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배추가공(김치, 절임)공장 설치 타당성 검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배추가공(김치, 절임)공장 설치 타당성 검토"

Copied!
9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 2009-25 | 2009. 7. 배추가공(김치, 절임)공장 설치 타당성 검토. 이 용 선 전 창 곤 김 동 훈.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연. 구. 원.

(2) 연구 담당 이용선 전창곤 김동훈. 연구위원 연구위원 연구원. 연구 총괄, 제1~7장 집필 사업방향·입지평가, 제5장 3절 집필 자료 수집·분석, 제3장 집필.

(3) i. 머 리 말. 최근 배추 가격이 하락하고 연도 간 변동폭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추 농가의 소득도 불안정해지고 있다. 정선을 비롯한 강원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고랭지배추, 고랭지무 등 고랭지채소는 연도 간 가격변동이 매우 심 하다. 실질가격이 정체된 가운데 변동이 심해짐에 따라 고랭지배추 농가의 타 작목 전환에 따른 해당 품목 소득의 연쇄적 감소를 유발하거나 경작 포기에 따 른 지역 경제의 침체를 초래할 우려가 커진다. 정선군에서는 이러한 지역농업의 위기적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해 배추 등 고랭지채소 주산지로서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가공사업의 가능성을 검토해 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배추 생산액은 정체된 가운데 시판김치시장의 규모는 2001년 5,800억 원에서 2008년에는 1조 1,200억 원으로 증가한 데에서 배추가 공사업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 연구는 배추가공공장 설치의 기본방향을 수립하고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 해 수행되었다. 아무쪼록 이 보고서가 연구를 의뢰한 정선군이 농가소득의 안 정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사업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 길 바란다. 아울러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현황 자료와 의견을 제시해주신 정선군청 담당자, 농협 및 농민단체 관계자에게 감사드린다.. 2009.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4)

(5) iii. 요. 약. 이 연구는 정선군 배추가공사업의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가공공장 건립 타 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최근 배추 가격이 하락하고 연도 간 변동이 심해짐에 따라 배추 농가의 소득 도 불안정해지고 있다. 한편 김치시장의 규모는 2001년 5,812억 원이었으나 2008년에는 1조 1,288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김치 제조업체 수는 690여 개이 며, 이 중 70% 이상은 연간 매출액이 5억 원 미만으로 매우 영세하다. 농협 조 합별 연평균 매출액은 약 60억 원으로 중규모이며, 농협 김치공장의 평균 영업 이익률은 1.8%로서 대기업 평균보다 높다. 정선군 채소가공사업은 사업 초기 상품 구성을 절임배추 중심으로 하고 점 차 김치완제품 비율을 높이고, 고추, 마늘 부재료를 이용한 편이가공품과 산채· 약초를 활용한 절임 등 가공품을 개발·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체·기관과 의 사전계약에 의한 공급 방식을 채택하여 사업의 안정성을 기하며, 공장의 가 동률(조업도)를 높이기 위해 상품 구성과 남부지역 업체와 사업상 전략적으로 제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사업추진을 위한 벤치마킹 사례로 화 원농협이 있다. 사업방향과 정선군 예산제약 등을 고려하면 가공공장의 규모는 일생산능력 이 최대 30톤 수준의 중규모가 바람직하다. 가공공장 건립을 위한 투자액은 총 32.0∼32.7억 원이 소요된다. 공장 부지는 7,260∼9,300㎡가 필요하며, 예산은 2.7∼3.5억 원이 소요된다. 공장 시설은 HACCP 기준에 의한 가공시설, 저온저 장고, 일반창고, 오폐수시설 등으로 면적은 총 2,814㎡(연면적 3,078㎡), 예산은 25.3억 원이 소요된다. 기계설비는 절임실 설비, 세척실 설비, 포장설비 등으로 7.6억 원이 소요되며, 장비는 냉장탑차, 일반수송차량, 지게차 등으로 1.8억 원.

(6) iv 이 소요된다. 사업후보지는 배추 관련 산업 인프라, 유사시설 입지여부, 교통여 건, 노동력 확보 용이성 등을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동남부의 남면 지역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주체 입장에서의 배추가공사업 수지는 초기 2년간은 적자를 나타내고 3 년차에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5년차에는 생산량 7,200톤, 매출액 124.6억 원, 영업이익 102.8억 원으로 사업이 정착될 것으로 예상된다. 배추가 공공장을 설립함으로써 정선군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농가소득 안정화, 고용 창출, 생산 및 부가가치 제고 등이 있다. 가공공장 건립으로 계약재배가 활성화됨에 따라 농가소득도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가도 공장 건립을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고용 인력은 총 72∼105 인이 창출될 것이며, 이를 통해 소득은 연간 13.0∼20.7억 원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투자액에 비해 크기 때문에 군 에 의한 공공투자의 타당성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추정 결과는 여러 가지 가정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가동기간이 관내 출하시기를 초월한 사업 전략을 전제로 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7) v. ABSTRACT.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Building a Chinese Cabbage Processing Plant. This study is aimed at making suggestions on a future Chinese cabbage processing business and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building a processing plant for 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As the Chinese cabbage price is plummeting recently and the fluctuations are considerable on an annual basis, the income of cabbage farms are getting unstable. In the meantime, the size of the Kimchi market, estimated at 581.2 billion won in 2001, has increased to 1,128.8 billion won by 2008. The Kimchi manufacturers number about 690, 70% of which is small business with annual sales of less than 500 million won. While the average annual sales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is medium size with about 6 billion won, the average operating profit rate of their Kimchi plants is about 1.8%, even higher than that of large-size enterprises. It is advisable that vegetable processing business of Jeongseon County should initially base its products on pickled Chinese cabbage, gradually increase the rate of finished products of Kimchi, and additionally develop convenient processed goods using spices such as hot pepper and garlic, and pickled goods utilizing edible/medicinal herbs. Also, it should apply the supply system based on contract with companies/institutes in order for stable business, line up products for higher plant operating ratio, and statistically cooperate with companies in southern parts. Hwawon agricultural cooperative presents a good example for benchmarking. The processing plant should be medium-sized with 30 tons of daily productivity. In order to fulfill this target production, 7,260~9,300㎡ of land and 270~350 million won budget is required. Relevant facilities, including processing units, chilling system, general warehouse an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omplying with HACCP, require building area of 2,814㎡ (total area of 3,078㎡) and budget of 2.5 billion won. About 760 million won will go to mechanic systems such as pickling, cleansing and packing.

