, 태도와 행동의 옳고 그름을 평가하는 원 칙 또는 바람직한 방향과 규범의 체계”. 기업윤리는 기업행동과 경영자 의사결정

한-태국 농산물 교역 동향과 관련 정책 변화. Sitanon Jesdapipat

다원적 기 능은 영농활동을 통해 창출되는 것이 기본이므로 여기서 말하는 사회적 서비스 또한 농장에서 이뤄지는 영농, 생산, 또는 농업활동의 산물이어야

[r]

ㅇ 사회 서비스의 지원 대상 선정시 투자 제안(investment proposals)의 과정을 통해 담당 부서의 판단만이 아니라 이해 관계자 또는 다른 당사자로부터 광범위하게

구체적으로, 선행 연구들에서 지지된 거부 민감성과 책임 귀인의 관 계, 책임 귀인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를 확장하여, 대학생의 거부 민감성이 우정 관계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기 위한 우리의 ‘행동 선서문’을 작 성하고 낭독하면서 친구들과 공감하며 책임 있는 행동을 다짐한다2.

과거에는 기업시스템의 산출물로 제품과 서비스만을 고려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사회적 책임, 환경오염과 같은 부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