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6.2 리만 적분의 성질

이 절에서는 사칙계산, 부등호, 함수의 합성과 관련된 리만 적분의 성질을 살펴보자.

정리 6.2.1 적분의 선형성 1

함수  가  에서 적분 가능하고 가 실수이면  는  에서 적분 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증명

  인 경우  는 상수함수가 되어 당연히 적분 가능하다.

  인 경우를 증명하자.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가  에서 적분 가능하므로  

의 분할

  ⋯ 

이 존재하여



 



  

 (2)

을 만족시킨다. 이때 각     ⋯ 에 대하여

sup

      ≤  ≤ 

  sup

       ≤  ≤ 

,

inf

     ≤  ≤ 

  inf

      ≤  ≤ 

이므로 (2)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을 얻는다. 따라서 리만 판정법에 의하여  는  에서 적분 가능하다. 또한

  

 

 inf



 

is a partition of  

 inf



 

is a partition of  

  inf



 

is a partition of  

 

   

 

가 성립한다.

  인 경우도 비슷한 방법으로 증명된다. 생략하지 않을 테니 걱정하지 말기 바란다. 양수 이 임의 로 주어졌다고 하자.  가  에서 적분 가능하므로  의 분할

  ⋯ 

이 존재

하여



 



  

을 만족시킨다.

이때 각     ⋯ 에 대하여

167

이제 적분과 부등호의 관계를 살펴보자.

보조정리

6.2.5 함수  가  에서 적분 가능하고 임의의 ∈  에 대하여   ≥ 이면 다음이 성립

한다.

  ≥ 

증명

구간  의 임의의 분할

  ⋯ 

에 대하여



   

inf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 에서  의 적분은



 이상이므로 정리의 부등식을 얻는다. ■

정리 6.2.6 적분과 부등호의 관계

두 함수  , 가 모두  에서 적분 가능하고 임의의 ∈  에 대하여   ≤ 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증명

함수    가  에서 적분 가능하고 임의의 ∈  에 대하여      ≥ 이므로 보조정리 6.2.5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참고

6.2.7 집합 ℜ  의 두 원소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로 정의하면 ≤는 ℜ  의 순서관계가 된다. 이때

  ≔

 

로 정의된 함수

는 ℜ  로부터 ℝ로의 순서보존사상이 된다. 즉 적분은 순서를 보존하는 선형범함수이

다. □

정리 6.2.8 적분 구간에 대한 가법성

    이고 함수  가  와  에서 적분 가능하면  는  에서 적분 가능하고 다음이 성립 한다.

  

   

 

증명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는  에서 적분 가능하므로  의 분할

가 존재하여



 



  

 (6)

을 만족시킨다.

169

적분 구간에 대한 가법성은 더욱 일반화될 수 있다.

171

6.2 리만 적분의 성질

구간  에서  의 상한을

, 하한을 이라고 하자. 그리고

≔ sup    ≤  ≤

이라고 하자. 만약 ∈

이면

   ≤ 

가 성립한다. 그런데 (8)에 의하여

∈

 ∈

    

 

이므로 ∈

  를 얻는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여기서 은 임의의 양수이므로      

도 얼마든지 작은 양수가 될 수 있다. 따라

서 리만 판정법에 의하여 는  에서 적분 가능하다. ■

따름정리

6.2.13 함수  가  에서 적분 가능하면 도  에서 적분 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 

  

증명

 에서  의 상한을

, 하한을 이라고 하자.    라고 하면 는 

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정리 6.2.12에 의하여    ∘  는  에서 적분 가능하다. 또한 임의의 ∈  에 대하 여    ≤   ≤  이며 이 식의 각 변을 적분하면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  ≤

   ≤

 

이 부등식은 우리가 얻고자 하는 부등식과 동치이다. ■

따름정리

6.2.14 함수  가  에서 적분 가능하고 이 자연수이면 

도  에서 적분 가능하다.

증명

    이라고 하면 는 연속함수이고   ∘ 이다. 따라서 정리 6.2.12에 의하여 도 적분

가능하다. ■

따름정리

6.2.15 두 함수  , 가 모두  에서 적분 가능하면 도  에서 적분 가능하다.

증명

와 가 각각  에서 적분 가능하므로 따름정리 6.2.14에 의하여 과 도  에서 적분 가 능하다. 또한

  

     

이고 정리 6.2.1, 정리 6.2.2, 따름정리 6.2.4, 따름정리 6.2.14에 의하여 우변이 적분 가능하므로 좌변

도 적분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