(8) vi system, and 180 million won will go to equipments including chilling vehicles, general conveyances and forklift trucks. Potential areas for the plant were evaluated in terms of Chinese cabbage-related infrastructure, established similar systems, traffic conditions, and access to the labor force, and as a result, Nam-myeon of the southeast part turned to have the biggest advantage. For the operator, the Chinese cabbage processing business is expected to remain in the red for the first 2 years and then begin to show a profit in the 3rd year. It will be established as a sound business in the 5th year with a total production of 7,200 tons, sales of 12.5 billion won, and operating profits of 10.28 billion won. Building a Chinese cabbage processing plant in Jeongseon County will give the local economy diverse benefits, such as stable farm income,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higher production and value-added. Given these, as contract farming is promoted, farmers will have favorable attitude to having the plant in their community. About 72~105 people are expected to get newly employed, which will generate 1.3~2.1 billion won of income each year. Since the long-term ripple effect that the plant will give to the local economy is a lot higher than the amount invested, the public investment by the county seems to be feasibl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ose evaluations above depend on diverse hypotheses, especially on the assumption that the plant operation period is longer than the local production period of Chinese cabbage.. Researchers: Yong-Sun Lee, Chang-Gon Jeon, Dong-Hoon Kim Research period: 2009. 6. - 7. E-mail address: yslee@krei.re.kr.

(9) vii.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2. 연구 내용 ······································································································ 2 3. 연구 범위와 방법 ························································································· 3 제2장 정선군 농업 및 배추 수급 현황 1. 정선군 지역경제와 농업 ·············································································· 5 2. 고랭지채소 재배 ························································································· 10 3. 배추 생산 및 가격 ····················································································· 12 4. 김치 수급 ···································································································· 21 제3장 김치시장의 현황과 구조 1. 김치시장의 규모 ························································································· 26 2. 김치시장의 특성 ························································································· 29 3. 김치업체의 경영성과 진단 ········································································ 35 제4장 배추가공사업 추진방향 1. 배추가공사업의 SWOT 분석 ···································································· 42 2. 배추가공사업 추진방향 ·············································································· 44 3. 벤치마킹 사례 (화원농협) ········································································· 47 제5장 소요 시설·예산 및 입지 평가 1. 생산 규모 ···································································································· 53.

(10) viii 2. 소요 시설 및 예산 ····················································································· 57 3. 사업후보지 평가 ························································································· 61 제6장 배추가공공장 설립 타당성 1. 투자 계획 ···································································································· 70 2. 사업 수지 ···································································································· 71 3. 지역경제에 대한 파급영향 ········································································ 73 4. 종합평가 ······································································································ 76 제7장 요약 및 결론 ························································································ 78 참고 문헌 ············································································································· 83.

(11) ix. 표 차 례. 제2장 표 2-1. 정선군 가구 및 인구 구성 ······························································· 6 표 2-2. 정선군 토지지목별 현황 ··································································· 6 표 2-3. 표고별 경지면적 현황 ······································································· 7 표 2-4. 정선군 농업의 위상 ··········································································· 8 표 2-5. 정선군 농산물 생산 및 소득 현황 ·················································· 9 표 2-6. 고랭지채소 재배현황, 2008 ···························································· 10 표 2-7. 정선군 배추 재배면적과 생산량 추이 ·········································· 11 표 2-8. 전국 배추 생산 추이 ······································································· 12 표 2-9. 배추 작형별 재배면적 동향 ··························································· 14 표 2-10. 배추 주요 작형별 재배 및 출하 시기 ·········································· 16 표 2-11. 배추 세부 작형별 재배지역 ··························································· 17 표 2-12. 고랭지배추 유통비용 비중, 2007 ·················································· 19 표 2-13. 고랭지배추 유통비용 명세표, 2007 ··············································· 20 표 2-14. 종류별 김치 원료량과 생산량 ························································ 22 표 2-15. 배추 수확시기별 김치 수율 범위 분포 ········································ 23 표 2-16. 김치 생산·공급 주체별 공급량 비중 ············································· 23 제3장 표 3-1. 김치시장 규모 ·················································································· 27 표 3-2. 김치 제조업체 현황 ········································································· 30 표 3-3. 김치류 상위업체 3개소의 매출액 점유율 추이 ··························· 30 표 3-4. 수입김치의 국내시장 점유율 추이 ················································ 32 표 3-5. 농협김치 점유율 추이 ····································································· 32.

