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문성마을

(1) 지역사회 변화과정

① 마을의 역사와 인구변화

❑ 문성마을은 신라 후기에 쌓았다는 산성이 있는 백마산(白馬山 ; 383m)-일명 무학산 (舞鶴山), 장방산, 성산(城山)-북쪽 산기슭에 형성된 마을로서 신라대에 기성현기 (杞城縣基)가 있었음(포항시 북구 기계면 홈페이지 2016.10.25 검색)

∙ 원씨(元氏)가 들어와 살게 되면서 한때 원문동(元門洞)이라 불렸으며, 그 후 남양 홍씨(南陽洪氏) 집성촌이 되었음

❑ 문성마을은 자연마을로 번창하던 마을이 기계천의 범람으로 농토가 유실되고 쇠퇴 해져갈 때 하늘에 문창성(文窓星)이 나타나 마을이 다시 번창하게 되어 마을 이름 을 붙이게 됨

❑ 마을 북동쪽 들 가운데 고인돌이 있어 여기에 곁자란 팽나무(높이 12m,가슴둘레 3.3m, 300여 년생) 당산목에서 정월보름에 당제를 지내며 무학산 중턱에는 1962 년 건립된 무학사가 있음

❑ 1960년대 극심한 가뭄으로 쇠락의 길을 가던 문성마을은 젊은 이장인 홍선표씨의 리더쉽을 바탕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새마을운동의 발상 지 중 한 곳으로서 다양한 사업을 통하여 마을의 번영을 이룸

❑ 문성마을은 총 면적의 67%가 산지이고 대다수의 주민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주요 농작물은 논농사와 사과와 단감 등을 재배하고 있음

❑ 하지만 새마을운동의 번영기가 지나고 마을의 젊은 계층들이 경제활동을 위하여 도 시로 유출되면서 마을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고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었음

∙ 현재 문성마을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70세 이상으로 나타나며 마을 내 빈집 은 15호 이상으로 나타남

② 새마을운동의 발상지 문성마을

❑ 문성마을은 새마을운동의 발상지 마을 중 한 곳으로 새마을운동이 번성하였던

1970~80년대에는 마을의 다양한 기능이 잘 이뤄진 지역임

❑ 문성마을은 미래를 내다보는 리더에 의해서 새마을운동의 시범마을로 지정됨

∙ 문성마을 새마을운동은 홍순락 면장, 홍선표 이장의 리더쉽에 의하여 성공적인 성과를 거둠

∙ 홍선표 이장과 홍순락 면장은 기계천 마을 공동 지하수 개발과 양수장설치 공사 로 천수답을 수리안전답으로 바꾸는데 성공하자 마을공동 사업(양수장 확대, 마을 안길 넓히기) 추진

❑ 1970년대 이전 마을길 가꾸기에 대한 관심을 문성마을의 이장(홍선표)과 면장(홍 순락)이 갖고 있었으며, 지붕개량사업은 이석걸(전직 경찰)씨가 도지사에 요청하 여 마을길 가꾸기 사업과 함께 진행됨

∙ 천석꾼인 홍순락 면장이 마을길 가꾸기 사업을 위하여 200평의 땅을 마을에 기증함

❑ 이를 바탕으로 1970년대부터 새마을운동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나 잘사는 마을로 변모함

❑ 1970년대 초 새마을운동 발상지 중 하나로 전국의 시장/군수회의를 개최했던 곳으 로 박정희대통령순시 기념비(1993년 개축)와 새마을운동 발상 기념비, 문성양수 장 설치 기념비가 동네 어귀에 있음

③ 새마을운동 이후 마을의 변화

❑ 마을의 발전을 위해서는 과거와 같이 문성마을의 새마을운동에 대한 가치를 아는 마을주민들의 공동체형성과 자부심등이 필요한데 현재는 그런 것들이 느껴지지 않 고 있음

∙ 마을 인구의 도시로의 인구유출과 고령화로 과거 마을 이장님과 면장님과 같은 젊은 리더가 없음

❑ 현재 문성마을의 마을 안길은 새마을운동 이후 변함이 없음

∙ 새마을운동이 활발하였던 70~80년대에는 마을 주민들을 중심으로 활발한 사업 들이 진행됐으나, 현재 마을 공동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은 없음

❑ 현재 마을 중심에는 포항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관이 위치해

있어 포항시민은 물론 새마을운동을 배우기 위해 개도국에서 온 연수생들이 마을에 방문하고 있음

∙ 그러나 연수생 및 관광객들의 방문이 없을 경우에는 마을 인구가 적고 고령화로 인하여 평소에는 마을 주민들의 활발한 활동이 보이지 않음

❑ 문성마을은 현재 인구 고령화와 경제적 여건으로 인하여 젊은 인구가 거의 없고 노인 인구로 마을이 구성되어 마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 있음

❑ 문성마을 옆 봉좌마을은 별개의 마을로 국비지원사업을 위하여 봉좌마을이 ‘새마 을’이라는 용어를 가져다 쓰기 시작하였으며, 2012년 새마을 권역사업을 통해 예 산을 확보 받아 2016년 2월 준공

∙ 새마을운동의 발상지인 문성마을보다는 마을주민들의 의지와 협동이 만들어지 는 주변 마을에서 마을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나타남

(2) 사례 마을의 공동체적 특성

① 인구 및 농가 특성

❑ 문성마을은 비교적 규모가 있는 자연마을로 연령 분포를 보면 마을 주민 전체 인구 는 170명이며 그 중 60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53% 정도로 비교적 고령인구의 비 율이 높은 편임

