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체계적인 농어촌 중심지 육성사업 추진

문서에서 국가 농어촌정책 세미나 (페이지 93-96)

(2) 지역역량강화를 위한 소규모의 파일럿 프로젝트의 개발과 추진

4. 농어촌 정주환경 정책방향과 과제

4.1. 체계적인 농어촌 중심지 육성사업 추진

그림 3. 시‧군별 중심지 분포 유형 비교

4.1.2. 농어촌 중심지의 컴팩트화와 재생방식에 의한 사업 추진

○ 농어촌 중심지의 컴팩트 개발

- 커뮤니티시설, 공공시설 등은 투자비가 다소 증가하더라도 시가지 외곽보다는 기존의 주요기능들과 근거리에 설치하여 연계되도록 하는 등 컴팩트(compact) 한 정비를 지향함.

그림 4. 컴팩트한 농어촌 중심지 정비 이미지

- 이 때 주요 관련 기능들이 하나의 지구를 형성할 경우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 여 제도적으로 뒷받침되도록 하며, 농촌중심지에 적합한 환경개선형 지구단위 계획수법을 개발하고 제도화함으로써 신개발이 아닌 부분적 환경정비사업을 복 합적으로 추진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도록 함.

○ 물리적 환경개선과 경제․사회․문화 부문의 활성화를 통합적으로 추구하 는 재생(regeneration) 전략을 추진하되, 반드시 배후 농촌지역을 포함하 도록 함.

- 농촌중심지의 재래시장․5일시장과 중심상점가를 포괄하는 중심시가지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향토산업의 재생과 전문화, 주변 농촌․도시와 연관된 사회적 기업 등 신사업의 육성을 추진

○ 중심지를 대상으로 하는 관련 정책사업 연계(연계사업 방식)

- 재래시장 활성화, 향토산업 육성, 경관 정비 등 중심지 활성화를 위해 도입 가 능한 제반 사업들을 적극적으로 연계

- 관련 하드웨어 사업의 연계 → 도시민 유치를 위한 전원마을사업이나 농어촌 뉴타운 등 하드웨어 관련 사업과 중심지 육성 프로그램 연계 방안을 마련

- 신규 시설 조성 시에는 각종 시설들이 단지화하여 입지하도록 유도하여 주민 편의와 접근성 제고

그림 5. 농어촌 중심지 재생을 위한 연계사업의 구성 이미지

자료 : 주관수(2010).

○ 농어촌 중심지 활성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문 프로그램 개발

- 하드웨어 사업 이외에도 중심지의 각종 시설 운영 주체를 육성하고, 관련 프로 그램 자체를 차별화하고 다양화하는 시도가 필요함.

○ 농촌중심지는 그 자체의 주민들과 주변 농촌지역사회를 포함하는 커뮤니

티 중심지로서의 기능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커뮤니티 활동을 다양 화․고도화․활성화하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운영되도록 함.

○ 농어촌 중심지의 경제활동 거점기능 강화

- 농촌중심지의 재래시장․5일시장과 중심상점가를 포괄하는 중심시가지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향토산업의 재생과 전문화, 주변 농촌․도시와 연관된 농어촌 사회적 기업 등 신사업의 육성 등을 추진

4.1.3. 농어촌 중심지(읍․면 소재지)의 전원도시 기능 강화

○ 읍․면 중심지는 도농교류 관문(gateway)으로서 개발

- 거점면 소재지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 도시민의 귀촌시 선호지역으로 배후마을 이나 시․군청 소재지보다는 배후마을과 연접해 있고 도시적 성격이 덜하면서 도 기본적인 중심지기능이 확보된 거점 면소재지급 소도읍을 선호(고영배, 2009)

- 즉 적절한 저차 중심지 기능의 확충과 농촌성의 유지를 통해 도농교류 및 귀촌 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농어촌 중심지의 개발이 필수적임

○ 따라서, 역사․문화․경관자산을 잘 가꾸고, 이를 활용한 장소마케팅을 추

진하며, 점진적으로 21세기형 전원도시로 발전시킴으로써 도농교류와 도

농복합생활의 거점공간화를 도모

문서에서 국가 농어촌정책 세미나 (페이지 9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