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및 훈련직종

제 4 장

2.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및 훈련직종

가.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기관 분포를 살펴보면, 45~49세 연령집단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이 49.21%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평생교육시설’이 18.73%, ‘기타’가 17.26%,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이 11.38%순이며, 50~54세 연령집단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이 57.33%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평생교육시설’과 ‘기타’가 각각 15.04%, 15.24%로 나타났다. 또한 55~59세 연령집단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이 39.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기타’가 25.99%, ‘평생교육시설’이 19.51%

이며, 60~64세 연령집단에서는 ‘기타’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 음은 ‘평생교육시설’이었다.

수강지원금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기관 분포는 모든 연령집단에서 ‘직업 능력개발 훈련시설’이 50%를 상회하였으며, 다음은 ‘학원’, 평생교육시설‘순으 로 나타났다.

<표 Ⅳ-12>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분포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1) 직업 능력 개발 훈련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103,587 49.21 56,838 57.33 8,911 39.97 166 5.50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 486 0.23 293 0.30 177 0.79 47 1.56

직업능력개발 단체 - - - -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 4,963 2.36 1,435 1.45 310 1.39 28 0.93 평생교육시설 39,419 18.73 14,910 15.04 4,351 19.51 712 23.61

학원 1,760 0.84 746 0.75 356 1.60 95 3.15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 23,959 11.38 9,809 9.89 2,398 10.75 245 8.12 기타 36,331 17.26 15,113 15.24 5,794 25.99 1,723 57.13 210,505 100.00 99,144 100.00 22,297 100.00 3,016 100.00

<표 계속>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2) 수강지

원금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2,145 59.82 841 58.00 284 54.62 81 59.56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 123 3.43 54 3.72 25 4.81 6 4.41

직업능력개발 단체 - - - -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 60 1.67 19 1.31 8 1.54 5 3.68 평생교육시설 390 10.88 133 9.17 63 12.12 8 5.88 학원 860 23.98 396 27.31 140 26.92 36 26.47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 - - - -

기타 8 0.22 7 0.48 - -

3,586 100.00 1,450 100.00 520 100.00 136 100.00

3) 유급 휴가 훈련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652 74.26 278 63.04 10 17.86 -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 - - - -

직업능력개발 단체 - - - -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 - - - -

평생교육시설 173 19.70 140 31.75 44 78.57 -

학원 - - - -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 - - - -

기타 53 6.04 23 5.22 2 3.57 - 878 100.00 441 100.00 56 100.00 -

4) 실업자 재취직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1,693 66.18 997 65.08 774 59.36 324 52.68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 260 10.16 133 8.68 129 9.89 48 7.80

직업능력개발 단체 - - - -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 64 2.50 64 4.18 150 11.50 157 25.53 평생교육시설 267 10.44 147 9.60 101 7.75 29 4.72 학원 267 10.44 179 11.68 137 10.51 52 8.46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 - - - -

기타 7 0.27 12 0.78 13 1.00 5 0.81 2,558 100.00 1,532 100.00 1,304 100.00 615 100.00

<표 계속>

유급휴가훈련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기관은 60~64세 연령집단에서는 사 례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45~49세 연령집단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이 74.26%, ‘평생교육시설’이 19.705, ‘기타’가 6.04%순으로 나타났고, 50~54 세 연령집단에서도 역시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이 63.0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평생교육시설’이 31.75%, ‘기타’가 5.22%순이었다. 55~59세 연령집단 에서는 ‘평생교육시설’이 78.57%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직업 능력개발 훈련시설’은 17.86%였다.

실업자 재취직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기관 분포를 살펴보면, 45~49세, 5 0~54세 연령집단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학원’, ‘평생교육시설’순이 며, 55~59세, 60~64세 연령집단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고등교육법 에 의한 학교’, ‘학원’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5) 취업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726 71.60 371 67.09 262 64.06 141 62.39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 155 15.29 117 21.16 95 23.23 67 29.65

직업능력개발 단체 - - - -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 33 3.25 17 3.07 15 3.67 5 2.21 평생교육시설 51 5.03 12 2.17 8 1.96 5 2.21 학원 39 3.85 26 4.70 17 4.16 4 1.77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 - - - -