∙ 60세 이상 인구 90명 중 85명이 70대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음

❑ 마을의 가구 수는 90호이며 그 중 40호가 단독가구로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최근 5년 내 이사온 가구는 10가구로 모두 지역에 연고가 없는 가구로 나타남

❑ 2016년 기준 전체 가구 90가구 중 농가수는 5호로 대부분의 마을주민들이 농사를 짓고 있지 않고 있는 특징을 보이며 농가 5호도 농산물 판매를 하지 않고 있음

∙ 마을의 인구 고령화와 단순 거주를 위한 외부 인구 유입으로 생업으로서의 농사 는 짓고 있지 않고 있음

∙ 마을의 주민 중 절반 이상이 사과 감 등 과수를 제배하고 있으나 단순한 자급자 족의 형태인 것으로 판단됨

∙ 그 밖에 일부 가구들인 소규모 축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구분 문성마을

마을취락구조 하나의 집촌

그 중 60세 이상인구수 170명

90명 가구수

그 중 단독가구 90호

40호

비농가 수 혹은 농산물 판매 없는 농가 85호

농가의 주된 농사 사과, 감

축산․과수․시설재배 등 상업적 영농 농가 10호

최근 5년 이내 귀촌가구 수 10호

자료: 본 연구의 사례마을 대상 설문조사 결과 표 4-18 문성마을의 인구 및 농가 특성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성마을도 마을 주민들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많이 진 행되었음을 알 수 있고, 마을주민 대부분이 고령으로 농산물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 농산물을 판매하기 보다는 기존의 과수에서 생산되는 사과 감 등을 자급자족용 으로 활용하고 있음

❑ 인구 고령화로 이미 대부분의 마을 주민들이 농사를 짓고 있지 않아 주민들의 경제 생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② 마을 내 사회관계와 공동체 활동

❑ 문성마을은 남양 홍씨 성을 가진 집성마을로 마을 내 리더십 있는 젊은 이장을 중 심으로 마을 주민들이 단합하여 마을공동의 마을기금과 마을토지를 형성하여 마을 재산으로 보유 중임

∙ 하지만 마을 공동재산은 마을 주민들의 토지매매로 인하여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주민들은 마을의 공동재산은 앞으로도 줄어들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마을 내부에서의 비공식 주민모임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마을 주민들은 마을 내 애경사시 축(부)의금을 내거나 참석하며, 가깝고 비슷 한 연령의 이웃끼리는 자주 만나는 모습을 보임

❑ 마을 내부에서의 공식조직은 활발하게 운영되지만 마을 총회 등의 주민들의 모임은 그 활동이 미약한 편으로 나타남

∙ 노인회, 부인회 등 마을 내 주민들이 정기적 모임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음

∙ 마을의 발전을 위한 총회는 1년에 3회 정도 열렸으며 주로 마을행사와 마을공 동사업에 대하여 논의함

❑ 마을 내 농업관련 조직으로는 작목반이 있지만 참여하고 있는 가구는 2호에 불과함

❑ 마을공동시설로는 마을회관, 노인정, 정자 등이 있으며 마을주민들은 마을회관과 정자를 중요한 시설로 인식하고 있음

∙ 농업에 종사하고 있지 않는 마을주민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사업은 관관자 원개발 사업으로 나타남

❑ 마을은 고령화로 인하여 향후 10년 이후에 인구는 줄어들고 빈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마을의 유지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구분 문성마을

공동재산

종류 마을공동재산

형태 마을기금, 마을토지

경향 점차 줄어들고 있음

비농업 조직 조직명 노인회, 부녀회

활성화 유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음(청년회, 동계는 없음)

마을 총회 연간 개최횟수 3회/연

중요안건(1, 2위) 행정연락사항 전달, 마을행사 논의

농업관련 조직화 목반이 있지만 2가구만 참여

마을단위사업 추진경험 있음(새마을운동 사업),

현재는 옆마을인 봉좌마을 주도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음 자료: 본 연구의 사례마을 대상 설문조사 결과

표 4-19 문성마을의 공동체 활동

∙ 그 이유로는 마을 내 위치한 새마을운동발상기념관의 입지로 인한 땅 값 상승을 기대하는 마을주민들이 집이나 땅을 팔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됨

∙ 마을의 유지를 위해서는 인구 증가와 소득 증대를 위한 관광사업 지원이 필요하 다고 마을 주민들이 인식하고 있음

③ 마을 외부와의 사회관계 패턴

❑ 문성마을의 경우 앞의 사례마을과는 다르게 주민행동에 있어서는 주로 포항시와 마 을에서의 생활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사회적 활동, 여가활동, 농업경영 등 전반적으로 마을 주민들의 중요한 장소로 는 포항시와 마을이 가장 중요한 활동 장소로 인식되고 있음

❑ 일상생활용품의 구입의 측면에서는 마을 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포 항시를 다음으로 인식하고 있음

❑ 의료기관의 이용 측면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마을 내와 옆마을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21)

(3) 요약

① 마을의 쇠퇴라는 흐름을 이겨내지 못하는 문성마을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새마을운동 발상지 중 하나인 포항 문성마을은 1970~80년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마을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소득증대라는 마을발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마을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문성마을은 특별한 장소자산이나 지역특산물 등 지역의 경 쟁력이 없는 보통의 농촌마을과 같이 쇠퇴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이것은 과거 성공적인 마을발전 경험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마을 주민들의 공동 체 기능이 약화되고 마을이 지속적인 마을의 발전을 위하여 능동적인 대처를 하지 않으면 언제라도 마을이 쇠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

21) 문성마을 주민들의 의료기관 이용 측면에 대한 설문 답변으로 마을 내와 옆마을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신뢰성에 대해 다소 의문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