(12) x 표 3-6. 공급원별 국내 시판김치 시장의 농협김치 비중, 2007 ··············· 33 표 3-7. 농협 조합별 매출액 추이 ······························································· 36 표 3-8. 주요 김치 업체 매출액 추이 ························································· 36 표 3-9. 농협 조합별 영업이익률 추이 ························································ 38 표 3-10. 주요 김치업체 영업이익률 추이 ···················································· 39 표 3-11. 농협 그룹별 김치사업의 주요 특징 ·············································· 41 제4장 표 4-1. 배추 가공사업의 SWOT 분석 ························································ 44 표 4-2.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매출액 추이 비교 ····································· 48 표 4-3.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매출총이익 추이 비교 ····························· 48 표 4-4.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영업이익 추이 비교 ································· 49 표 4-5.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주요 판매 실적 비교, 2007 ···················· 49 표 4-6.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종사자 1인당 생산량 및 매출액 비교, 2007 ··········································································· 50 표 4-7.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생산량 대비 영업비용 비교, 2006 ········· 51 표 4-8. 화원농협의 연도별 단위생산 당 영업비용 추이 ························· 51 표 4-9.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매출액 대비 영업비용 (영업비용율) 비교, 2006 ································································· 52 제5장 표 5-1.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생산라인 규모별 면적 규모 비교, 2007 ·· 54 표 5-2. 화원농협과 타 농협의 인력 현황 비교, 2007 ······························ 55 표 5-3. 화원농협과 타 농협(1조 생산라인 농협)의 생산 능력 비교 ······ 55 표 5-4. 김치공장 부지매입 및 기초토목공사 소요예산 ··························· 57 표 5-5. 김치공장 소요 시설·장비 및 예산 ················································ 59 표 5-6. 배추 가공공장 입지선정 기준 ························································ 63 표 5-7. 정선군 지역별 배추 재배농가 및 재배면적 ································· 64.

(13) xi 표 5-8. 정선군 지역별 무 재배농가 및 재배면적 ····································· 65 표 5-9. 배추 가공공장 입지선정 주요 지표와 결과 ································· 69 제6장 표 6-1. 배추가공공장 투자계획 ··································································· 71 표 6-2. 연차별 예상 사업수지 추정 ··························································· 72 표 6-3. 계약사업의 효과에 관한 농가 반응 ·············································· 74 표 6-4. 배추 가공사업으로 인한 고용창출 인원 수 추정 ························ 75 표 6-5. 직종별 연간 평균임금, 2007 ·························································· 76.

(14) xii. 그 림 차 례. 제2장 그림 2-1. 정선군 배추 생산 현황 추이 ······················································ 11 그림 2-2. 배추 재배면적과 생산량 동향(3개년 이동평균) ······················· 13 그림 2-3. 배추 재배면적의 지역별 비중 변화 ·········································· 15 그림 2-4. 연도별 배추 가격 동향 ······························································· 18 그림 2-5. 1인당 김치 소비량 동향(3개년 이동평균) ································ 21 그림 2-6. 배추김치의 일반적인 제조공정 ·················································· 26 제3장 그림 3-1. 김치시장 규모 추이 ····································································· 27 그림 3-2. 상품김치 시장규모 추이 ····························································· 28 그림 3-3. 국내 시판김치의 부류별 비중 ···················································· 29 그림 3-4. 김치 수출 및 수입 동향 ····························································· 31 그림 3-5. 조합 및 민간업체의 매출액 및 매출액 증가율 포지셔닝 ······· 37 그림 3-6. 김치절임류 가공업체의 연도별 영업이익률 추이 ···················· 39 그림 3-7. 농협 김치공장의 조합별 매출액증가율(성장성)과 영업이익률(수익성) ······································································ 40 제5장 그림 5-1. 김치공장 세부시설별 배치도(예) ··············································· 60 그림 5-2. 배추 가공공장 입지 선정지역 ···················································· 69.

(15) 1. 제. 1. 서. 장.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배추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있음. 식생활 변화에 따라 김치 소비량의 정체되 고, 중국으로부터의 김치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국내 배추 생산은 감소 하고 배추 자급률도 하락하고 있음. ○ 최근 배추 가격의 연도 간 변동폭이 커지고 있음. 수입김치가 증가함에 따 라 국내 김치에 대한 수요가 정체되고 있기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기 어려운 상황임. ○ 정선 등 강원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고랭지배추, 고랭지무 등 고랭지채 소는 연도간 가격변동폭은 매우 큼. 실질가격이 정체된 가운데 변동이 심해 짐에 따라 고랭지배추 농가의 타 작목 전환에 따른 해당 품목 소득의 연쇄 적 감소를 유발하거나 경작 포기에 따른 지역 경제의 침체를 초래할 우려가 커짐..