기타 10 0.99 10 1.81 12 2.93 4 1.77 1,014 100.00 553 100.00 409 100.00 226 100.00

6) 정부 위탁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289 51.42 161 43.51 167 37.61 106 25.18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 170 30.25 109 29.46 133 29.95 125 29.69

직업능력개발 단체 - - - -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 102 18.15 100 27.03 143 32.21 190 45.13

평생교육시설 1 0.18 - 1 0.23 -

학원 - - - -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 - - - -

기타 - - - -

562 100.00 370 100.00 444 100.00 421 100.00

<표 계속>

취업에 관한 중고령자의 훈련기관 분포를 살펴보면, 모든 연령집단에서 ‘직 업능력개발 훈련시설’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직업능력개 발 훈련법인’이었다. 또한 정부위탁에 관한 중고령자의 훈련기관은 45~49세 연령집단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이 51.42%로 가장 높았고, ‘직업능력 개발 훈련법인’이 30.25%,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가 18.15%순이며, 50~54 세 연령집단에서도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이 43.5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직업능력 훈련법인’이 29.46%,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가 27.03%순 으로 나타났다. 55~59세 연령집단에서는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이 37.61%,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가 32.21%,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이 29.95%순이었 으며, 60~64세 연령집단에서는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가 45.13%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이 29.69%,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이 25.18%순이었다.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7) 고용 촉진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163 32.73 92 34.46 59 33.71 29 34.12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 4 0.80 3 1.12 - -

직업능력개발 단체 - - - -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 3 0.60 - 1 0.57 - 평생교육시설 56 11.24 30 11.24 30 17.14 10 11.76

학원 261 52.41 136 50.94 84 48.00 45 52.94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 - - - -

기타 11 2.21 6 2.25 1 0.57 1 1.18 498 100.00 267 100.00 175 100.00 85 100.00

8) 자활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67 71.28 55 79.71 14 60.87 13 81.25

직업능력개발 훈련법인 3 3.19 - - 1 6.25

직업능력개발 단체 - - - -

고등교육법에 의한 학교 3 3.19 3 4.35 4 17.39 1 6.25 평생교육시설 10 10.64 4 5.80 4 17.39 1 6.25

학원 9 9.57 5 7.25 1 4.35 -

사업주/사업주단체 등의

시설 - - - -

기타 2 2.13 2 2.90 - -

94 100.00 69 100.00 23 100.00 16 100.00

고용촉진에 관한 중고령자의 훈련기관 분포는 모든 연령집단에서 ‘학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평생교육시설’순이었 다. 도한 자활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기관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직업능력개 발 훈련시설’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평생교육시설’이었다.

나. 직업능력개발 훈련직종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직종을 살펴보면, 45~49세 연령 집단에서는 ‘사무관리분야’가 62.37%로 가장 높고, 다음은 ‘계층별 훈련분야’

가 8.88%, ‘금융․보험분야’가 8.43%순으로 나타났으며, 50~54세 연령집단에 서도 ‘사무관리분야’가 65.0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계층별 훈 련분야’는 7.12%, ‘기계․장비분야’는 6.04%순이었다. 또한 55~59세 연령집단 에서는 ‘사무관리분야’가 59.10%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건설 분야’가 9.95%, ‘계층별 훈련분야’가 7.87%순이며, 60~64세 연령집단에서는

‘건설분야’가 42.74%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사무관리 분야’가 29.51%로 나타 났다.

60세 미만에서는 사무관리 분야의 훈련직종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이 가 장 많이 나타났으며, 60세 이상에서는 건술분야의 훈련직종이 가장 높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

<표 Ⅳ-13> 직업능력개발훈련의 훈련직종분포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1) 직업 능력 개발 훈련

농림,어업,광업분야 559 0.27 233 0.24 94 0.42 6 0.20 섬유분야 14 0.01 28 0.03 23 0.10 -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1,234 0.59 555 0.56 324 1.45 93 3.08 금속분야 1,282 0.61 862 0.87 121 0.54 1 0.03 기계,장비분야 8,907 4.23 5,984 6.04 1,449 6.50 137 4.54 건설분야 6,483 3.08 3,627 3.66 2,219 9.95 1,289 42.74 전기분야 6,372 3.03 3,889 3.92 1,119 5.02 232 7.69 전자분야 2,246 1.07 1,458 1.47 217 0.97 4 0.13 정보통신분야 10,115 4.81 3,455 3.48 519 2.33 33 1.09 운송장비제조 713 0.34 487 0.49 240 1.08 41 1.36 산업응용분야 801 0.38 265 0.27 55 0.25 9 0.30

