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는말

문서에서 국가 농어촌정책 세미나 (페이지 102-105)

(2) 지역역량강화를 위한 소규모의 파일럿 프로젝트의 개발과 추진

5. 맺는말

4.3.4. 농어촌 교통서비스의 유연화

○ 배후 마을과 각급 서비스 중심지 간의 접근성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 특히 교통약자인 고령자가 많은 농어촌의 특성을 감안하여 가장 기초 적인 커뮤니티 중심인 읍․면소재지와 마을들 간 접근성을 개선하는 방 안을 마련

○ 교통서비스는 기존의 농어촌버스 노선을 최대한 유지하는 한편, 영국, 일 본 등과 같이 주민복지를 위해 교통공백 또는 불편지역 해소, 고령자 등 의 외출 촉진, 공공시설 등의 이용촉진을 위해 지자체 등이 직접 주체가 되어 운행하는 커뮤니티버스를 우리 농촌 실정에 맞게 도입

○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과 시간을 현재와 같이 고정할 경우 심각한 운 영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 교통과소지역에서는, 정보통신기술과 결합하여 운행 시간 및 노선이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되는 비관행적 대중교통 수단 운행방식을 실험적으로 도입하고, 효과성이 입증되면 적용대상을 확 대해가도록 함.

- 다이얼어버스(Dial a Bus), 그룹하이버스(Group Hire, Minibus Hire) 등의 수요 감응형버스의 도입을 검토함.

능하기 위해서는 관련 부처들이 상호 협력하여 농엋노 종주환경 정책의 방향, 목표, 사업내용, 추진방법, 모니터링․평가방법 등을 개발하여 유기 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함

○ 향후 농어촌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추진체계는 지방 주도의 통합적 접근 방식(Area-based Integrated Approach)으로 실질적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 임.

- 지방정부는 자율적․통합적으로 농어촌 정주환경 관련사업을 수립․추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시․군청 내의 실․과․소간 협력적 계획 수 립․추진이 이루어져야 함.

- 행정, 주민, 사업체,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체계 적인 역할 분담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유지․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임.

- 중앙부처 간에도 협력적 거버넌스체계를 구축하고, 지방에서의 통합적 농어촌 정주환경 정비를 위한 계획의 수립․추진이 이루어지도록 중앙-지방 간 협력적 거버넌스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임.

참고문헌

강동진 외, 복합커뮤니티시설의 의미와 사례, 도시정보, 31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 6, pp.3-17.

금성근 역(1997), (재)동북아산업활성화센터 편, 소프트 인프라스트럭처, 부산발전연구원.

김정연․권오혁, 2002, 지방활성화와 소도읍 육성, 국토정보.

, “농촌중심지 정책방향과 추진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지역발전위원회, 국 가농어촌정책의 추진 방향과 과제 토론회, 2010. 4. 23, pp.101-119.

김창현, “도시민 농촌이주의 공간적 선호특성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지역 발전위원회, 국가농어촌정책의 추진 방향과 과제 토론회, 2010. 4. 23, pp.73-86.

농촌지역개발정책 연구포럼,「농촌지역개발정책 비전과 방향」, 2008.

박시현 외, 「농촌의 미래모습, “농촌공간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동필 외, 「경제․생활권 광역화에 따른 농어촌경제 활성화방안(1/2차연도)」, 한국농 촌경제연구원.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농업과학기술연구소, 지식기반사회의 농촌발전전략과 농촌계획 에 관한 연구, 2007.

주관수, “도시재생 연계사업 도입 방안”,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지원수단 및 연계사업 도입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단․서울시립대학교, 2010. 1. 18.

일본건축학회, 충남발전연구원 역, 「러번디자인: 농촌과 도시의 공생」, 푸른길, 2009.

종합연구개발기구(NIRA), 충남발전연구원 역, 지방재생을 위한 시나리오: 인구감소에 대

한 정책 대응, 미세움, 2010.

[제2부] 국가 농어촌정책의 부문별 과제

농어촌의 보건·복지·교육·문화 서비스 확충 방안

목 차

문서에서 국가 농어촌정책 세미나 (페이지 10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