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족을 혈연과 결혼, 그리고 양자를 통해 결합되는 인간들의 집단으로 볼 수 있다면, 결혼이란 가족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어 가야 하는가를 규정한 법과 관습의 체계로 정의할 수 있대한남제, 198씨. 따라서 결혼과 가족간에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으며, 이들 두 현상은 어떤 사회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보 편적인 것이다 결혼은 성인남녀가 사회적으로 정한 의식을 거쳐 부부가 되는 것으로 혼례는 도덕과 이상(異뼈, 관습의 총체이며 사회적 법률적 제한을 받는 제도로서 인간생활에 불가결한 문화적 요소를 내포한대이정우 외, 21 1). 따라 서 결혼제도는 사회문화여건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근대화와 산업화에 따라 점 차 변화하여 왔다{옥선화· 정민자,

1993)

결흔관이란 결혼과 배우자 선택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을 말한다{김경신·이

선미,

1998)

현대사회의 급속한 도시화 산업화와 더불어 가족의 형태는 점점

다양화되고 많은 변화가 있어 왔으나, 가족을 이루는 근간이 되는 결혼은 여전 히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자연스러운 삶의 과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김혜선 신수아,

2

(0

2).

결혼을 승F는 동기는 성적인 욕구충족, 경제적 안정유지, 정서적 안정유지, 자녀출산의 기회, 성인으로서의 신분획득, 그리고 사회적 기대의 부 합 동이다{이정우 외,

1994)

한국사회에서 결혼은 남성에게 가족으로부터 또 사회로부터 독립된 인격체 로서 합법적으로 인정받고, 여성에게 부모의 통제와 간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으로 받아들여져 왔다(김경신· 이선미,

1998).

즉, 결혼은 한 개인이 지금까지 생 활해 온 가족을 벗어나 자신이 중심이 되는 독립적인 가족을 형성하는 전환점 이며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는 출발점으로 큰 의미를 갖고 있다(김양희·이형실,

이론적 고찰 41

1997).

특히, 인간은 결혼해서 가족을 이루고 살아야 한다는 결혼 규범은 한국

사회에서 자식으로서의 의무요, 인간으로서는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통과의 례로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문소정,

1994)

또한 여성은 결혼을 지위부여 와 지위상승의 중요 통로로 여겨왔기 때문에, 적령기에 달하면 결혼을 당연히 하는 것으로 여겨왔다. 인간은 결혼을 통해 가정이라는 공동체를 형성하여 욕 구와 의무의 균형 속에 각자 책임감 있는 역할을 수행해 가면서 성숙된 인격체 로 완성되며, 또한 사회 구성원을 생산하며 사회화시킨대김혜선·박혜인 옥선 화, 2뼈).

결혼에 대한 인식은 그 사회의 시대적 배경이나 상황 그리고 개인에 따라 나름대로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결혼형태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κwon, 199η. 결혼관도 가족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점차 바뀌어가고 있대김두

헌,

1982).

최근에는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생활능

력이 있고 불편이 없으면 안 해도 괜찮다는 식의 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 태도도 증가하고 있대김경신·이선미,

1998).

결혼에 대한 가치관은 결혼의 의 미뿐 아니라 전통적으로 갖고 있던 결혼에 대한 의식 및 태도에서도 상당한 변 화를 보이고 있다.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모순적 측면으로 나타난 물질만능주의 와 과소비 풍조는 결혼예식의 규모를 점차 커지게 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일반 적인 결혼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현옥·김양희·이경희,

1993).

결혼으로 이루어지는 가정생활은 인간의 복지와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자녀에 대한 기대 와 가치관의 변화는 필연적인 것일 것이대김성혜·김초강,

1991).

결혼이란 어느 관점에서는 결합하는 당사자간에 관련된 문제라고 볼 수 있 으므로 주위 환경요건은 단지 고려의 대상으로 작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 되고, 다른 관점에서는 인간사회의 특수성에 비추어 결혼이 비록 당사자간의 결합으로 새로운 가정을 형성한다 하여도 부모와 형제간의 관계라는 조직사회 의 테두리를 벗어날 수 없다는 상치되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 립되는 의식구조 하에서도 결혼관은 시대의 흐름과 사회의 변천에 따라 변화하 는 것으로써 배우자의 선택방법이나 기준 또한 변화하게 된대김영옥,

1999)

종래의 전통사회에서의 결혼에서는 일차적으로 부모의 의도 하에서 이루어

42

지는 것이 판례였기 때문에 결혼하는 당사자보다 상대방의 집안의 사회적 배경 에 많은 비중을 두어 왔는데 비해 의식구조가 많이 변화된 현대사회에서는 당 사자간의 개인적 배경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경향이다 이러한 상황 하 에서 당사자간의 객관성이 무시되거나 또는 개인적 배경에만 비중이 많이 주어 지는 결혼에 있어서는 특히 여성에 있어서 결혼 후 배우자의 가정과의 관계정 립, 구조역학적인 면 등에서 많은 갈등이 표출되기도 한다. 따라서 배우자의 선 택이나 결혼관에 있어서 결혼을 향한 개인적, 심리적 욕구가 다양하고 또한 시 대나 사회적 배경 그리고 성장해 온 가정의 인습 등 제반여건에 따라 많은 의 식의 차이를 보일 수 있대김영옥,