(16) 2 ○ 정선군은 이러한 지역농업의 위기적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해 배추 등 고랭 지채소 주산지로서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가공사업의 가능성을 검토해 볼 필요성이 제기됨. ○ 이 연구는 정선군 배추 가공공장 설치의 기본방향을 수립하고 타당성을 검 토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김치시장의 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 시장진입의 가능성과 가공사업 추진방향을 설정하며, 공 장 건립의 규모와 소요 시설 및 예산을 추정하고 입지를 평가하며, 그리고 설정된 사업방향과 투자에 따른 수지분석과 지역경제에 대한 파급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연구 내용. ○ 이 연구의 내용은 정선군 농업현황, 김치시장의 현황과 구조, 배추가공사업 추진방향, 소요 시설․예산 및 입지 평가, 건립 타당성 분석 등으로 구성됨. 연구 내용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됨. ○ 정선군 농업 및 배추 수급 현황 - 정선군 지역경제와 농업 - 고랭지채소 재배 - 배추 생산 및 가격 - 김치 수급 ○ 김치시장의 현황과 구조 - 김치시장의 규모 - 김치시장의 특성.

(17) 3 - 김치업체의 경영성과 진단 ○ 배추가공사업 추진 방향 - 배추가공사업의 SWOT 분석 - 배추가공사업 추진 방향 - 벤치마킹 사례 (화원농협) ○ 소요 시설·예산 및 입지 평가 - 생산 규모 - 소요 시설 및 예산 - 사업후보지 평가 ○ 배추가공공장 설립 타당성 - 투자 계획 - 사업 수지 - 지역경제에 대한 파급영향 - 타당성 종합 평가. 3. 연구 범위와 방법. 3.1. 연구 범위 ○ 이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정선군 일원으로 함. 가공시설 건립을 통한 지역 경제에 대한 파급영향도 정선군에 한정하여 평가함..

(18) 4 ○ 이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시설 건립 후 운영이 정상화되는 기간, 즉 5~6년 정도를 주요 대상으로 함.. 3.2. 연구 방법 ○ 연구 기간이 짧아 연구방법은 주로 관련 선행 연구를 참고하고 2차 자료에 대한 통계 분석에 의존함. ○ 정선군 농업 및 가공 현황, 사업후보지 현황 등에 대해서는 정선군청, 관내 농협관계자, 농민단체 등의 의견을 청취하였으며, 소요 시설 및 장비에 대 해서는 화원농협, 전곡농협, 농협중앙회 등 농협관계자의 의견을 청취하고 (주)대덕종합기계에 자문하였음..

(19) 5. 제. 2. 장. 정선군 농업 및 배추 수급 현황. 1. 정선군 지역경제와 농업. 1.1. 일반개황. □ 강원남부 내륙의 농가비중이 높은 지역 ○ 정선군은 강원도 남부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삼척시, 서쪽은 평창 군, 영월군, 남쪽은 태백시, 북쪽은 동해시와 맞닿아 있음. ○ 행정구역은 4읍 5면으로 구성 - 정선읍, 고한읍, 사북읍, 신동읍, 동면, 남면, 북면, 북평면, 임계면 ○ 가구중 농가구비율 19%, 농가인구비율 21%로 농가 비중이 높음..

(20) 6 - 정선군의 총 가구 수는 18,114세대, 총인구는 42,048명임. - 정선군의 농가 수는 3,406호, 농업인구는 9,054명임. 표 2-1. 정선군 가구 및 인구 구성 단위:호, 명, %. 가 구 수. 인 구 수. 총 세 대. 농 가. 비중. 총 인 구. 농 업 인 구. 비중. 18,234. 3,406. 18.6. 43,327. 9,054. 20.8. 자료: 정선군,「2008년도 통계연보」.. □ 임야 중심, 고랭지 농업 중심의 면적 구성 ○ 정선군의 총면적은 1,219.91㎢이며, 임야가 85.8%에 달하는 산악지형임. ○ 농경지의 면적은 전체면적의 9%이며, 임야 면적이 85.8%로 지역 전체 면적 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표 2-2. 정선군 토지지목별 현황 단위: ㎢, (%). 계. 농경지 계. 1,219.91. 109.02. (100). (8.9). 전. 답. 100.19. 8.83. 대지. 임야. 기타. 6.40. 1,046.87. 57.62. (0.5). (85.8). (4.8). 자료: 정선군,「2008년도 통계연보」.. ○ 정선군의 경지면적 중 표고 400m 이상이 전체의 71.4%, 500m 이상이 전체 의 43%임. 이러한 경지구조는 정선군이 고랭지농업에 적합한 곳임을 나타냄..

(21) 7. 표 2-3. 표고별 경지면적 현황 단위: ha, (%). 구분. 201 301 401 501 601 701 ∼300 m ∼400 m ∼500 m ∼600 m ∼700 m ∼800 m. 801m 이상. 계. 105. 2,030. 2,087. 1,826. 950. 413. 49. 7,460. (1.4). (27.2). (28). (24.5). (12.2). (5.5). (0.7). (100). 전. 105. 1,673. 1,907. 1,726. 950. 413. 49. 6,823. 답. -. 357. 180. 100. -. -. -. 637. 전체. 자료: 정선군,「2008년도 통계연보」.. 1.2. 정선군 지역경제와 농업. □ 군 경제에서 농업 비중은 감소 추세 ○ 정선군의 경제규모는 산출액이 1조 9,373억 원, 부가가치가 1조 234억 원 수준임. ○ 정선군 농림업은 산출액이 1,269억 원, 부가가치가 854억 원으로 군 지역경 제의 6.5%, 8.3%를 차지함.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임. - 정선군 농림업이 강원도 내 농림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7%에서 안정.

