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제2절에서 분석한 직접적인 효과 외에 건축·설비 및 정비업, 식당업 등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임.

○ 향후 사업이 정착되었을 때 지자체는 시설사용료를 부과할 수 있고 기타 세 수 발생으로 인해 재정 수입이 증대될 수 있을 것임12.

4. 종합평가

○ 배추가공공장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총 38억 원의 투자액이 소요됨. 투자는 일시에 실시하기 보다 두 번으로 나누어 1차 투자 32.5억 원, 2차 투자 5.5 억 원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12 정선군청은 현재 이 가공시설에 대한 사용료를 부과할 의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운영주체 입장에서의 사업 수지는 다음과 같이 산출됨. 매출액은 1년차 37.13억 원, 2년차 45.63억 원, 3년차 54.5억 원, 4년차 109.0억 원, 5년차 124.6억 원 등으로 나타남. 영업이익은 1년차 -0.9억 원, 2년차 -0.2억 원, 3년차 0.5억 원, 4년차 1.0억 원, 5년차 2.2억 원 등으로 나타남.

- 즉 초기 2년간은 적자를 나타내고 3년차에 흑자로 전환될 것임.

- 동 사업은 5년차에 정착될 것으로 추정됨. 5년차에는 생산량 7,200톤, 매 출액 124.6억 원, 영업이익 102.8억 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남.

○ 배추가공(김치·절임)공장을 설립함으로써 정선군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으로 농가소득 안정화, 고용 창출, 생산 및 부가가치 제고 등이 있음.

- 가공공장 건립으로 계약재배가 활성화됨에 따라 농가소득도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가도 공장 건립을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됨.

- 고용 인력은 총 72∼105 인이 창출될 것이며, 이를 통해 소득은 연간 13.0

∼20.7억 원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 기타 직간접적인 산업 생산 및 부가가치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됨.

○ 배추가공사업은 운영주체가 투자비용을 전액 부담하는 경우에는 20년이 되 더라도 투자비용을 모두 회수하기 어려울 것으로 평가됨.

○ 정선군이 투자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투자액 에 비해 크기 때문에 투자의 타당성은 있는 것으로 평가됨.

○ 그러나 사업타당성에 관한 이상의 평가는 여러 가지 가정하에서 성립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함. 특히 가공공장의 가동일수를 연간 240일을 목표로 삼 았는데, 관내 농산물에만 의존할 경우 고랭지 채소의 출하기간 제약으로 가 동일수가 제약됨. 다시말해 이상과 같은 타당성 평가는 타 지역과의 사업제 휴, 고정적 계약에 의한 판로 확보 등 안정적으로 가동률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이 전제된 바탕위에 성립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함.

7

요약 및 결론

○ 이 연구는 정선군 배추가공사업의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가공공장 건립 타 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음. 보다 구체적으로는

- 국내 배추 수급 및 김치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 배추가공사업 추진방향을 설정하며,

- 가공공장의 소요 시설 및 예산을 추정하고 입지를 평가하며,

- 설정된 사업방향과 투자에 따른 수지분석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영 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음.

▣ 정선군 농업 현황

○ 최근 배추 가격이 하락하고 연도간 변동이 심해짐에 따라 배추 농가의 소득 도 불안정해지고 있음. 배추, 무 등 고랭지채소는 정선군 농가소득의 64.2%

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추 농가의 타 작목 전환에 따른 해당 품목 소득 의 연쇄적 감소를 유발하거나 경작 포기에 따른 지역경제의 침체를 초래할 우려가 있음.

▣ 김치시장의 현황과 구조

○ 김치시장의 규모는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음. 상품(시판)김치 시장의 규모는 2001년 5,812억 원이었으나 2008년에는 1조 1,288억 원으로 증가하였음.

○ 김치 제조업체 수는 690여 개로 추정됨. 이 중 70% 이상은 연간 매출액이 5억 원 미만으로 매우 영세함. 김치시장은 대규모업체에 의한 시장 집중도 가 증가하고 있음.

○ 농협 김치의 매출액은 김치시장의 약 12~14%를 차지함. 그러나 조합별 매 출액은 김치시장의 1%에 불과함. 농협 조합별 연평균 매출액은 약 60억 원 으로 대기업 평균 250억 보다 작고, 일반김치업체보다는 큰 중규모임. 농협 김치공장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8%이며, 대기업 평균보다 높음.

▣ 배추가공사업 추진방향

○ 정선군 채소가공사업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 상품 구성은 사업 초기 절임배추 중심으로 하고 점차 김치완제품 비율을 높이고 그 비율은 6:4 정도로 함.

- 고추, 마늘 부재료를 이용한 편이가공품과 산채·약초를 활용한 절임 등 가공품을 개발·배합함.

