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 주요 항만지역 현황

(1) 환붜하이 경제권의 항만지역 구분

환붜하이 경제권(环渤海经济圈)은 일반적으로 징진지(京津冀, 北京-天津-河 北省), 산둥성(山東省), 랴오닝성(遼寧省)의 3개 지역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동북아의 인접국들, 즉 한국(남한, 북한), 중국, 러시아, 일본 및 몽골의 6개국의 국제협력의 장이 되는 지역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환붜하이 경제권을 징진지, 산둥성, 라오닝성의 3개 지역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0년 말 기준, 환붜하이 경제권의 위상을 살펴보면, 면적은 중국 전체의 5.4%, 인구는 2억 4천만 여명으로 18.2%, 지역총생산은 10조 위엔으로 25.3%, 수출입총액

은 5,842억 달러로 19.6%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 성, 시 면적(km²) 인구

(만인)

지역총생산 (억元)

수출입총액 (억 달러) 중국 9,607,371 133,972 397,983 29,727

징진지

베이징 16,411 1,961 13,777 1,107

톈진 11,760 1,294 9,108 916

허베이 187,693 7,185 20,197 619

산둥성 157,052 9,579 39,416 2,248

랴오닝 147,500 4,375 18,278 952

환붜하이 소계 520,416 24,394 100,776 5,842

환붜하이 비율 5.4% 18.2% 25.3% 19.6%

<표 3-1> 환붜하이 경제권의 주요 지표(2010년 말 기준)

자료 : 중국통계적요. 2011. 중국통계출판사

환붜하이 경제권의 3대 허브 항만지역은 징진지역의 텐진항, 동북 3성을 배후지로 하는 라오닝성의 다렌항, 산둥성과 중원지역을 배후지로 하는 칭따오항이다. 그 밖에 환붜하이경제권에는 동북3성 라오닝성의 단둥(丹东), 잉코우(营口), 진저우 (锦州),징진지지역 허베이성의 탕산(唐山), 친황따오(秦皇岛), 황하(黄骅), 그리 고 산둥성의 앤타이(烟台), 웨이하이(威海), 르자오(日照) 등 9개의 피더항만 지역이 있다. 그러나 본 절에서는 환붜하이 지역의 3대 허브항을 주요 항만지역으로 설정하 고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2) 환붜하이 경제권의 주요 항만지역

① 톈진 항만지역

ⅰ) 톈진항

텐진항은 수도 베이징의 관문항으로 베이징으로부터 170㎞ 거리에 위치하며, 기능은 베이징의 관문항이자 화북, 서북 나아가서는 몽고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가장 중요하고 편리한 해상통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텐진항은 해하(海河), 북강

(北疆), 남강(南疆) 등 3개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텐진항의 주요 기능별 항만을 살펴보면, 하이허 항만은 텐진시를 관통하는 강인 하이허강에 형성되어있으며 해하의 수심 때문에 5천톤 이하의 선박이 입출항 하는 소규모 항만이다. 베이장 항만은 주로 컨테이너화물과 일반화물을 취급하며, 남강항 만은 석탄, 코르크, 원유, 석유화학제품 등을 주로 취급하고, 동강(東疆)항은 신항만 으로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이다.

주요시설을 살펴보면 텐진항은 중국 최대의 인공(人工)항만으로 북쪽과 남쪽은 방파제로 조성된 항만이다. 항도 길이는 28㎞이며, 주 항도의 폭은 210m, 선석 수는 총 140개이며 이 중 만톤급 이상의 선석은 53개이다. 전용 선석으로는 컨테이너 선석 9개, 석유화학제품 전용선석 4개, 석탄 전용선석 4개, 여객 전용선석 3개, 코크스 전용선석 2개, 곡물 전용선석 1개가 있다.

2010년 텐진항의 총 물동량은 4억1,325만 톤으로 중국내 3위, 컨테이너는 1,008 만TEU로 중국내 5위를 차지하였다.