(22) 8. 표 2-4. 정선군 농업의 위상 단위: 억 원, % 1995. . 강원도 농림 어업 비중. 2005. 2006. 산출액 부가가치 산출액 부가가치 산출액 부가가치 산출액 부가가치. 지역경제전체 정선군. 2000. 6,158. 3,439. 8,912. 4,913. 18,898. 9,979. 19,373. 10,234. 1,024. 694. 1,061. 599. 1,275. 866. 1,269. 854. 16,360. 10,225. 20,153. 11,686. 23,263. 12,662. 23,292. 12,573. 16.6. 20.2. 11.9. 12.2. 6.7. 8.7. 6.5. 8.3. 6.3. 6.8. 5.3. 5.1. 5.5. 6.8. 5.4. 6.8. (a) 농림어업 (b) 농림어업 (c) 군경제 대비 (b/a) 도농림어업 대비 (b/c). 주 1) 군경제 대비 (b/a): 정선군의 농림어업이 정선군 경제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 2) 도농림어업 대비 (c/a): 정선군의 농림어업이 강원도 농림어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료: 강원도청.. □ 채소·특작 중심의 농업 구조 ○ 정선군은 엽근채소, 조미채소, 서류, 그리고 약용채소, 산채 등의 특용작물 이 주요 소득원임. - 곡류 : 미곡 재배면적은 5.7%, 조수익은 2.0%이고, 잡곡 재배면적은 9.4%, 조수익은 2.5%로 재배면적에 비해 소득 비중이 낮음. - 서류·두류 : 서류 재배면적은 6.7%, 조수익은 5.8%이고, 두류 재배면적 은 16.8%, 조수익은 3.0%임. - 채소 : 근채, 엽채, 과채, 조미채소의 재배면적은 각각 10.3%, 25.7%, 3.1%, 7.7%이고, 조수익은 12.4%, 39.7%, 5.7%, 6.4%임. 특히 엽 채는 40% 정도로 소득 비중이 높음. - 특작 : 약초 재배면적은 11.5%, 조수익은 13.7%이고, 산채 재배면적은 1.7%, 조수익은 4.0%으로 소득 비중이 높은 편임. - 기타 작물의 재배면적은 1.3%이나 조수익은 4.7%임..

(23) 9. 표 2-5. 정선군 농산물 작목별 생산 및 소득 현황 품목별. 계. 농가 수. 면적. 총생산량. 조수익 (A). 소득 (B). 소득율. (호). (ha). (톤). (백만원). (백만원). (B/A, %). 7,460. 148,466. 185,927. (100.0). (100.0). (100.0). 428. 1,985. 3,773. (5.7). (1.3). (2.0). 703. 3,857. 4,693. (9.4). (2.6). (2.5). 498. 13,250. 10,765. (6.7). (8.9). (5.8). 1,257. 1,639. 5,643. (16.8). (1.1). (3.0). 771. 27,342. 23,071. (10.3). (18.4). (12.4). 1,914. 83,713. 73,774. (25.7). (56.4). (39.7). 231. 6,325. 10,599. (3.1). (4.3). (5.7). 573. 3,106. 11,873. (7.7). (2.1). (6.4). 860. 4,310. 25,538. (11.5). (2.9). (13.7). 127. 1,950. 7,436. (1.7). (1.3). (4.0). 98. 989. 8,762. (1.3). (0.7). (4.7). 3,406. 미 곡. 775. 잡 곡. 2,126. 서 류. 1,925. 두 류. 2,175. 근채류. 585. 채. 엽채류. 1,315. 소. 과채류. 845. 조미 채소. 2,478. 약 용. 1,062. 산 채. 228. 기 타. 136. 주: 괄호 안의 수치는 비중을 나타냄. 자료: 정선군,「2008년도 통계연보」.. 101,839. 54.8. 1,951. 51.7. 2,917. 62.2. 4,812. 44.7. 3,594. 63.7. 13,576. 58.8. 39,997. 54.2. 5,823. 54.9. 6,521. 54.9. 13,539. 53.0. 4,298. 57.8. 4,811. 54.9.

(24) 10. 2. 고랭지채소 재배. □ 정선군은 고랭지채소 주산지 ○ 정선군은 고랭지채소 주산지임. 특히 고랭지 배추는 재배면적이 1,939ha, 생 산량은 7만 5,400톤으로 도 내 1위임. - 무와 마늘 생산량도 각각 21,235톤, 1,205톤으로 도 내 1위임. - 이 외에 양배추와 고추, 양파, 파 등 양념채소 생산량도 많은 편임. 표 2-6. 고랭지채소 재배현황, 2008 단위: ha, 톤, (%) 배추. 무. 양배추. 고추. 마늘. 양파, 파. 계 면적 생산량 면적 정선군. 1,939. 75,486. (22.0). (20.7) (26.2). 평창군 1,682 71,191. 760. 생산량 21,235.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면적 생산량 149. 7,284. 467. 1,307. 126. 1,205. 44. 1,513. (13.7) (25.0). (25.3). (8.6). (10.4). (21.9) (16.9). (15.1) (12.4). 341. 10,504. 506. 30,915. 439. 966. 5. 45. 157. 4,836. 태백시. 970. 37,780. 32. 987. 9. 360. 12. 28. 1. 8. 0.3. 8. 영월군. 683. 30,848. 140. 4,809. 9. 406. 698. 1,640. 19. 152. 4. 118. 5,274 215,305. 1,273. 37,535. 673. 38,965 1,616. 3,941. 151. 1,410 205.3. 6,475. (38.7) (76.4). (80.8) (42.8). (41.4). (30). (29.6) (40.1). (44.6). 97,088. 48,209 3,772. 9,520. 504. 4,761. 14,502. 소계. 강원도. (59.1). (59.1) (43.8). 8,808 364,268. 2,906. (100.0) (100.0) (100.0). 881. 51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정선군,「2008년도 통계연보」.