1999).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여성은 남성의 경제적 조건에 그리고 남성은 여성의 비경제적 조건에 더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결혼을 통한 여 성의 지위상승 욕구와 남성에 대한 여성의 예속화를 알 수 있대김경신 이선

미,

1998)

구체적으로 한국의 대학생과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배우자 기준을 조

사한 결과(김혜선·김영희,

1984;

박진숙,

1984;

홍준숙,

1987),

대체로 남녀 모두 성격과 건강을 최우선 순위로 삼고 있으며, 남자의 경우는 외모를 그 다음 순 위로 꼽고 있는 반면, 여자의 경우는 학벌이나 직업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경신·이선미,

1998).

여성은 자신보다 3-5세 정도 연령이 많고, 학력 수준이 높은, 그리고 경제력이 높은 가문의 배우자를 원하는 경향을 보였대강

은숙

1981;

홍준숙,

1987;

송재희

1988).4)

결혼 시 상대방의 선택조건으로 가정

배경, 외모, 건강, 공통의 관심도, 행동의 기준, 경제력 등의 동질적 요인 및 이 질적 요인 등이 조건의 대상으로 작용한다고 제시되기도 한대김영옥,

1999)

여성의 입장에서 배우자의 개인적 조건으로 학력이나 직업이 외모나 출신지 역 또는 종교보다 중요시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대김영옥,

1999)

결혼 후 가 정의 경제적 안정은 필수적이지만 배우자의 직업이 단순히 수입 변에서만 중요 한 것이 아니고 안정성과 장래성이 있고, 또한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는 직장 또는 직종인가에 더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그 사회적 인정이나 장래성의 보장 4) 여대생의 결혼관에 대한 한 조사 결과, 배우자와의 연령 차이에 있어서는 55% 정도의 학생들이

여전히 3-4세 차이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김영옥, 1999).

이론적 고찰

43

을 위해서는 학별도 제외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보 일 수 있다고 한다

결혼관에서 볼 수 있는 남녀의 성차별적 이데올로기를 결혼이데올로기라 한 다. 여성은 결혼을 통해 가정이라는 제한된 영역 속에서 남성에게 경제적, 정서 적, 성적인 종속적 삶을 살기 쉬운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혼의 불평등성에 좌 절되기보다 오히려 많은 미혼여성에게 자신의 구원처는 결혼이며, 기혼여성도 결혼생활에서 이타적, 헌신적 삶을 사는 것이 행복한 여성의 길이라고 믿게 된 다. 이러한 성차별 이데올로기는 두 성의 공존의 삶을 보장해야 할 결혼에까지 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처럼 결혼관에 나타난 남녀의 성차별적 이데올로 기를 결혼이데올로기라 한다. 여성은 자신에게 보다는 남편에게 경제적, 사회 적, 정서센 성적 의존을 함으로써 남편의 성공을 통한 대리만족, 대라보다는 결혼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되고, 신데렐라omplex, 성 complex, 착한여자complex,

등 여러 성차별적 ∞mplex에 얽매이게 되었대김경신·이선미,

1998).

결혼에 대해 어떠한 가치를 두고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가는 결혼을 언제 하 는가와 관련이 있대최새은·옥선화,

2

(0

3).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사람일수록 결혼에 대해 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하며(Le빼aeghe

and

Sm때1,

1988),

결혼이 중요하지 않다는 태도를 가진 경우에 결혼이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 eachman, Polonko, and

Lei따 198끼. 남자가 여자보다 결혼하기를 더 꺼려하는 부정적인 결혼관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가 있고, 국내에서는 남자가 결혼을 중 요시하고, 결혼생활 유지에 중점을 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김혜선, 이정읍,

2

(0

3).

여성은 긍정적인 결혼관을 가질수록 결혼에 대한 규범을 강하게 인식할수록 초혼연령 이 빨랐다{Simon 뻐dM없'cusseκ

1999).

Simon과 Marcussen은 결혼을 바 람직하고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 영속성에 대해 신뢰하는 사람일수록 결 혼을 덜 스트레스적인 사건으로 지각한다고 하였던 것과 같이, 결혼에 대해 긍 정적인 태도를 가진 여성일수록 결혼전이가 수월하게 이뤄지고 초혼연령이 빠 른 경향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최새은·옥선화,

2

(0

3).

그리고 결혼에 대한 규범을 강하게 인식한다는 것은 결혼에 대해 정상이라고 여겨지는 것이 있으

44

며, 이것을 어길 경우 명시적, 암시적으로 끊임없는 압력을 받는 것을 의미하므

며, 이것을 어길 경우 명시적, 암시적으로 끊임없는 압력을 받는 것을 의미하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