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지역 조사·분석 소결

❑ 마을은 가옥들의 집합체를 넘어 커뮤니티 혹은 공동체의 단위라는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마을의 지속가능성이란 커뮤니티로서의 기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말함

∙ 이는 개별 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커뮤니티로부터 다양한 생활상의 욕구를 일 정한 수준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함

∙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생활상의 욕구를 실현하는데 다른 주민의 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실존적 상황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발현되어야 하고 또 그 상황에 대한 인식이 주민 각자에게 내면화되어 있어야 함

∙ 즉 공동체 형성 계기가 주민들 사이에 그리고 주민과 마을 혹은 커뮤니티 사이 에 형성되어 있어야 함

❑ 본 연구의 조사 마을들 중에 위와 같은 조건에 근접한 사례 마을은 경주의 양동마 을이라고 판단됨

∙ 양동 마을은 도시근교마을에 가까울 정도로 인구규모가 비교적 큰 마을이긴 하 지만, 인구의 숫자는 상기의 같은 커뮤니티 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요조건일 수 는 있지만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할 수는 없음

∙ 주민 숫자는 많은데 공동체 해체 위기에 처해 있는 도시근교마을 사례들에서 이를 알 수 있으며, 보다 중요한 요인은 양동 마을의 경우 주민들 사이에 공동 체 형성 계기가 뚜렷하다는 점임

∙ 역사적 전통, 공동체 문화, 경관자원 등 마을이 가진 유무형의 자원들이 대부분 주민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생계 자원이 되고, 또 그 생계자원의 가치가 유지되 거나 더욱 고양되기 위해서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실 존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공유되고 있음

∙ 이것이 다양한 공동체 활동, 두터운 관계망 형성에 바탕이 되고 있음

∙ 이와 같은 실존적 상황에 대한 인식은 1970~80년대에는 현재보다 약했다고 볼 수 있고, 마을 자원들이 경제적 가치를 본격적으로 발휘하면서 주민들 사이에

공유되고 심화되었다고 할 수 있음

❑ 본 연구의 다른 조사 마을들은 상호면식을 바탕으로 한 일상적 접촉, 여가시간을 함께 하는 등의 사회적 관계들이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위에서 언급한 커뮤니티 로서의 기능은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음

∙ 다시 말해 마을은 근린 정도의 수준 기능만을 수행한다고 말할 수 있으며, 주민 들 다수는 사회적 고립감 해소를 넘어 다른 공동체 형성 계기를 공유하지 못하 는 것으로 보이고, 그 결과 다양한 기능을 가진 사회집단 형성이 미약하고 전체 적으로 마을 기능의 약화로 표출되고 있음

∙ 이에 따라 사례마을들은 정주성 위기를 이미 겪고 있거나, 조만간 위기 상황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됨

∙ 정주성의 위기란 생활 및 생산기반시설 정비 부실, 자연환경 관리 미흡이 진행 되고, 이것이 주민들의 심리 상태와 인간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결국 주민들 사 이에 연대의식은 더욱 악화되는 상태를 말함

∙ 물론 이의 근본 원인은 과소화, 노령화라고 할 수 있으나 사회적 고립감 해소 이외의 공동체 지향 혹은 태도는 주민들 사이에 공유되는 정도가 약한 것도 중 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음

❑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의 공간구조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됨

∙ 마을의 자원들이 주민 다수에게 공동체 형성을 하는데 강력한 계기가 되는 마을 의 경우 정주성 약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음

∙ 양동마을은 이런 유형의 극단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데, 이외 농산물가공, 농촌 관광, 고부가가치농산물생산 등의 방식으로 마을공동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 고 있는 마을들도 이 유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음

∙ 문제는 이런 유형의 마을들이 결코 많지 않을 것이라는 점임

∙ 농림부의 마을만들기사업이 육성하고자 하는 마을의 수가 5,000개 마을인데 이 사업들이 다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농촌마을의 일부에 불과하며 더구나 앞으로 국가재정 악화가 예상되어 이 목표만큼 사업추진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불투명함

∙ 결국 농촌지역 대부분은 근린 정도의 기능만을 수행하고 전반적으로 정주성 위기를 겪는 소규모 마을들이 고립 분산되어 있는 공간구조를 가지게 될 것으로 예상됨

∙ 이는 국토의 상당부분이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국토관리 상의 문제지 역이 된다는 것을 의미함

CHAPTER

5

결론 및 향후 과제

01 주요 연구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161 02 미래국토 발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마을 정책과 과제 166 03 연구의 한계 172

CHAPTER

5 결론 및 향후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