(25) 11. □ 배추 생산량은 증가 ○ 정선군 배추생산량은 연 7∼8만 톤으로 강원도 생산량의 20∼25%를 차지함. - 배추 재배면적은 1,500~2,500ha에서 변동됨. - 배추 생산량은 1990년대 말 6만 5,000 톤∼7만 톤에서 최근 8만 톤 수준 으로 증가함. 그림 2-1. 정선군 배추 생산 현황 추이 ha. M/T. 12,000. 600,000. 10,000. 500,000. 8,000. 400,000. 6,000. 300,000. 4,000. 200,000. 2,000. 100,000. 0. 0 1997. 1998. 1999. 강원도 배추면적. 2000. 2001. 2002. 정선군 배추면적. 2003. 2004. 2005. 2006. 강원도 배추생산량. 2007 연도 정선군 배추생산량. 자료: 농림수산식품부,「작물통계」.. 표 2-7. 정선군 배추 재배면적과 생산량 추이 단위: ha, 톤, %. 구 분 1997 2000 2003 2005 2006 2007. 정선군 면적. 강원도. 생산량 (a). 1,415 1,874 1,676 1,479 1,769 1,748. 자료: 농림수산식품부,「작물통계」.. 64,608 69,529 59,853 69,991 78,550 80,408. 면적 7,934 11,099 8,975 7,193 7,786 6,867. 비중. 생산량 (b) 344,569 480,889 381,994 291,222 354,469 311,142. (a/b) 18.8 14.5 15.7 24.0 22.2 25.8.

(26) 12. 3. 배추 생산 및 가격. 3.1. 생산. □ 배추 생산 현황 ○ 전국적으로 배추 재배면적은 감소추세 - 배추 재배면적은 산업화가 가속화되던 1970년대 중반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 단기적으로는 가격에 따라 2∼3년 주기로 증감을 반복하고 있음. - 2001년부터는 감소 추세로 연평균 2%의 감소율을 보이고 있음. - 배추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연간 변동이 크게 나타남. - 생산량은 연간 변동이 심하며, 2000년대 초 이후 완만한 감소 추세임. 표 2-8. 전국 배추 생산 추이 단위: ha, kg/10a, 톤. 연 도 1990 1995 2000 2003 2005 2006 2007 2008. 재배면적 47,495 46,483 51,801 47,686 37,203 42,035 34,265 37,285. 자료: 농림수산식품부,「작물통계」.. 10a당 수량 7,103 6,206 6,080 5,616 6,250 6,541 6,471 6,933. 생 산 량 3,373,364 2,884,772 3,149,255 2,678,271 2,325,330 2,749,399 2,217,149 2,584,908.

(27) 13. □ 고랭지배추 재배면적은 감소 후 최근 안정세 ○ 고랭지배추 재배면적은 2000년대 초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여, 근년 6,500∼7,000ha에서 변동함. - 전체 재배면적에서 봄배추 재배면적은 1990년대 45.2%에서 2000년대 49.9%로 증가한 반면,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35.4%에서 31.7%로 감소함. - 고랭지배추는 18∼19%의 안정적인 비율을 나타내고 있음. - 김장수요 감소로 가을배추 재배면적 감소폭이 다른 작형보다 크기 때문임. 그림 2-2. 배추 재배면적과 생산량 동향(3개년 이동평균) ha. 천톤. 60,000. 3,500. 50,000. 3,000 2,500. 40,000. 2,000 30,000 1,500 20,000 1,000 10,000. 500.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봄배추 재배면적 가을배추 재배면적. 고랭지배추 재배면적 전체 생산량. 주: 2008년 생산량은 KREI 농업관측정보센터 추정치임. 자료: 농림수산식품부,「작물통계」, 각 연도..

(28) 14. 표 2-9. 배추 작형별 재배면적 동향 단위: ha. 1991. 1995. 200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봄. 16,732. 21,731. 25,182. 26,294. 22,830. 19,700. 20,616. 15,776. 16,191. 고랭지. 8,163. 8,742. 10,206. 8,796. 7,935. 6,502. 7,051. 6,311. 6,401. 가 을 17,268. 16,010. 16,413. 12,596. 13,858. 11,001. 14,367. 12,178. 14,693. 전 체 42,163. 46,483. 51,801. 47,686. 44,623. 37,203. 42,034. 34,265. 37,285. 자료: 농림수산식품부,「작물통계」, 각 년도.. □ 지역별 배추 재배 현황 ○ 지역별로는 경기 지역과 전북 지역이 큰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전북 지역의 감소는 가을배추 재배면적 감소 때문으로 판단됨. - 반면, 전남 지역은 월동배추 재배면적 증가로 재배면적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가을과 월동배추(통계상 봄배추에 포함) 최대 주산지인 전남 지역은 비중이 1998년 19%에서 2008년 26%로 증가하고 있음. - 이는 전남 지역 재배면적이 변동은 크지 않은 반면, 다른 지역 재배면적 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임. ○ 강원도의 배추 재배면적 비중은 전국의 19∼20% 수준에서 안정세를 나타 냄. 이는 고랭지배추 재배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임..

