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이 연구에서는 마을의 지속가능성을 주민의 공동체성과 마을 지리공간성의 두 차원 에서 찾아보고자 하였으나 과연 이 두 차원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마을 이 마을되게 존속하는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데는 미치지 못하였음

❑ 결국 주민의 공동체성은 마을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관계성이 주민 의 삶을 담는 그릇으로서의 마을 외형을 어떻게 만들어 가는가 하는, 즉 사회와 공간의 관계까지 나아가지 못하였다는 것을 말함

❑ 이러한 부족함은 향후 보다 치밀한 연구설계 하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임

참고문헌

REFERENCE

【 인용문헌 】

강동진 외. 2012. 양동마을 방문문화만들기. 경주시.

강동진, 2011, 황금빛 양동마을, 그 풍경 속에 담긴 삶, 아우리.

강상인. 2015. UN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 이행, KEI 포커스 제3권 제1호.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구자인, 2016, 보령시 중간지원조직 설립 및 운영방안, 보령시.

국립기상연구소. 2012. 전지구 기후변화 보고서 2012. 국립기상연구소.

국토관리청. 1999. 과소지역 등의 중심집락 진흥과 집락정비에 관한 조사보고서.

국토교통부. 2015. 미래 국토발전 전략 수립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국토연구원. 2010.6. Grand Vision 국토 2040 김기홍, 2015. 홍동유기농업의 형성과 변천, 충남연구원.

김기홍. 2014. 마을의 재발견: 작은 정치·경제·복지로 더 나은 세상 만들기. 올림.

김동윤·이경록. 2015. ‘새마을운동과의 비교를 통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실천전략 연구’. 한 국지역개발학회지. 27(5): 23-58.

김선직. 2009. 마을만들기의 전략적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72-75.

김성진·박주영. 2013. 주민주도형 관광사업의 사례연구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영주·박남희. 2012.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관점에서 본 일본의 마을만들기 사례 분석. 한국가 정관리학회지. 30(4): 133-146.

김정섭. 2013. 농촌지역사회의 자율성과 협동조합. 농촌사회. 23(2): 173-223

김현수. 2013. ‘공간계획으로서의 마을계획 도입방안’. 건축과 도시공간. 11(Autumn 2013):

18-29.

김현호. 2013.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내무부. 1972. 새마을총람 내무부. 1984. 새마을운동

반영운 외. 2010. 생태적 농촌어메니티 기반 주민주도형 농촌마을종합계획 – 보은군 회인면 부수권역 ‘하얀민들레 생태마을’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6(4): 157-169. 한국농촌 계획학회.

배명순. 2016. 회인면을 가다. 충북 Issue & Trend, 23: 48-51. 충북연구원.

배연정 외. 2013. 농촌마을 정주환경분석을 통한 과소마을 임계규모 결정지표 개발. 농촌계 획. 19(1): 109-122.

변필성 외. 2015. 지방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발전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새마을운동중앙회. 1998. 한국의 새마을운동

서태성. 2002.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연구: 일본의 사례와 시사 점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pp. 15-16.

성주인 외. 2015.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 2014. 농촌지역 한계마을 활성화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발표자 료집.

소진광 외. 2016. 지역개발모델 구축 및 LH 참여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소진광·김선희. 2010. 새마을운동을 통한 마을공간구조 개편 연구. 국토연구원.

안전행정부. 2013. 마을공동체관련 주요 정책 현황 내부자료.

양원식·최수영. 2013.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공동소득사업 성과분석. 농촌계획. 19-1호.

양진영. 2007. 韓國과 日本의 마을만들기 比較分析에 한 硏究,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오정학. 2011. 경주 양동마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8(4): 793-824.

오형은·김정연. 2014. 농촌공간의 재구조화방안. 미래 농촌의 문화: ‘공간’.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윤정미. 2014. 충남 기초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Ⅰ. 충남발전연구원.

이병기·이석주·박윤호. 2009. 농촌 정주기반 실태와 개선과제: 농촌 공동화 문제를 중심으 로.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이선우 외. 2013. 마을공동체 발전사업 성별영향평가. 여성가족부.

이승민. 2015. 일본의 리노베이션 마을만들기 정책과 유휴부동산 활용, 국토, 407(2015.

9): 98-103.

