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만약 대상영역

의 원소 중 가 참이 되도록 하는 가 단 하나만 존재하면, 이것을 기호로

∃ ∈

 

로 나타내고, ‘

의 원소 중 를 만족시키는 것은 유일하다’라고 말한다. [‘유일하게 존재한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명제 ∃ ∈

 를 증명하려면 두 명제 (ⅰ) 를 만족시키는 가

에 존재한다,

(ⅱ) ‘와 가

의 원소이고 와 가 모두 참’이면   이다 를 모두 증명하면 된다.

보기

1.1.10 일차방정식     의 해가 실수 범위에서 유일하게 존재함을 증명해보자. 명제함수 를

 ≡‘    ’이라고 정의하자. 이제 ∃ ∈ℝ  를 증명해야 한다.

(ⅰ)   는 실수이며 가 참이 되도록 하는 원소이다.

(ⅱ) 와 가 실수이고 와 가 참이라고 가정하자. 즉     과     이 성립한다고 가 정하자. 그러면       이다. 양변에서 를 빼면 등식의 성질에 의하여   이고, 다시 양변 을 로 나누면 등식의 성질에 의하여   를 얻는다.

따라서 (ⅰ)과 (ⅱ)에 의하여 ∃ ∈ℝ  가 증명되었다. □

1.2 집합의 연산

수학에서 다루는 대상은 대부분 모임(class)의 형태이다. 실수의 모임, 함수의 모임, 정의역, 공역 등은 모두 수학 에서 다루는 모임이다. 수학적 개체 가 모임

원소인 것을 ∈

로 나타내고 ‘가

에 속한다’ 또는

가 를 원소로 가진다’라고 읽는다. 반면에 만약 개체 가

에 속하지 않으면  ∉

로 나타낸다.

모임 중에서 다른 모임의 원소가 될 수 있는 것을 집합(set)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다루는 수의 집합 이나 벡터 공간은 모두 집합이다. 또한 유한 개의 집합을 이용하여 만든 모임도 집합이다. [집합이 아닌 모임의 예를 보고 싶은 사람은 러셀의 역리(Russell’s paradox)를 찾아보기 바란다.]

두 집합

에 대하여 ∈

⇒ ∈

일 때

부분집합이라고 부르고

로 나타낸다.

이면서

이면

서로 같은 집합 또는 동치인 집합이라고 부르고

로 나타낸다.

이면서

이면

진부분집합이라고 부른다. 집합

의 부분집합들을 모두 모은 집합을

멱집합(power set)이라고 부르며 ℘ 

로 나타낸다.

집합

의 부분집합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들 세 연산은 이항연산이다.]

합집합 :

≔ ∈

 ∈

∨ ∈

교집합 :

≔ ∈

 ∈

∧ ∈

차집합 :

≔ ∈

 ∈

∧  ∉

위와 같이 기준이 되는 대상영역

안에서 집합의 연산을 생각할 때 집합

전체집합이라고 부른다. 전체 집합

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여집합을

≔ ∈

  ∉

로 정의한다. [여집합은 일항연산이다.]

두 집합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드모르간의 법칙이 성립한다.

, 

이번에는 집합을 모은 집합을 생각해보자. 세 집합

,

,

과 집합

   에 대하여, 집합



  ∈

 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집합들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집합족이라고 부른다. 특히 위 예에서처럼 첨수가 붙 은 집합들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첨수족이라고 부른다. 이때 를 첨수,

첨수집합이라고 부른다.

유한 개의 집합

,

,

,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합집합 :

  

∪ ⋯ ∪

교집합 :

  

∩ ⋯ ∩

더욱 일반적으로, 집합족

 ∈

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가 무한집합일 때에도 정의된다.]

합집합 : ∪

 ∈ 

∈

∃∈

 ∈

교집합 : ∩

 ∈ 

∈

∀∈

 ∈

보기

1.2.1 ℝ가 전체집합이라고 하자. 그리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라고 하자. 그러면

∈ ℕ

 ℝ, ∈ ℕ

   

이다. 이것을 증명해보자. 먼저 ∈ℝ라고 하자. 그러면   인 자연수 가 존재한다. 따라서 ∈

이다.

즉 ∃∈ℕ  ∈

이므로 ∈

∈ ℕ

이다. 따라서 ℝ ⊆

∈ ℕ

이다. 한편 대상영역이 ℝ이므로

∈ ℕ

⊆ ℝ 이다. 그러므로

∈ ℕ

 ℝ이다.

다음으로 ∈   이라고 하자.  ≤ 일 때 ∈    ⊆    이므로 ∀∈ℕ  ∈

이다. 즉

   ⊆∈ ℕ

이다. 한편 ∈

∈ ℕ

이면 ∀∈ℕ  ∈

이므로 ∈

   이다. 즉

∈ ℕ

⊆   

이다. 그러므로

∈ ℕ

   이다. □

19

다음으로 드모르간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

을 얻는다. □

두 집합

데카르트 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는 ‘ ’라고 읽는다.]

×

≔     ∈

∧ ∈

 같은 방법으로 집합

,

, ⋯,

의 데카르트 곱을

×

×⋯×

  ⋯   ∀  

로 정의한다. 이것을 간단하게

  

×

×⋯×

으로 나타낸다. 특히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times 

×

×⋯×

보기

1.2.4   일 때 ℝ

 ℝ는   꼴의 순서쌍의 모임이다. 즉 ℝ는 중학교에서 배운 좌표평면

이다. 또한 ℝ는 좌표공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