공예분야 43 0.02 54 0.05 11 0.05 - 서비스분야 2,986 1.42 1,265 1.28 473 2.12 142 4.71 사무관리분야 131,295 62.37 64,520 65.08 13,178 59.10 890 29.51 금융,보험분야 17,744 8.43 4,672 4.71 369 1.65 15 0.50

의료분야 137 0.07 44 0.04 8 0.04 1 0.03 환경분야 890 0.42 687 0.69 124 0.56 13 0.43 계층별 훈련분야 18,684 8.88 7,059 7.12 1,754 7.87 110 3.65 210,505 100.00 99,144 100.00 22,297 100.00 3,016 100.00 주: 세로: 연령, 가로: 훈련직종

<표 계속>

유급휴가훈련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직종은 전반적으로 사례수가 많지 않 았으며, 특히 60~64세 연령집단에서는 유급휴가 훈련사례가 없었다. 45~49 세 연령집단에서는 ‘금융․보험분야’가 64.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 은 ‘사무관리분야’가 21.41%, ‘계층별 훈련분야’가 11.05%순이며, 50~54세 연 령집단에서는 ‘계층별 훈련분야’가 43.76%로 가장 높고, ‘금융․보험분야’가 29.93%, ‘의료분야’가 26.08%순이었다. 또한 55~59세 연령집단에서는 ‘금융․

보험 분야’가 80.36%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은 ‘계층 별 훈련분야’가 16.07%로 나타났다.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2) 유급 휴가 훈련

농림,어업,광업분야 9 1.03 1 0.23 - -

섬유분야 - - - -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 - - -

금속분야 - - - -

기계,장비분야 - - - -

건설분야 3 0.34 - - -

전기분야 - - - -

전자분야 1 0.11 - - -

정보통신분야 - - - -

운송장비제조 6 0.68 - - -

산업응용분야 - - - -

공예분야 - - - -

서비스분야 4 0.46 - - -

사무관리분야 188 21.41 - - -

금융,보험분야 570 64.92 132 29.93 45 80.36 -

의료분야 - 115 26.08 2 3.57 -

환경분야 - - - -

계층별 훈련분야 97 11.05 193 43.76 9 16.07 - 878 100.00 441 100.00 56 100.00 -

<표 계속>

근로자 수강지원금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직종을 살펴보면, 모든 연령집 단에서 ‘사무관리 분야’가 60%이상의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 은 ‘서비스분야’로 조사되었다. 근로자 수강지원금은 대부분 사무관리나 서비 스분야에 집중되고 있는 현실이며,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원 방안이 모색되 어야 할 것이다.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3) 근로자 수강지 원금

농림,어업,광업분야 - - 1 0.19 -

섬유분야 8 0.22 - 2 0.38 -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6 0.17 2 0.14 2 0.38 -

금속분야 - - - -

기계,장비분야 78 2.18 19 1.31 12 2.31 3 2.21 건설분야 13 0.36 1 0.07 1 0.19 - 전기분야 31 0.86 10 0.69 6 1.15 - 전자분야 30 0.84 7 0.48 2 0.38 - 정보통신분야 202 5.63 78 5.38 39 7.50 9 6.62

운송장비제조 - - - -

산업응용분야 72 2.01 34 2.34 6 1.15 5 3.68 공예분야 4 0.11 2 0.14 4 0.77 2 1.47 서비스분야 969 27.02 272 18.76 84 16.15 12 8.82 사무관리분야 2,168 60.46 1,025 70.69 360 69.23 105 77.21

금융,보험분야 - - - -

의료분야 3 0.08 - 1 0.19 -

환경분야 2 0.06 - - -

계층별 훈련분야 - - -

3,586 100.00 1,450 100.00 520 100.00 136 100.00

<표 계속>

실업자재취직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직종은 45~49세 연령집단에서는 ‘서 비스분야’가 32.53%로 가장 높고, 다음은 ‘기계․장비분야’가 17.44%, ‘정보통 신분야’가 13.92% 순이며, 50~54세 연령집단에서는 ‘서비스분야’가 25.33%로 가장 높고, ‘기계․장비분야’가 21.74%, ‘정보통신분야’가 15.21%로 나타났다.

