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4 실함수의 극한

4.3 연속함수

4.3 연속함수

고등학교에서는 함수  가 에서 연속인 것을 에서  의 극한이  에 수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만으로는 일반적인 함수의 연속성을 논하기 어렵다. 이 절에서는 함수의 연속성을 논리적으로 정의 하고 연속함수의 성질을 살펴본다.

정의 4.3.1 함수의 연속

함수  

→ ℝ와 정의역의 점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양수 가 존재하 여  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하면 ‘ 는 에서 연속이다(continuous at a)’라고 말한다.

이고 임의의 ∈

에서  가 연속이면 ‘ 는

에서 연속이다(continuous on E)’라고 말한다.

가 정의역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면  를 연속함수(continuous function)라고 부른다.

고등학교 과정에서처럼 극한을 이용하여 점 에서  의 연속성을 정의하면 가  의 정의역의 집적점일 때에만 정의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정의는 가  의 정의역의 집적점이 아닐 때에도 정의된다.

정리 4.3.2 연속성과 극한의 관계

함수  

→ ℝ와 정의역의 점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 가 에서 연속일 필요충분조건은 가

의 집적점이 아니거나, 가

의 집적점인 경우 에서  의 극한이  에 수렴하는 것이다.

증명

[⇒] 명제  →  ∨ 가 참임을 증명할 때에는 ‘가 참이지만 는 거짓이라고 가정하면 결국 가 참이 된다’를 증명하면 된다.  가 에서 연속이고 가

의 집적점이라고 하자. 그리고 양수 이 임의 로 주어졌다고 하자. 연속의 정의에 의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    일 때       이 성립한다. 이때       이면     이므로 당연히  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는 에서  에 수렴한다.

[⇐] 먼저 가

의 집적점이 아닌 경우를 증명하자.

의 집적점이 아니므로

′∩

 ∅인 양수 가 존재한다. 즉

∩

 이다. 따라서 임의의 양수 과   에 대하여     ,

∈

인 점은    뿐이므로 당연히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이번에는 가

의 집적점이고 에서  가  에 수렴하는 경우를 증명하자.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 다고 하자. 그러면 양수 가 존재하여  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한다. 여기서

    라고 하면  ≠ 일 때에는       이므로       이고,   일 때에는 자명하게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는 에서 연속이다. ■

참고

4.3.3

∈

이면서  ∉

′일 때 를

의 고립점(isolated point)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위 정리는 다음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함수  

→ ℝ와 정의역의 점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 가 에서 연속일 필요충분조건은 가

의 고립점이거나, 가

의 집적점인 경우 에서  의 극한이  에 수렴하는 것이다.

함수의 연속성은 열린집합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정리 4.3.4 열린집합을 이용한 연속함수의 정의

함수  

→ ℝ가 연속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은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 

가

에서의 열 린집합인 것이다. [위상수학에서는 이것이 연속함수의 정의이다.]

증명

[⇒]  가

에서 연속이라고 하자. 그리고

가 열린집합이라고 하자.

≔ 

라고 하자. 만약

가 공집합이면 정리의 결론을 얻는다. 따라서

가 공집합이 아니고 점 를 원소로 가진다고 하자. 그리 고  ≔  라고 하자. 그러면 ∈

이다.

가 열린집합이므로

 ⊆

인 양수 이 존재한다.  가 에서 연속이므로 양수 가 존재하여  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한다.

이것은

∩

⊆  

를 의미하므로  

는 열린집합이다.

[⇐]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 

가

에서의 열린집합이라고 하자. 그리고 ∈

라고 하자.

만약 가

의 고립점이면 정리 4.3.2에 의하여  는 에서 연속이다. 이제 가

의 집적점이라고 하 자. 그리고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는 열린집합이므로  

 는

에서의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

⊆  

 인 양수 가 존재한다. 즉  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는 에서 연속이다. ■

정리 4.3.5 합성함수의 연속성

함수  

와  

가 연속이면 합성함수  ∘  

도 연속이다.

