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

∈

∈

 ∅

을 얻는다. □

두 집합

데카르트 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는 ‘ ’라고 읽는다.]

×

≔     ∈

∧ ∈

 같은 방법으로 집합

,

, ⋯,

의 데카르트 곱을

×

×⋯×

  ⋯   ∀  

로 정의한다. 이것을 간단하게

  

×

×⋯×

으로 나타낸다. 특히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times 

×

×⋯×

보기

1.2.4   일 때 ℝ

 ℝ는   꼴의 순서쌍의 모임이다. 즉 ℝ는 중학교에서 배운 좌표평면

이다. 또한 ℝ는 좌표공간이다. □

1.3 관계와 분할

집합

가 모든 자연수의 모임이고,

가 모든 실수의 모임이라고 하자. 그리고

 ∈

×

   

이라고 하자. 그러면 가 의 제곱이 될 때에만  ∈

가 성립한다. 즉  ∈

라는 것은 두 원소  와  사이에 ‘는 의 제곱이다’라는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두 원소의 관계를 순서쌍들의 집 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두 집합

,

에 대하여

×

의 부분집합

로부터

로의 관계(relation)라고 부른다. 보통  ∈

또는 

로 나타내며 ‘와 는

의 관계가 있다’라고 읽는다. [간단히 ‘a R b’라고 읽기도 한다.]

보기

1.3.1 

  ∈ℕ × ℕ   ≤ 라고 하자. 그러면

는 ℕ으로부터 ℕ으로의 관계이다. □

로부터

로의 관계가 항상 특정한 규칙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

의 임의의 부분집합은

로부터

로 의 관계가 된다. [사실 ‘규칙’의 뜻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일은 쉽지 않다.]

21

1.3 관계와 분할 보기

1.3.2 

    ,

   라고 하자. 그리고

            

라고 하자. 그러면

로부터

로의 관계이다. 이때

  ∈

×

   

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

로부터

로의 관계인 것을

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때

공역(codomain)이라고 부 른다. 또한

로부터

로의 관계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의역(domain) : dom

≔ ∈

 ∃∈

  ∈

치역(range) : ran

≔ im

≔ ∈

 ∃∈

   ∈

로부터

로의 관계일 때,

역관계(inverse relation)

 ≔  ∈

×

  ∈

로 정의한다. 이때

 

로부터

로의 관계가 된다. 또한

의 정의역은

 의 치역이 되며,

의 치역 은

 의 정의역이 된다. [ 는 ‘R inverse’라고 읽는다.]

세 집합

,

,

와 두 관계

,

에 대하여

합성관계(composition)

≔     ∃∈

   ∈

∧   ∈

 로 정의한다. 이때

로부터

로의 관계가 된다. [ ∘는 ‘S 합성 R’라고 읽는다.]

보기

1.3.3 

  ∈ℕ × ℕ   ≤ 의 역관계는

   ∈ℕ × ℕ   ≤ 이다. □

보기

1.3.4 

    ,

   라고 하자. 그리고

            

라고 하자. 이때

의 역관계는

             

이다. □

보기

1.3.5 세 집합 

,

,

를 각각

 ℝ,

 ∈ℝ   ≥ ,

 ∈ℝ   ≥ 

이라고 정의하자. 그리고 두 관계

,

를 각각

 ∈

×

   

,

  ∈

×

     

이라고 정의하자. 이때 합성관계

를 구해보자. 위 식에서 문자를 바꾸어 쓰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합성관계의 정의에 의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마지막 식은 와 관계 없으므로 존재기호를 없애도 된다. 즉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 된다. 문자를 바꾸어 쓰면

 ∈

×

    

이라고 쓸 수 있다. 이를 통해 합성관계는 고등학교에서 배웠던 합성함수와 비슷한 개념임을 알 수 있다. □

로부터

로의 관계일 때, 이것을 간단히 ‘

에서의 관계이다’라고 말한다.

가 집합이고

에서의 관계일 때,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가 반사적(reflexive)이라는 것은 ∀∈

 

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가 대칭적(symmetric)이라는 것은 

 ⇔ 

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가 추이적(transitive)이라는 것은 

 ∧ 

 ⇒ 

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 반사적이고 대칭적이며 추이적인 관계를 동치관계(equivalent relation)라고 부른다.

보기

1.3.6 ℝ에서의 관계 

   ∈ℝ × ℝ    는 동치관계이다. 왜냐하면

∙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  이다,

∙   일 필요충분조건은   인 것이다,

∙   이고    이면    이다

가 모두 성립하기 때문이다. 즉 ‘두 원소가 서로 같다’라는 관계는 동치관계이다. □

보기

1.3.7

공집합이 아닌 집합

에 대하여    ∈

×

   는

에서의 가장 작은 동치 관계이다. 이 관계를

에서의 대각관계(diagonal relation)라고 부른다. 한편

×

는 그 자체로

에서의 동치

관계이며,

에서 가장 큰 동치관계이다. □

보기

1.3.8 복소수 집합 ℂ에서의 관계 

   ∈ℂ × ℂ     는 동치관계이다. □

보기

1.3.9 정수 집합 ℤ에서의 관계 

 ∈

⇔ (를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로 정의하자. 이때

는 ℤ에서의 동치관계가 된다. 여기서 을 이 아닌 다른 정수로 바꾸어도

는 동치관

계가 된다. □

23

1.3 관계와 분할

집합

에서의 관계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반대칭적(antisymmetric)이라는 것은 

 ∧ 

 ⇒   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 반사적이고 추이적이며 반대칭적인 관계를 순서관계(order relation)라고 부른다.

보기

1.3.10 우리가 부등호로 나타내는 대소 관계 ≤는 ℝ에서의 순서관계이다. 왜냐하면

∙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 ≤ 이다,

∙  ≤ 이고  ≤  이면  ≤  이다,

∙  ≤ 이고  ≤ 이면   이다

가 모두 성립하기 때문이다. □

에서의 동치관계일 때 ∈

의 동치류(equivalence class)

≔ ∈

   ∈

로 정의한다. 즉 의 동치류란

에 의해 와 관계가 있는 원소들을 모두 모은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의 동치류를  또는

로 나타내기도 한다.

에서의 동치관계

에 의한 동치류들을 모두 모은 집합을

에 의 한

상집합(quotient set)이라고 부르며

로 나타낸다.

보기

1.3.11 정수 집합 ℤ에서의 관계 

 ∈

⇔ (를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로 정의하자. 이때 의 동치류는 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인 정수들의 모임이므로

 ⋯        ⋯

이다. 마찬가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때

에 의한 ℤ의 상집합은

ℤ

  

이다. □

위 보기에서 ℤ

의 세 원소 , , 는 모두 공집합이 아니고 서로소이다. 또한 이 세 집합을 합집 합하면 ℤ가 된다. 이러한 집합을 분할이라고 부른다.

즉 집합

의 부분집합들의 모임

가 두 조건

의 원소들은 공집합이 아니고 쌍마다 서로소이다,

의 모든 원소의 합집합은

가 된다

를 모두 만족시키면

분할(partition)이라고 부른다.

정의에 의하면

에서의 동치관계

에 대하여 상집합

의 분할이 된다. 즉 집합

에 하나의 동치관 계가 주어질 때마다 그에 따른 분할이 존재한다.

역으로 집합

의 분할

가 주어질 때마다 그에 따른 동치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에서의 관계

 ⇔ ∃∈

 ∈ ∧ ∈

로 정의하면

에서의 동치관계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