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APTER

5 결론 및 향후 과제

하게 유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적 경제생활에 있어서도 적극적으로 공동 대 처하므로 커뮤니티로서의 마을의 가치를 높이고 있었지만 많은 마을들이 전통적 마 을공간 안에서의 접촉과 활동만으로는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마을의 고령화와 쇠 퇴화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 처해 있음을 볼 수 있었음

❑ 사례마을 6 곳은 각각의 입지적 여건이나 마을형성의 역사 전통, 시대조류에 부응 정도 등에 따라 마을공동체가 나타내는 특성과 기능이 다름을 알 수 있었음

∙ 경주 양동마을, 영암 구림마을은 오랜 종족공동체로서의 역사성과 우수한 장소 자산을 보유한 면에서는 유사한 면이 있었으나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측면에 서는 공동체의 다이내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 다시 말해 양동마을은 주민 자체적 의사결정에 따라 마을공동체가 지니고 있는 잠재력을 현대사회 변화에 비교적 능동적으로 적응해 가고 있는데 반해 구림마 을의 경우 관의 지나친 개입으로 오히려 전통적인 마을공동체의 의사결정 메커 니즘이 분절되거나 무력화되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었음

∙ 홍성 홍동면 마을, 보은 하얀민들레마을은 마을 쇠락화의 시대적 흐름에 대해 마을 지도자들의 리더십이 강력하게 작용하여 오히려 마을의 공동체성을 지속 시킨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임

∙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과거 농촌의 1차적 연에 의한 게마인샤프트적인 공동체 와 게젤샤프트적인 공동체가 혼재하고 있어서 향후 마을공동체가 어떻게 변화 해 나갈지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봄

∙ 함양봉전마을, 포항문성마을의 경우 장소자산과 마을공동체를 유지할만한 정신 적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마을로서 전자는 마을접근성 측면에서 불편한 편이고 후자는 양호한 편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봉전마을은 장소자산과 선비정신이라는 소프트 자산을 매개 로 마을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들이 관민 파트너십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 음에 비해 문성마을의 경우 과거의 역사적 가치, 즉 새마을운동의 발상지로서 의 평판을 주민공동체가 이어서 활성화하기에는 너무 많이 고령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 포항시에서 운영하는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이 있지만 마을주민과의 교호작 용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2) 마을의 취락 및 공간성에 관하여

❑ 마을의 공동체를 담아내는 그릇으로서의 취락과 공간성에 관해 사례마을 6곳의 특 성을 크게 두 개의 범주로 묶어 볼 수 있음

∙ 즉 전통적 마을공간의 외형을 비교적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마을과 시대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한 마을이 그것임

❑ 전통적 취락 및 공간 사례

∙ 시대변화에 비교적 무관하게 전통적 취락 및 공간구조를 그대로 견지하고 있는 마을의 대표적 사례는 경주 양동마을이며, 양동마을에 들어가기 위한 진입로는 큰 아스팔트 도로인데 비해 막상 마을 안으로 접어 들어가면 이조시대의 자연스 런 길을 바로 접할 수 있고,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산과 구릉, 천, 하천 옆 길, 주택의 위치 등이 거의 변하지 않은 채 보존되고 있음

∙ 포항 문성마을의 경우도 비교적 전통적 마을공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편이 며, 새마을운동 당시 마을안길을 확장하고 그 길 옆으로 주택이 들어서 있는 모습은 70년대에서 크게 변하지 않은 모습임

❑ 취락 및 마을공간의 변화가 큰 사례

∙ 구림마을은 현재까지는 전통적 공간구조와 현대적 변화의 물결이 혼재되어 있 는 상황이지만 머지않아 전통적 공간구조가 쇠락해질 것으로 판단됨

∙ 이는 이미 마을 안에 아파트(5층)가 들어서고 있고 문화마을조성사업으로 인해 도기박물관, 군립미술관, 그리고 96채의 한옥마을 조성 사업 등으로 전통공간 이 희미해져가고 있는 상태임

∙ 함양봉전마을 역시 뛰어난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선비문화사 업, 권역사업, 황토펜션사업 등 체험마을 지정에 따라 도로망이나 마을공간구 조가 일신하고 있어서 전통공간의 모습은 점차 희미해질 것으로 보임

∙ 하얀민들레마을의 경우는 마을공공공간이 마을리더에 의해 오히려 활성화된 사

례로 마을회관, 공동작업장, 노인회관 등이 정부지원을 받아 쾌적하게 조성되 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취락구조는 거의 변화가 없이 지속되고 있는데 이는 거 주 가옥수가 적고 이동인구가 많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 홍동면의 경우는 취락구조 면에서 큰 변화는 없으나 전통적 공공공간이 마을문 고, 마을독서실, 마을카페 등 마을비지니스와 연계되어 변화하고 있음을 관찰 할 수 있었고, 이러한 공간요소들이 마을공동체성에 어떻게 작동될 것인지는 좀 더 깊이 있는 관찰이 필요함

❑ 이제 이런 차원에서 이 장에서는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을관련 정책에 관 한 시사점과 미래 국토정책에 부응할 수 있는 정책대안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