(29) 15. 그림 2-3. 배추 재배면적의 지역별 비중 변화 % 30.0. 1998. 2003. 2008. 26.0. 26.4. 25.0 19.5 20.0. 15.0. 19.3. 18.8 19.0. 14.3. 13.0. 10.1 9.8. 8.3. 10.0. 7.2. 8.1. 8.6. 7.8. 9.0. 11.8 11.1. 9.1 8.2. 9.5 6.7 5.9. 7.1. 5.0. 2.4 1.5. 0.0.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1.5. 제주. 자료: 농림수산식품부,「작물통계」, 각 연도.. □ 배추 재배 및 출하 시기 ○ 배추는 파종 후 2주 내외 기간의 육모를 하여 정식하게 됨. ○ 배추나 무와 같이 주로 노지에서 재배되는 경우에는 작형을 그냥 계절명을 따서 봄 작형, 여름 작형, 가을 작형 등으로 구분함. - 여름 작형은 고랭지 작형이라고도 하며, 봄 작형은 다시 월동 작형과 (협 의의) 봄 작형(또는 노지봄작형)으로 구분하기도 함. - 봄작형은 같은 작형도 지역에 따라 1∼2주 가량 차이 남..

(30) 16. 표 2-10. 배추 주요 작형별 재배 및 출하 시기 작형. 정식(파종)기. 출하기. 월동. 8월 하순-9월 상순. 1월 상순-4월 하순. 봄. 1월 하순-4월 중순. 5월 중순-6월 하순. 여름. 5월 중순-7월 상순. 7월 상순-10월 중순. 가을. 8월 중순-9월 상순. 10월 중순-12월 하순. ○ 고랭지작형은 해발 400∼600m까지 준고랭지, 600m 이상은 고랭지로 분류됨. - 준고랭지는 1기작(4월∼5월)과 2기작(7∼8월)으로 구분되며, 고랭지는 5 월∼7월에 정식이 이루어짐. - 가을작형은 8월∼9월, 월동작형은 9월상∼하순까지 이루어짐. ○ 정선군은 고랭지 재배(준고랭지 포함)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배추 공급 가능 시기는 여름철에서 가을철 사이의 5∼6개월에 한정됨1.. 1. 농협과 농민단체는 최대 6개월간 배추 공급이 가능하다고 자문함..

(31) 17. 표 2-11. 배추 세부 작형별 재배지역. 봄. 고랭지. 구분. 정식. 주산시도. 시설. 1월상∼ 2월하. 호남, 경기, 충청. 호남은 노지, 충청은 터 나주, 광주, 고창, 예산, 널이 많고, 경기는 시설 서산, 평택 이 더 많음. 터널. 2월상∼ 3월하. 경기, 영남, 충남. 김포, 평택, 김해, 밀양, 하동, 아산. 노지. 3월상∼ 4월하. 전국적. 나주, 영암, 고창, 서산, 아산, 평택, 연천, 영월. 준고랭지. 4월중∼ 5월하. 강원, 경남, 호남. 영월, 횡성, 대화, 방림, 완료 10, 20일후 2기작 무주, 거창 정식. 고랭지. 5월상∼ 7월하. 강원. 대관령, 안반덕, 왕산, 귀내미, 안반덕은 6월까 태백(매봉산), 귀내미, 지도 정식 가 삼척(하장), 정선. 준고랭지 2기작. 7월중∼ 8월중. 강원. 영월, 횡성, 대화, 방림, 무주, 거창. 8∼9월. 봄작형과 유사. 고창, 나주, 홍성, 당진, 영암, 무안, 강릉, 아산. 9월 20월. 호남, 제주. 가을. 월동. 노지 저장. 주산시군. 비고. 통계상으로는 봄배추에 해남, 진도, 무안, 제주 포함되어 발표됨. 제주는 (조천), 성산 일부 거의 자체 소비 녹색, 이레유통 등. 3.2. 가격 및 유통비용. □ 배추가격의 변동성은 확대 경향 ○ 배추 가격의 연도 간 변동성이 커지고 있음. - 서울특별시 가락동도매시장의 연도별 배추 평균경락가격을 살펴보면, 1996년 이후부터 상승하고 있으나 2∼3년을 주기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음. - 그 변동폭은 점차 커지고 있으며, 연도 간 가격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음..

(32) 18. 그림 2-4. 연도별 배추 가격 동향 원/10kg. 6,000 . 5,000 . 4,000 . 3,000 . 2,000 . 1,000 . ‐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연도. 주: 상품 기준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배추는 유통비용이 높은 작물 ○ (고랭지)배추는 소비자가격에서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67∼68%로 유통비용이 높은 작물임. 즉 배추는 소비자가격에서 농가가 수취하는 비율 이 32∼33%로 낮은 편임..

