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4 실함수의 극한

4.4 무한대 극한

수열의 극한과 마찬가지로 함수의 극한에서도 가 무한히 커질 때  가

에 가까워지는 극한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한 점에서의 극한이나 무한대에서의 극한이 발산하는 경우도 정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좌극한과 우극한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도 정의할 수 있다.

이 절에서는 무한대가 포함된 여러 가지 극한을 살펴보자.

정의 4.4.1 양의 무한대에서의 극한

함수  

→ ℝ의 정의역

가 위로 유계가 아닐 때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ⅰ)

이 실수라고 하자. 만약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실수

가 존재하여  

인 임의의 ∈

에 대하여   

  이 성립하면 ‘ 는 양의 무한대에서

에 수렴한다’라고 말한다.

(ⅱ)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실수

가 존재하여  

, ∈

일 때마다   

가 성립하면

‘ 는 양의 무한대에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말한다.

(ⅲ)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실수

가 존재하여  

, ∈

일 때마다   

가 성립하면

‘ 는 양의 무한대에서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말한다.

위 정의의 극한을 기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ⅰ)

lim

 →  ∞

  

(ⅱ)

lim

 →  ∞

    ∞ (ⅲ)

lim

 →  ∞

   ∞

또한 위 극한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ⅰ)  →  ∞일 때   →

이다.

(ⅱ)  →  ∞일 때   →  ∞이다.

(ⅲ)  →  ∞일 때   →  ∞이다.

음의 무한대에서 수렴하거나 발산하는 경우도 비슷하게 정의한다.

정의 4.4.2 음의 무한대에서의 극한

함수  

→ ℝ의 정의역

가 아래로 유계가 아닐 때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ⅰ)

이 실수라고 하자. 만약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실수

가 존재하여  

인 임의의 ∈

에 대하여   

  이 성립하면 ‘ 는 음의 무한대에서

에 수렴한다’라고 말한다.

(ⅱ)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실수

가 존재하여  

, ∈

일 때마다   

가 성립하면

‘ 는 음의 무한대에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말한다.

(ⅲ)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실수

가 존재하여  

, ∈

일 때마다   

가 성립하면

‘ 는 음의 무한대에서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라고 말한다.

음의 무한대에서 수렴하거나 발산하는 극한을 기호로 나타낼 때에는 양의 무한대에서 수렴하거나 발산하는 극 한의 표기에서  →  ∞를  →  ∞로 바꾸면 된다.

121

무한대 극한은 점에서 실수에 수렴하는 극한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정리 4.4.6 함수의 극한의 수열 판정법

함수  의 정의역이

라고 하자.  → 일 때   →

일 필요충분조건은  → , ≠ 이면서 모든 항이

에 속하는 임의의 수열

에 대하여 

이 성립하는 것이다. 여기서 ,

은 각 각 실수이거나 양의 무한대이거나 음의 무한대이다. 좌극한과 우극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확장실수계 ℝ ≔ ℝ∪ ∞ ∞에서의 사칙계산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ⅰ) ∈ℝ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  일 때 ⋅∞  ∞⋅ ≔  ∞, ⋅  ∞    ∞ ⋅ ≔ ∞.

(ⅳ) ⋅∞  ∞⋅  ⋅  ∞    ∞ ⋅ ≔ .

단, ∞  ∞는 정의되지 않는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정리를 얻는다.

정리 4.4.7 함수의 극한과 사칙계산의 관계

 → 일 때   →

,   →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ⅰ)  → 일 때      →

(단,

이 정의될 때)

(ⅱ)  → 일 때    →



(단,



이 ± ∞⋅ 꼴이 아닐 때)

여기서 ,

,

은 각각 실수이거나 양의 무한대이거나 음의 무한대이다. 좌극한과 우극한에 대해서도 마 찬가지로 성립한다.

점에서의 극한과 마찬가지로 무한대 극한도 부등호와 관련된 성질들을 가지고 있다.

정리 4.4.8 함수의 극한과 부등호의 관게

 → 일 때   →

,   →

이고 임의의 에 대하여   ≤  이면

이다. 여기 서 ,

,

은 각각 실수이거나 양의 무한대이거나 음의 무한대이다. 좌극한과 우극한에 대해서도 마찬가 지로 성립한다.

정리 4.4.9 조임 정리

함수  , , 의 정의역이

이고 임의의 ∈

에 대하여   ≤   ≤ 가 성립한다고 하자. 만 약  → 일 때   →

,  →

이면   →

이다. 여기서

은 실수이고 는 실수이거나 양의 무한대이거나 음의 무한대이다. 좌극한과 우극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정리 4.4.10 단조수렴

함수  가 단조이고 유계이면  → ∞ 또는  →  ∞일 때  는 실수에 수렴한다.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