이용우. 김선희 외. 2014. 미래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 연구(III). 국토연구원.

임경수. 2015. 한국형 마을만들기의 전개, 도시계획의 위기와 새로운 도전, pp. 225-266.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보성각.

임상연·변필성. 2014. 일본의 과소지역 정책동향과 시사점 : 작은 거점 만들기와 향토집락생 활권 형성을 중심으로. 국토정책 Brief. 2014. 12. 8, p. 2.

장대익. 2006. 2014. 지식인마을에 가다. 김영사 장원. 2016. 함양 봉전마을의 현황과 발전전략

정근식 외, 2003. 구림연구 마을공동체의 구조와 변동. 호남문화연구총서. 경인문화사 조석주. 2013. 새마을운동 재조명을 통한 마을공동체 활성화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조영재 외, 2014, 농촌마을 과소화․고령화에 대응한 마을재편 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차미숙 외. 2015. 7. 27. 미래 국토발전 전략과 정책과제.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차미숙. 2016. 2. 29. 인구감소시대, 일본의 지방창생전략과 지역공간구조 재편.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최은영 외. 2014. GIS에 기반한 충청남도 농어촌마을의 변화 분석(2005~2010). 충남발전 연구원.

최인수·전대욱. 2014. 강원도 마을공동체 만들기 행재정 지원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최인수·전대욱. 2013. 경계지역 마을만들기 추진모형 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통계청. 2011. 2010 농림어업총조사.

통계청. 2013. 2013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14. 2013년 출생사망통계(잠정) 통계청. 2016a. 2015 농림어업총조사.

통계청. 2016b. 2015 인구주택총조사.

한국은행. 2016.11.8. 고령층 소비현황과 시사점.

한국지역진흥재단. 2016. 마을공동체 관련 공모형 지자체 지원사업의 개선방안. 마을공동체 이슈프리즘. 2: 1-9.

한국지역진흥재단·한국정책분석평가원. 2015. 마을기업 실태조사 및 지원 체계화 방안연구.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2016. 마을기본법(안). 2016년 11월 21일 입법토론회 자료.

행정자치부. 함께 만드는 마을정원, 회망과 행복을 디자인해요: 8개 지자체 국민디자인단 구 성 완료, 마을공동체 정원사업 탄력. 행정자치부 보도자료 2016년 2월 5일.

홍성흡, 2001, 역사마을만들기의 지역정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구림마을의 사례, 호남 문화연구. 28집: 1-18.

Andrew L. Dannenberg 외, 2011, Making Healthy Places: Designing & Building for Health, Well-being, & Sustainability, ISLAND PRESS

Kim, S. & Lee, S.(2007). Community making model initiated by local peopl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Research Report.

Liepins, R., 2000a, New Energies for an old idea: reworking approaches to

‘community’ in contemporary rural studies, Journal of Rural Studies 16, 23~35.

Liepins, R., 2000b, Exploring rurality through ‘community’: discourse, practices and spaces shaping Australian and New Zealand rural ‘communities’, Journal of Rural Studies, 16, 325~341.

Yang, J., Lee, M., & Kim, K.(2007). A comparative study on participatory Maeulmandeulgi(Machizukuri) in Korea and Japan -focused on the Buk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Setagayagu, Tokyo-. Proceeding of 2007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899-909, p. 900.

UN. 2009. MEADURING SUSTAINABLE DEVELOPMENT.

國土交通省 都市局, 2014.8, 健康·醫療·福祉 마을만들기 推進가이드라인(기술적 조언) 國土交通省, 2014.7, 国土のグラソドデザイソ2050.

大野晃, 1991, “山村の高齢化と限界集落”,経済 7: 55-71.

長谷川昭彦, 2000, “農村コミュニティの現狀,” 建築雜誌, 115(1461): 30-33

財團法人農村開發企劃委員會, 2007, 集落連合: “强い”農村コミュニテイ形成のために, 農林水山省農村振興局企劃部農村政策課農村整備總合調整室.

中條曉仁, 2003, 過疎山村における高齡者の生活維持メカニズム, 地理學評論 76(13):

979-1000.