또한 55~59세 연령집단에서는 ‘기계․장비분야’가 26.23%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다음은 ‘정보통신분야’가 24.77%, ‘서비스분야’가 14.26%순이었고, 6 0~64세 연령집단에서는 ‘정보통신분야’가 36.9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기계․장비분야’가 26.67%, ‘사무관리분야’가 10.24%순이었다.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4) 실업자 재취직

농림,어업,광업분야 9 0.35 10 0.65 11 0.84 - 섬유분야 192 7.51 132 8.62 57 4.37 18 2.93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39 1.52 22 1.44 26 1.99 16 2.60 금속분야 2 0.08 1 0.07 1 0.08 1 0.16 기계,장비분야 446 17.44 333 21.74 342 26.23 164 26.67

건설분야 145 5.67 93 6.07 64 4.91 28 4.55 전기분야 35 1.37 28 1.83 21 1.61 12 1.95 전자분야 124 4.85 89 5.81 92 7.06 43 6.99 정보통신분야 356 13.92 233 15.21 323 24.77 227 36.91

운송장비제조 - - - -

산업응용분야 35 1.37 15 0.98 7 0.54 5 0.81 공예분야 27 1.06 6 0.39 3 0.23 2 0.33 서비스분야 832 32.53 388 25.33 186 14.26 36 5.85 사무관리분야 268 10.48 160 10.44 162 12.42 63 10.24 금융,보험분야 22 0.86 11 0.72 5 0.38 -

의료분야 23 0.90 7 0.46 1 0.08 - 환경분야 3 0.12 4 0.26 3 0.23

계층별 훈련분야 - - - -

2,558 100.00 1,532 100.00 1,304 100.00 615 100.00

<표 계속>

취업에 관한 중고령자의 훈련직종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정보통신분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기계․장비분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송장비제조, 금융․보험분야, 환경분야, 계층별 훈련분야에서는 사례가 전 혀 나타나지 않아 이 분야에 대한 취업훈련을 보다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구분 45~49세 50~54세 55~59세 60~64세

N % N % N % N %

5) 취업

농림,어업,광업분야 8 0.79 10 1.81 15 3.67 7 3.10 섬유분야 100 9.86 47 8.50 15 3.67 5 2.21 화학제품 및

요업분야 1 0.10 5 0.90 2 0.49 2 0.88 금속분야 3 0.30 2 0.36 2 0.49 1 0.44 기계,장비분야 150 14.79 95 17.18 69 16.87 33 14.60

건설분야 87 8.58 45 8.14 26 6.36 16 7.08 전기분야 22 2.17 14 2.53 8 1.96 1 0.44 전자분야 75 7.40 52 9.40 63 15.40 33 14.60 정보통신분야 270 26.63 160 28.93 143 34.96 84 37.17

운송장비제조 - - - -

산업응용분야 33 3.25 12 2.17 9 2.20 3 1.33 공예분야 10 0.99 7 1.27 4 0.98 1 0.44 서비스분야 139 13.71 63 11.39 26 6.36 17 7.52 사무관리분야 116 11.44 40 7.23 27 6.60 23 10.18

금융,보험분야 - - - -

의료분야 - 1 0.18 - -

환경분야 - - - -

계층별 훈련분야 - - - -

1,014 100.00 553 100.00 409 100.00 226 100.00

<표 계속>

정부위탁에 대한 중고령자의 훈련직종을 살펴보면, 45~49세 연령집단에서 는 ‘기계․장비분야’가 37.72%로 가장 높았고, ‘정보통신분야’는 22.60%, ‘건설 분야’는 13.88%순이며, 50~54세 연령집단에서는 ‘기계․장비분야’가 41.08%

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정보통신분야’가 19.46%, ‘건설분야’가 12.97%순이었 다. 또한 55~59세 연령집단에서는 ‘기계․장비분야’가 43.0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전기분야’가 20.95%, ‘정보통신분야’가 13.29%순이었으며, 60~64세 연령집단에서도 ‘기계․장비분야’가 46.08%로 가장 높았고 정보통신분야는 14.73%, 전기분야는 14.49%순이었다. 모든 연령집단에서 기계․장비분야에 대한 정부위탁 훈련이 가장 많이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