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속가능한 마을의 공동체성과 공간성

❑ 앞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정의와 핵심요소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마을 에 대한 개념을 정립할 수 있음

❑ 지속가능한 마을이란 현 세대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까지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환 경을 보전하면서 경제발전을 이루고 동시에 사회적 합의와 통합을 이룩할 수 있는 자족적 기능과 역량을 가진 마을(정주단위)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 위와 같은 (다소 추상적인) 정의를 우리나라 마을단위에 적용해서 그 구체적 사례 를 본다면 그것은 특정 지역에 수 백년에 이르는 긴 세월동안 마을공동체적 자족기 능이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세대 간 계승을 통해 외부세계의 변화에 적절히 조응하 는 마을을 지속가능한 마을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임

❑ 전술한 것처럼,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농촌마을의 쇠퇴는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주 양동마을이나 일부 마을 은 마을 본래적 기능을 상실하지 않은 채 옛날의 전통과 공동체적 기능을 유지해오 고 있음.

❑ 마을의 지속가능성이 중요한 이유

∙ 취락으로서의 집락공간을 형성하는 것 못지않게 공동체적 사회관계망이 살아 있는 것을 전제할 때 지속가능성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임

∙ 미래의 국토변화를 감안해 볼 때, 도시-농촌의 기능배분이 이분법적 논리에서 벗어나 혼합 내지 통합적 기능배분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높고 이는 농촌의 마을 단위 모듬살이가 그 원형을 유지하므로 건전한 국토골격의 기초 셀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임

❑ 특히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마을의 지속가능성은 마을이 변화하지 않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변화에 적절히 부응하면서도 마을의 본질적 가치를 지켜나가고 세대 간에 그것을 공유하며 전승해 나간다는 데 있음

2) 지속가능한 마을의 공동체성과 공간성 (1) 기존 연구에서의 마을 지속성 논의

❑ <표 2-1>에서도 볼 수 있지만 마을 관련 연구의 두 갈래, 즉 공동체성과 정주공간 에 관한 연구들 대부분이 따로따로 다루어지거나 함께 다루어진다 하여도 개발과정 에서의 마을 내 공간구성요소의 종류나 배치, 기능 등을 다루고 있음

❑ 특히 개별주거의 집합이라는 지리․물리적 단위로서의 마을 측면에 치중하여 마을을 취락과 동일한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음

❑ 이 경우 사회적 단위로서의 마을과 각 공간구성요소의 정합관계 파악에 제약이 따 를 수밖에 없으며, 또한 인구감소 및 사회경제적 제 변화에 따라 마을의 공동체성 과 취락구조가 재편되는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움. 이런 연유로 그간 마을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도 미흡하였음.

(2) 본 연구에서의 마을의 공동체성과 공간성 개념

❑ 본 연구에서 마을이란 지리적 공간단위 영역과 그 공동체적 내부체계, 기능 단위로 서의 존재양식, 공간요소의 구성과 기능 등을 포괄하는 개념임

❑ 따라서 공동체성은 주민들이 일상의 행동과 인식으로 느끼는 사회적 관계망으로 알 아볼 수 있으며 공간성은 취락구조적 차원을 통해 알 수 있음

∙ 여기에 마을이 갖는 기능성은 주민의 공동체에 대한 인지적 차원과 취락구조적 차원이 서로 교호작용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음(<그림 2-1> 참조)

❑ 마을 개념이 내포하는 두 속성인 공동체성과 공간성은 주민의 인지적 차원, 마을의 기능적 차원, 마을의 취락구조적 차원이 교호작용하면서 발현되는 이미지이자 동 시에 물적 공간양태가 되며 그 각각의 속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들을 보면 아래 와 같음

❑ 주민들의 인지적 차원

∙ 각 정주체계 단위와 공동체적 성격이 발현되는 영역 간의 정합관계를 파악

∙ 공동체적 활동의 내용 및 영역, 공동체로서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 영역

∙ 주민 간 관계망의 종류와 범위, ‘우리 동네’ 인식의 특성과 범위 등 탐구

❑ 마을의 기능적 차원

∙ 마을의 기능은 주민의 인지적 공간활동과 마을 공공공간의 각 요소들이 어우러 져 나타내는 그 무엇이라고 볼 수 있음

∙ 따라서 여기에는 내부 공간요소의 구성과 기능, 그리고 공동 공간요소의 종류, 이용실태, 주민의 인식(마을의 자발성, 자족성, 지속성 발현에 있어서 각 공간 요소의 의미)등을 파악하므로 그 속성을 파악할 수 있음

∙ 또한 각 공간요소가 주민의 정주 욕구에 있어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함의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

❑ 취락구조적 차원: 마을의 규모와 형태

∙ 마을의 형태란 단순한 집촌, 산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을 내 취락의 구성 관계 및 상위 정주단위(행정리, 법정리) 내 마을의 포섭 관계를 지칭함

∙ 따라서 자연부락 - 행정리/법정리 단위에서 그 하위 정주단위의 구성 상태의 유지, 또는 변화 양상을 탐구하므로 마을의 공간성을 구체화할 수 있음

마을의 하위 차원 분석 내용 비고

인지적 차원 마을 주민들의 공동체성 - 주민의 정주단위에 대한 인지적 평가 - 주민의 마을내, 외 사회적 관계망

기능적 차원 주민의 행동공간 및 인지공간의 구조

- 주민의 행동공간 - 주민의 인지공간 - 공동공간 요서 실태 취락구조적 차원 마을의 규모와 형태 - 정주단위의 규모와 구성 형태

- 마을의 정주체계 표 2-1 마을의 공동체성과 공간성의 제 측면

(3) 연구의 틀

❑ 전술한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이상형으로서의 마을 개념을 결합하여 이 연구의 목 적인 미래 국토발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마을에 대한 논리적 틀과 그 논리를 뒷받침 할 연구지표들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그림 2-1>과 같음

그림 2-1 연구의 틀

이상형으로서의 마을

공동체성 공간성

인지적 차원

- 주민의 정주단위에 대한 인지적 평가 - 사회적 관계망

기능적 차원

- 주민 행동공간 - 주민 인지공간 - 공공공간 요소 실태

취락구조적 차원

- 정주단위규모와 구성 - 마을의 정주체계형태

지속가능성 요인

사회적 차원:

세대 간 지속성 경제적 차원:

자족적 역량 환경적 차원:

변화에의 조응

미래 국토발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마을

자료: 저자 작성.

CHAPTER

3

국토공간에서의 마을단위 정책과 해외사례

01 국토정책과 마을관련 정책 37 02 새마을운동과 마을의 변화 56 03 미래 국토트렌드 전망과 마을의 변화 59 04 해외사례 : 일본 마을의 변화와 특성 68

CHAPTER

3 국토공간에서의 마을단위 정책과 해외사례

1. 국토정책과 마을관련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