(33) 19. 표 2-12. 고랭지배추 유통비용 비중, 2007 단위: %, 원/포기. 구. 비용별. 단계별. 가 격 주 1) 2) 3) 자료:. 분. 평 균. A 경로. B 경로. 농가수취율. 32.7. 32.1. 33.9. 유통비용. 67.3. 67.9. 66.1. 직접비. 26.9. 27. 26.7. 간접비. 14.0. 13.3. 15.5. 이 윤. 26.4. 27.6. 23.9. 출하단계. 18.4. 19.0. 17.2. 도매단계. 14.8. 14.8. 14.8. 소매단계. 34.1. 34.1. 34.1. 농가수취가격. 958. 941. 993. 소비자가격. 2,933. 2,933. 2,933. 유통지역의 경로는 정선 → 서울임. A 경로: 생산자 → 산지유통인 → 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 B 경로: 생산자 → 생산자단체 → 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 농수산물유통공사,「농산물 유통실태(작형별 배추 유통실태)」.. ○ 고랭지배추는 특히 수확상차비, 운송비, 감모비·쓰레기처리(청소) 등의 비 중이 높음. 5톤 트럭 1대(2,550포기) 출하 시 제경비(수확, 포장, 운송, 하차, 상장수수료)는 120만 원임. - 출하 시 제경비 전년대비 약 8.6% 감소함. - 출하단계의 수확상차비와 운송비는 증가했으나 도매법인이 상장수수료 를 5%('06)에서 6%('07)로 인상하면서 하차비를 법인이 부담했기 때문임..

(34) 20. 표 2-13. 고랭지배추 유통비용 명세표, 2007 단위: 원/포기, %, 상품 구분 생. 금액. 비율. 산출근기. 농가수취가격. 941.2. 32.1. 2,400천원/5톤 트럭. 판매가격. 941.2. 32.1. 2,550포기 기준(870망/3입 그물망). 수확상차비. 203.9. 7.0. 12.2. 0.4. 신문지 20천원/5톤 트럭. 산 자 산. 작업비420청원/5톤트럭,장비사용료100천원 130원/3입 그물망(정부지원 90%). 지. 포장재비. 유. 운송비. 156.9. 5.3. 400천원/5톤 트럭. 간접비. 46.1. 1.6. . 138.7. 4.7. . 95.7. 3.3. 경락가의 6%, 하차비(69원/망)는 법인 부담. 1,594.7. 54.4. 청소비. 10.2. 0.3. 26,000원/5톤 트럭. 감모. 47.8. 1.6. 물품대의 3%. 간접비. 108.1. 3.7. . 이윤. 172.5. 5.9. . 1,933.3. 65.9. 운송비. 133.3. 4.5. 20,000원/1톤 트럭(150포기 적재). 소. 감모. 135.3. 4.6. 물품대의 7%. 매. 간접비. 232.1. 8.0. . 상. 이윤. 499.3. 17.0. . 2,933.3. 100.0. 통 인. 이윤 도 매 시 장 중 도 매 인. 상장수수료 경락가격. 판매가격. 판매가격. 정상가격(80%): 5,200원/3입*850망*0.8=3,536천원 재가격(20%): 5,200원/3입*850망*0.2*0.6=530천원. 5,800원/3입 그물망. 포기. 주: 유통지역의 경로는 정선 → 서울(가락시장)임.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35) 21. 4. 김치 수급. 4.1. 소비. □ 김치 소비량은 감소 후 최근 안정세 ○ 1인당 김치 소비량은 연간 30∼35kg 수준에서 안정세 - 1990년대 전반에는 연간 40kg 수준이었으나 이후 2000년대 전반까지 감소 그림 2-5. 1인당 김치 소비량 동향(3개년 이동평균) 배추김치 소비량(kg). 김치 총 소비량(kg). 40.0. 45.0 40.0. 35.0 김치 총 소비량. 30.0. 35.0 30.0. 배추김치 소비량. 25.0. 25.0 20.0 20.0 15.0. 15.0. 10.0. 10.0. 5.0. 5.0. 0.0. 0.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주 1) 2008년은 농업관측정보센터 추정치임. 2) 배추김치 소비량=[(추정된 김치용 배추 공급량에 수율 적용한 환산 김치 물량)+(김치 수 입량)-(김치 수출량)]/인구수임. 김치용 배추 공급량은 배추 공급량(생산+수입-수출)에서 감모량 (농림수산식품부 적용치 총 공급의 35%)과 타 용도로 이용되는 배추(농협 추정치 8%)를 제외시 킨 값임.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업전망」2009..

참조

관련 문서

이상으로 방법 측면에서는 기후 변수의 생육 단계별 비선형적 영향을 반영하는 혼합주기 모형 (MIDAS)의 적용을, 자료 측면에서는 기후 요인 및 생육 실측 자료의 활용을 통해

실제 재배면적 기준 세금부과면적 기준 상품 매도량 기준 우량종자보조 농기구구입보조 농자재종합직접지불.. 쌀,

따라서 이번 달에는 세계주요국의 식량안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세계 주요국의 기아 인구 비중과 평균 영양 결핍량을 그래프로 담아보았다... 따라서 최근 저개발국에

EU 의 생산량 증가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중국 옥수수 재배농가 의 대두 및 기타 곡물로의 작목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 기말재고량 수준에 따라

연도별 대규모기업집단 (가나다 순) 번 호그룹(기업집단)명30대 기업집단상호출자제한

성과급 제도의 특성은 성과급 비중, 성과급 유형, 차등 폭, 및 지급주기를 고려하였고, 직무특성은 기능다양성, 과업정체 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 학교교육은 제도화된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중 교육이수 관련 증빙 (성적증명서 등) 요청시 제출이 가능한 교육과정을

국내업체 해외 출하 비중 및 세계 시장 점유율 추이.. 태블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