- 업체·기관과의 사전계약에 의한 공급 방식을 채택하여 사업의 안정성을 기함.

- 공장의 가동률(조업도)를 높이기 위해 상품 구성과 남부지역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가 필요함.

- 운영주체는 공동사업법인 또는 단독농협 주도의 연합사업체가 바람직함.

은 절임배추 중심의 상품구성과 중규모로 사업을 추진하여 생산성을 높이 고 사업을 확대할 수 있었음.

▣ 소요 시설·예산 및 입지 평가

○ 사업방향과 정선군 예산제약 등을 고려하면 가공공장의 규모는 일생산능력 이 최대 30톤 수준의 중규모가 바람직함.

- 가공공장 건립을 위한 투자액은 총 32.0∼32.7억 원이 소요됨.

- 공장 부지는 7,260∼9,300㎡가 필요하며, 예산은 2.7∼3.5억 원이 소요됨.

- 공장 시설은 HACCP 기준에 의한 가공시설, 저온저장고, 일반창고, 오폐 수시설 등으로 면적은 총 2,814㎡(연면적기준 3,078㎡), 예산은 25.3억 원이 소요됨.

- 기계설비는 절임설비, 세척설비, 포장설비 등으로 7.6억 원이 소요됨.

- 장비는 냉장탑차, 일반수송차량, 지게차 등으로 1.8억 원이 소요됨.

○ 사업후보지를 평가하기 위해 배추 관련 산업 인프라, 유사시설 입지여부, 교통여건, 노동력 확보 용이성 등의 기준을 고려하였으며, 동남부의 남면 지역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음.

▣ 배추가공공장 설립 타당성

○ 가공공장 건립을 위한 투자액은 총 32.0∼32.7억 원이 소요됨. 총 투자액은 2차에 걸려 분산시키며, 1차로 32.0∼32.7억 원을 초년도에 투자하고 2차로 저온저장고와 기계설비 일부에 대한 투자액 5.5억 원을 4차년도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함.

○ 예상 매출액은 1년차 37.13억 원, 2년차 45.63억 원, 3년차 54.5억 원, 4년차

109.0억 원, 5년차 124.6억 원 등임. 운영주체 입장에서의 영업이익은 1년차 -0.9억 원, 2년차 -0.2억 원, 3년차 0.5억 원, 4년차 1.0억 원, 5년차 2.2억 원 등으로 나타남. 즉 초기 2년간은 적자를 나타내고 3년차에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됨.

- 동 사업은 5년차에 정착될 것으로 추정되는데, 5년차에는 생산량 7,200 톤, 매출액 124.6억 원, 영업이익 102.8억 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남.

○ 배추가공(김치·절임)공장을 설립함으로써 정선군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으로 농가소득 안정화, 고용 창출, 생산 및 부가가치 제고 등이 있음. 가공 공장 건립으로 계약재배가 활성화됨에 따라 농가소득도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가도 공장 건립을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됨. 고용 인력은 총 72

∼105 인이 창출될 것이며, 이를 통해 소득은 연간 13.0∼20.7억 원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됨.

○ 배추가공사업은 운영주체가 투자비용을 부담하는 경우에는 20년이 되더라 도 투자비용을 모두 회수하기 어려울 것으로 평가됨. 정선군이 투자할 경 우,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투자액에 비해 크기 때문 에 투자의 타당성은 있는 것으로 평가됨. 그러나 이상과 같은 추정 결과는 여러 가지 가정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가동기간이 관내 출하시기를 초월 한 사업 전략을 전제로 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함.

참고 문헌

김동환 외. 2008. 「무․배추 산업 중장기 발전방안」. 농식품신유통연구원.

. 2005. 「무․배추 전처리시설 표준모델 개발 및 투자방향에 관한 연구」. 농식품 신유통연구원.

김병률 외. 2004. 「시장개방하의 채소수급안정제도 발전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 2008. 「작물통계」.

농수산물유통공사. 2008. 「농산물 가공업체 운영실태 조사결과」.

. 2008. 「2007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서현. 2000. 「김치시장의 동향과 농협김치 판매확대 방향」. 농협중앙회.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식품저널. 2008. 「2008 식품유통연감」.

이계임 외. 2000. 「김치수요의 변화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창곤 외. 2007. 「농협 김치공장 정밀 경영 진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08. 「농협 김치사업 활성화를 위한 컨설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06. 「수입김치 국내유통 실태조사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선군청. 2008. 「2008년 통계연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농업전망 2009」.

한국신용평가정보(KISLINE). 2006~2008. 「Industry Report - 김치산업」.

인 쇄 2009. 7.

발 행 2009. 7.

발행인 오세익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0-71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4-102 02-3299-4000 http://www.krei.re.kr 인 쇄 크리커뮤니케이션

02-2273-1775 cree1775@hanmail.net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