증명 

가 열린집합이라고 하자. 가 연속함수이므로 정리 4.3.4에 의하여  

는

에서의 열린집합이 다.  가 연속함수이므로 정리 4.3.4에 의하여  

 

에서의 열린집합이다. 즉 임의의 열린 집합

에 대하여  ∘   

   

 

가 열린집합이므로 정리 4.3.4에 의하여  ∘  는 연

속함수이다. ■

다른 방법의 증명

의 원소 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고    라고 하자. 그리고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 다고 하자. 가 에서 연속이므로 양수 이 존재하여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 한다.  가 에서 연속이므로 양수 가 존재하여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동일한 에 대하여     일 때마다                이 성립하

므로  ∘  는 에서 연속이다. ■

정리 4.3.6 사칙계산으로 만들어진 함수의 연속성

두 함수  

→ ℝ와  

→ ℝ가 ∈

에서 연속이면   , 도 에서 연속이다. 더욱이 만 약   ≠ 이면 는 에서 연속이다.

증명

만약 가

의 고립점이면   , , 는 에서 연속이다. 가

의 집적점이면 극한의 성질에 의 하여  → 일 때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와 는 에 서 연속이다. 또한   ≠ 이면  → 일 때    →   이므로 도 에서 연속

이다. ■

115

4.3 연속함수

극한을 좌극한과 우극한으로 구분한 것처럼 연속성도 좌연속과 우연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의 4.3.7 한방향 연속

함수  

→ ℝ와 정의역의 점 가 주어졌다고 하자.

(ⅰ)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   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하면 ‘ 는 에서 좌연속(left continuous)이다’라고 말한다.

(ⅱ)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   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하면 ‘ 는 에서 우연속(right continuous)이다’라고 말한다.

보기

4.3.8

열린구간

  에 대하여 특성함수   ℝ → ℝ는 에서 좌연속이지만 우연속이 아니 고, 에서 좌연속이 아니지만 우연속이다. 한편 특성함수   ℝ → ℝ는 어떤 점에서도 좌연속이 아니며

우연속도 아니다. □

보기

4.3.9 실수 에 대하여

최대정수함수를   ≔ max∈ℤ   ≤ 로 정의한다. 가 정수일 때 최 대정수함수는 에서 불연속이지만 우연속이다. 그러나 에서 좌연속은 아니다. 한편 최대정수함수는 정수가 아

닌 모든 점에서 연속이다. [최대정수함수는 ‘가우스 함수’라고도 불린다.]

좌연속과 우연속은 연속의 정의에서 조건     를 변형하여 얻어진 것이다. 마찬가지로 연속의 정의에서

      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은 정의를 얻을 수 있다.

정의 4.3.10 상반 ․ 하반연속

함수  

→ ℝ와 정의역의 점 가 주어졌다고 하자.

(ⅰ)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    , ∈

일 때마다   ≤    이 성립 하면 ‘ 는 에서 상반연속(upper semi-continuous)이다’라고 말한다.

(ⅱ)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    , ∈

일 때마다     ≤  가 성립 하면 ‘ 는 에서 하반연속(lower semi-continuous)이다’라고 말한다.

보기

4.3.11 함수 

    ℝ → ℝ는 에서 하반연속이지만 상반연속은 아니다. □

보기

4.3.12 최대정수함수는 정수인 점에서 상반연속이지만 하반연속은 아니다. 정수가 아닌 점에서는 상반

연속인 동시에 하반연속이다. □

다음은 한방향 연속과 상반 ․ 하반연속의 정의에 의하여 자명하게 성립한다.

정리 4.3.13 연속성 개념들의 관계

함수  

→ ℝ와 정의역의 점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다음 세 명제는 동치이다.

(ⅰ)  는 에서 연속이다.

(ⅱ)  는 에서 좌연속인 동시에 우연속이다.

(ⅲ)  는 에서 상반연속인 동시에 하반연속이다.

지금부터는 닫힌집합 위에서의 연속함수의 성질을 살펴보자.

정리 4.3.14 콤팩트집합 위에서 연속함수의 성질

함수  

→ ℝ가 연속이고

가 콤팩트집합이면  

도 콤팩트집합이다.