[법령정보]

일본 「과소지역자립촉진특별법조치법(過疎地域自立促進特別措置法, 2000)」

일본 카네야 도시 거리 경관 조례

[인터넷 자료]

교토 생명마을 홈페이지 http://kyotomura.jp/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http://theme.archives.go.kr/next/semaul/viewMain.do#body 농산어촌지역개발 공간정보시스템 www.raise.go.kr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홈페이지 www.city.go.kr

동아일보 2012월 11월 22일 기사 ‘주민이 지역발전 주체’

(http://news.donga.com/3/all/20121122/51018352/1(2016.10.1. 검색)) 두산백과사전 두디피아 http://www.doopedia.co.kr/

위키피디아(WIKIPEDIA) 영문홈페이지 https://en.wikipedia.org/wiki/Main_Page 이용교, 2016, “마을공동체, 어떻게 만들 것인가”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72931(2016.09.10 검색)) 일본 총무성 홈페이지 http://www.soumu.go.jp

정보화마을 홈페이지 www.invil.org

지속가능발전포털 http://ncsd.go.kr/app/index.do

통계청 보도자료(2011.12.7.) 장래인구추계: 2010-2060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홈페이지 http://www.pohang.go.kr/gigye/introduction/pre/history/?

boardTheme=common&skw=&mode=read&idx=56&page=1 한국어원학회 http://www.etymon.kr/

【 관련문헌 】

강동진 외. 2011. 제도화에 따른 경주 양동 마을의 정주패턴 및 의식변화. 국토계획. 46(5):

93-111.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농촌지역개발사업 완료지구 활성화 방안 연구. 농림축산식 품부.

국토교통부. 2015. 미래 국토발전 전략 수립방안 연구.

김영주·박남희. 2012.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관점에서 본 일본의 마을만들기 사례 분석. 한국가 정관리학회지. 30(4): 133-146.

김정숙·강영택. 2012. 농촌 지역공동체 지속성을 위한 주체형성과정: 풀무학교 전공부 졸업생 의 교육경험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8(2): 51-82.

다무라 아키라 지음. 강혜정 옮김. 마을만들기의 발상. 2005. 소화.

마하트마 K. 간디. 2011.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 녹색평론사.

박경철. 2014. 한계마을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농촌사회. 24(2): 7-59.

성주인 외. 2013. 해외농어촌 정주공간 관련 정책동향과 시사점 Ⅱ.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 외. 2007.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 방안(1/2차 연도).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오민근. 2004. 경관에 의한 자주적 지역활성화: 일본 山形縣 金山町 경관 마찌즈쿠리(まち づくり)를 사례로. 문화정책논총. 16: 217-242.

오하라 가즈오키 비음. 김현정 옮김. 마을은 보물로 가득차 있다. 희망제작소 뿌리 총서. 아 르케.

윤미숙. 2015. 춤추는 마을 만들기, 동피랑 벽화마을에서 시작된 작은 기적. 남해의 봄날.

이용우. 2016.7.12. 미래 국토전망과 정책 시사점. 제 17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중장기 농촌 지역개발의 새로운 틀을 마련한다(2). 미래 농촌 정주공간의 진단과 정책방향.

인천발전연구원. 2013. 인천광역시 마을공동체만들기 기본계획수립 연구용역. 인천광역시.

임경수. 2012. 사회적 자본과 거버넌스 차원에서 본 새마을 운동. 지방행정연구. 26(3)(통 권90호): 27-58.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전인수·최대욱. 2014.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선진형 행․재정적 지원체계 연구. 한국지방 행정연구원.

정경희·이재훈·김병. 2014. 일본 ‘한계취락(限界聚落)’의 인구감소 대책방안 사례연구. 한 국주거학회. 25(3): 35-43.

정광섭. 2009. 지역사회개발과 국제화. 우용출판사.

정도채. 2016.7.12. 2040 농촌 전망과 정책방향. 제17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중장기 농촌 지역개발의 새로운 틀을 마련한다(2). 미래 농촌 정주공간의 진단과 정책방향.

정상호. 2004. 지방시대 지역사회개발론. 박영사.

정석호·정환영. 2012. 일본의 지역주민에 의한 도농교류 : 일본 야마가타현 카네야마읍 타니 구치 지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1): 133-142

정진국. 2010.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 생각의 나무.

정진원, 1991, 한국의 자연촌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조병구 편. 2015. 고령화·저성장 시대 대한민국의 지속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경제인문사회 연구원 미래사회 협동연구총서 1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