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새마을운동과 마을의 변화

❑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 마을 공간구조를 주민 역량으로 개선한 대표적 사례임. 이 는 당시의 국가정책적 지원도 있었지만 과거에 비해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적 생활 양식의 확산과 전통적 농업생산양식으로부터 기계화 영농으로 변화하는 시대적 요 청에 부응하지 않으면 안 되었기 때문이기도 함

❑ 새마을운동에서 마을은 그 발전 수준에 따라 기초마을, 자조마을, 자립마을로 나누었음

∙ 기초마을 : 지도자 발굴 사업을 우선 실시하며, 마을공동으로 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하여 주민단합과 정신계발을 도모

∙ 자조마을 : 환경개선사업을 마치지 못한 ㅎ마을은 계속 지원하여 자립마을로 유도하고, 새마을 가꾸기 사업을 추가 지원

∙ 자립마을 : 새마을 가꾸기로 다져진 기반 위에 환경개선사업을 완성하고, 문화 복지시설과 생산소득기반을 더욱 확충하도록 지원

❑ 기초마을에서 자조마을, 다시 자립마을로 승격하기 위한 마을 공간의 여건들을 다 음 표와 같이 정하여 마을 유형에 따라 지원을 달리하였음

사업별 자조마을

(Self-help Village)

자립마을(Self-reliant Village)

일반농촌마을 소재지마을

농촌도로 -간선안의 완성

-마을진입로의 정비 -간선도로의 완성

-20m 미만 교량가설 완성 -간선도로정비 80%이상 -지선도로정비 80%이상 주거환경 -지붕개량 70% 이상

-간선 하수구의 정비 -지붕개량 80% 이상

-담장개량 80% 이상 -상점 및 간판정비 100% 이상 -시장 및 정류장 정비 영농기반 -수리답율 70% 이상

-마을 안 세천 정비 -농경지 수리율 85% 이상

-마을주변 세천 정비 -지선 안길의 정비완료 -지붕개량 90% 이상

협동생활 -회관, 창고, 작업장 등 1건 이상

-마을기금 50만원 이상

-회관, 창고, 작업장 등 2건 이상

-마을기금 100만원 이상 -회관, 창고, 작업장 등 2건 이상 -마을기금 200만원 이상

소득사업 -공동소득사업 1건 이상-호당소득 80만원 이상 -농외소득사업의 개발추진

-호당소득 140만원 이상 -농외소득사업의 개발추진 -호당소득 140만원 이상 표 3-14 새마을운동의 마을유형 및 유형별 지원

자료: 양원식·최수명(2013),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공동소득사업 성과분석, 뺷농촌계획뺸 19-1호.

❑ 새마을운동의 마을개선 사업에 따른 마을유형별 변화과정을 보면 <표 3-15>와 같음

구분 전체 마을 수 (개소)

자립마을 자조마을 기초마을

마을 수 (개소)

구성비 (%)

마을 수 (개소)

구성비 (%)

마을 수 (개소)

구성비 (%) 1972 34,665 2,307 7 13,943 40 18,415 53 1973 34,665 4,246 12 19,763 57 10,656 31 1974 34,665 7,000 20 21,500 62 6,165 18 1975 35,031 10,049 29 20,936 60 4,046 11 1976 35,031 15,680 45 19,049 54 302 1 1977 35,031 23,322 67 11,709 33 -

-1978 34,815 28,701 82 6,114 18 -

-1979 34,871 33,893 97 976 3 -

-표 3-15 마을개선사업에 따른 마을유병별 변화

자료: 내무부, 1984, 새마을운동 p.319.

❑ 또한 마을 관련 사업내용을 보면 <표 3-16>과 같음

사업명 단위 목표(’71년 설정) 실적(’80년 까지) 목표 대비 실적비(%)

마을 안길 확장 km 26,266 43,558 166

농로개발 km 49,167 61,797 126

소규모 다리건설 개소 76,749 79,516 104

마을회관 건립 35,608 37,012 104

창고 건립 34,665 22,143 64

업장 건립 개소 34,665 6,263 18

축사 건립 개소 32,729 4,476 14

소규모 저수지 개소 10,122 13,327 132

(제방) 건설 개소 22,787 31,625 139

수로 건설 km 4,043 5,161 128

소하천 정비 km 17,239 9,677 56

표 3-16 마을 관련 사업내용

자료: 새마을운동중앙회(1998), 한국의 새마을운동 p.22.

❑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새마을운동을 통한 당시의 농촌마을 환경개선은 규모 면에서나 사업내용 면에서 이전에 어떤 사업보다도 파급효과가 컸던 사업이었음

∙ 취락구조개선사업, 마을안길 조성, 마을 내 공공시설인 마을회관의 건립, 마을 통신사업, 전화사업, 간이급수 및 하수구 시설 등은 전통적 농촌마을 공간구조 에서 현대적 생활양식에 부응할 수 있는 공간구조로 탈바꿈하는 대표적인 사업 들임

∙ 개별주택개량사업은 과거 농촌주택이 생산과 주거가 혼용되어 사용하던 것에서 주거 위주의 공간으로, 그리고 현대식 전자제품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주택 내 부의 동선을 과학화하고 외부의 단열, 지붕개량 등 주거효율성을 제고하므로 농촌에서도 도시적 편익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음

사업명 단위 목표(’71년 설정) 실적(’80년 까지) 목표 대비 실적비(%)

주택개량 천 채 544 225 42

취락구조개선사업 마을

-(당초 계획 없음) 2,747

-소도읍 가꾸기 개소 1,529 843 55

간이급수시설 개소 32,624 28,130 86

하수구시설 km 8,654 15,559 179

농어촌 전화사업

(電化事業) 천 호 2,834 2,777 98

마을통신사업 마을〮〮 18,633 18,633 100

새마을공장 건설 개소 950 717 75

마을 조림사업 ha 967,362 642,804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