증명 

 ∈

 

가  

의 열린덮개라고 하자. 그러면

 

  ∈

 

의 덮개가 된다. 또한 각 에 대하여

  

인 열린집합

가 존재한다. 이때

 ∈

 

의 열린덮개 가 된다.

가 콤팩트집합이므로 유한 개의 열린집합

,

, ⋯,

이 존재하여

  

를 만족시킨다. 이때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은  

를 덮는

 ∈

 

의 유한부분덮개이다. 따라서  

는 콤

팩트집합이다. ■

정리 4.3.15 연속함수의 최대 ․ 최소

함수  

→ ℝ가 연속이고

가 콤팩트집합이며 공집합이 아니면  는

에서 유계이다. 더욱이  는

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진다.

증명

 

는 콤팩트집합이므로 유계이다. 따라서 상한과 하한을 가진다.  

의 상한을

, 하한을

라고 하자.  

는 닫힌집합이므로  

의 상한과 하한은  

에 속한다. 즉

 max 

 ∈ 

,

 min 

∈ 

가 성립한다. 따라서 적당한 두 점 , 가 존재하여

  

 max 

,   

 min 

를 만족시킨다. ■

참고

4.3.16 일반적으로 정리 4.3.15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콤팩트가 아닌 집합 위에서도 연속함수가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두 함수    ∞  → ℝ,   ℝ → ℝ를

  ≔ 

,   ≔ 

으로 정의하면  와 는 모두 연속함수이다.

(ⅰ)  는  에서 유계가 아니지만 콤팩트집합  에서는 유계이고 최댓값 , 최솟값 

을 가진다.

 는 콤팩트집합이 아니지만  는  에서 유계이다. 그러나  에서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갖 지는 않는다.

(ⅱ) 는 ℝ에서 유계가 아니고 최댓값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는 ℝ에서 최솟값을 가진다. 는 콤팩트집합

 에서 유계이고 최댓값 , 최솟값 을 가진다. □

117

4.3 연속함수

정리 4.3.17 연속함수의 사잇값 성질 (사잇값 정리)

함수     → ℝ가 연속이고   ≠  라고 하자. 그러면  와   사이에 있는 임의의

에 대하여   

를 만족시키는 점 가  에 존재한다.

증명

    인 경우를 증명하자.   

  라고 하자. 그리고

≔ ∈      

 라고 하자. 먼저 ∈

이므로

≠ ∅이다. 또한

⊆  이므로

는 유계이다. 따라서  ≔ sup

가 존재한다.   

임을 보이자.

는

의 상한이므로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인 

가 존재한다. 이때

의 정의에 의하여 

이다.

다음으로  는 에서 연속이고

  이므로 양수 가 존재하여     일 때마다

  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  이다. ≔     이라고 하면   ≤ 이므로 

이다. 이때

≤ 

이다.

두 수열

은 모두 에 수렴하고  는 에서 연속이므로

lim

 → ∞

   

lim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정리 4.3.18 역함수의 연속성

함수  

가 일대일대응이고 연속이며

가 콤팩트집합이면  

도 연속함수이다.

증명

 

가 연속함수임을 증명하려면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  

가 열린집합이 된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그런데

가 콤팩트집합이고

  

이므로

도 콤팩트집합이다. 따라서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  

가 열린집합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는 대신 다음 명제를 증명 하면 된다.

“임의의 닫힌집합

에 대하여   

가 닫힌집합이 된다.”

이제 위 명제를 증명하자.

가 ℝ에서의 닫힌집합이라고 하자.  의 정의역이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그런데

는 콤팩트집합이므로  

도 콤팩트집합이다. 즉   

는 닫힌집합이

다. 그러므로  는 연속함수이다. ■

참고

4.3.19 함수   

가 일대일대응이고 연속일지라도

가 콤팩트집합이 아니면  는 연속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참고

4.3.19 함수   

가 일대일대응이고 연속일지라도

가 콤팩트집합이 아니면  는 연속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