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선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학생 의 수용도(긍정적 태도)는 입양(71.1%), 국제결혼(61.3%), 재흔(58.7%), 한부모가 족β3.7%), 혼전통거 (33.4%), 미혼모(21.6%) 순이다. 입양, 국제결혼 및 재혼에 대한 학생의 수용도는 높은 편이나, 한부모가족, 동거 및 미혼모에 대해서는 부 정적인 태도가 상대적으로 우세하다.

둘째, 남녀학생별로는 동거를 제외한 한부모가족, 미혼모, 입양, 재혼, 국제결 혼에 대한 수용도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 동거에 대한 수용도는 남학생이 더 높다.

셋째, 성장과정별로 입양과 국제결혼에 대한 학생의 수용도는 중학생 시기까 지 높아진다. 재혼, 동거 및 한부모가족에 대한 수용도는 성장과정에서 지속적 으로 높아지고 있다 미흔모에 대한 학생의 수용도도 성장에 따라 점차 높아지 고는 있으나, 그 수준은 여전히 낮아 거부감이 심하다.

넷째, 한부모가족, 재혼가정, 조손가정 등 다양한 기족에 대한 초 중 고 학생 의 태도는 ‘일반가족처럼 행복’

3

1.

6% ,

‘행복하지 못할 것’

23 .3%,

‘행불행은 가 족형태와 무관’ 28.3%로 부정적인 의식이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성장과정에서 다양한 가족에 대한 편향적인 가치관이 점차 가치중립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다섯째, 학생들이 가족에 대해 배운 내용으로는 가족의 소중함이

76.9% ,

가 족형태 및 구성원의 역할

7

1.

7%.

가족 내 남녀간의 역할 평등

47.8% ,

가족-이웃

관계

4 6.4%,

가족구성원의 갈등·화해

4

1.

4% ,

가족사회 국가 관계

37 .7%,

가족

의 의식주

35.2%

등의 순이다.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가족형태 및 구성

102

원의 역할과 가족내 남녀간 역할평등에 관한 교육이 상대적으로 더 강조되고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가족의 소중함을 배운 비율이 다른 학교급에 비해 상대 적으로 높다. 이외 다른 내용은 정도가 낮다 가족에 관한 학교교육 후 학생들 의 태도는 화목한 가정을 만들 생각

45.8%,

이상적 가정만 다뤄 비현실적

7 .1%,

아무 생각 없음

1

3.

7% ,

식상하여 지루

12 .5%,

가족갈등 극복방법 습득 계

6.2%

등이, 가족교육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43.3%로 높으며, 이러한 태도는

상급학교일수록 높게 나타난다 다른 매체를 접근하는 정도가 낮은 어린 학생 일수록 가족관련 학교교육이 긍정적 효과를 거두고 있으나, 점차 학교교육 내 용이 성장발달수준에 비해 부족하거나 불충분해지면서 학생들의 반응도 부정적

인 방향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것이다.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기인할 뿐만 아니라 가족관련 의식 및 가치관의 변화에도 기인한 다. 즉,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성을 강화하고, 사회제도적·문화적으로 실 질적인 성평퉁이 구축되어야 하며, 가족관계 및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회적 지원을 강화하고, 더 나아가 가치관의 변화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 는 가족의 변화에 대응하여 가족친화적 양육친화적 사회제도적 문화를 조성하 고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촉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아동 청소 년기에 한번 형성된 가족관은 생애 전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종국 에는 전 사회적으로도 지대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미래세대인 청소년기에 가족관련 교육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부록에 수록된 교사조사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전체 응답 교사 중 약

50%

정도만이 해당학 교에서 가족관련 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답해, 기본적으로 가족에 대한 교육 자체가 확충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가족에 관한 수업 시 교사 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교사의 75%가 넘는 수가 가족관련 교 육내용이 진부하거나 관련 자료가 부족하다고 답변하여, 관련 자료의 확충 및 내용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족친화적 가치관 함양’, ‘학습자의 수준이나 흥미 고려’, ‘시대

청소년의 가족 가치관

103

성 및 현실성 반영’, ‘교육 분량의 적절성’, ‘삽화·사진·도표 등의 적절성’ 측면 에서 학교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를 내리고 있는 반면, 초 중고등학교 구분에 따라 살펴보면 공 통적으로 초중학교 교사에 비해 고등학교 교사들의 경우 앞서 나열한 사항들 과 관련해서 현재 학교교육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보는 비율이 높다. 이러한 결 과는 현재 가족관련 학교교육이 아동 청소년의 성장발달 단계 및 과정에 맞도 록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족관련 교육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통해 아동 청소년의 성장발달 과정에 적합하도록 교과내용을 개 편하고 교과체계를 개선함으로써 모든 계층이 공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 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