동장항(东疆港)

난장항(南疆港) 베이장항(北疆港

) 하이허항(海河港 )

임항공업지구

<그림 3-1> 톈진항 평면도

자료 : 톈진항 홈페이지(www.ptacn.com)

ⅱ) 텐진의 국가급 개발구

지구로 지정하였다(1984년 국무원으로부터 국가급 개발구로 비준 받음). 빈하이신 구는 총면적 2,270㎢에 달하는 대규모 경제특구로 톈진 전체면적의 20% 수준에 달하고 있다.

현재 TEDA(Tianjin Economic-Technological Development Area, 톈진 경제기 술개발구) 지역을 중심으로 신하이신구를 제조, 물류, 관광산업 중심지로 집중육성 하고 있는 실정이다. TEDA는 삼성, 모토롤라, 도요타, 코카콜라, 에어버스 등을 포함해 세계 500대 기업 중 약 120개 기업이 입주하고 있다. 이 중 전자정보, 기계, 의약, 화공, 식품 등의 산업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에 전자정보산업이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권역 성, 시 개발구명칭 2010년 2009년 전년대비

증가율

베이징 베이징(北京)경제기술개발구 700.1 570.7 22.7%

톈진 텐진(天津)경제기술개발구 1,545.9 1,231.1 25.6%

허베이 친황따오(秦皇岛)경제기술개발구 180.3 161.0 12.0%

랑팡(廊坊)경제기술개발구 195.3 156.2 25.0%

랴오닝

다렌(大连)경제기술개발구 1,200.1 1,001.6 19.8%

다렌(大连)창싱따오(长兴岛)경제기술

개발구 60.0 34.4 74.4%

잉커우(营口)경제기술개발구 400.0 304.0 31.6%

선양(沈阳)경제기술개발구 836.5 700.0 19.5%

산둥

칭따오(青岛)경제기술개발구 1,038.0 850.0 22.1%

옌타이(烟台)경제기술개발구 149.5 159.1 -6.0%

웨이하이(威海)경제기술개발구 168.0 140.0 20.0%

르짜오(日照)경제기술개발구 791.2 704.7 12.3%

웨이팡(潍坊滨海)경제기술개발구 120.1 104.1 15.4%

둥잉(东营)경제기술개발구 199.2 140.1 42.1%

<표 3-2> 중국 환붜하이 지역 47개 국가급개발구 생산총액

자료 : 산둥성정부사이트(http://bbs.gd.gov.cn)

ⅲ) 톈진시 물류단지

톈진 보세물류단지는 국무원의 비준을 받고 2004년 8월 건설되어 광활한 경제

중심지역을 배후지로 하고 있다. 서비스의 범위는 톈진, 베이징 2대 직할시와 허베이, 산시(山西), 네이멍구, 산시(陝西), 간쑤, 칭하이, 신쟝, 닝샤 8개 성과 허난, 산둥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여, 총면적이 450만 ㎢에 달한다. 톈진 보세물류단지는 톈진항 보세구 동북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항구 컨테이너 부두와 연결되어 있으며, 미국 UPS, 덴마크의 Maersk 등 35개 물류기업이 입주하고 있다.

톈진공항 보세물류가공구는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동북부에 위치하며, 총 개발면 적은 42㎢로, 1기 공정으로 23.5㎢의 개발이 완료되었다. 본 물류가공단지에는 에어버스 조립공장이 입주해 A320계열의 항공기를 조립하며, 항공기 조립, 전자정 보, 정밀기계 등 선진제조업과 물류가공단지를 계획하였다.

ⅳ) 톈진시 물류발전계획

2009년 9월 텐진시는 “국무원 물류산업 조정 및 진흥계획 시행 업무방안(天津市 贯彻落实国务院物流业调整和振兴规划的工作方案)” 제정하였다. 이 업무방안은 2009-2011년까지 추진됐으며, 물류의 통합 및 정보화를 추진방향으로 하여 현대물 류서비스체계 건립, 물류의 사회화 추진, 3자 물류서비스 발전을 시행할 계획이다.

물류발전의 주요 임무는 첫째, 물류시장 수요를 적극 확대하여 상업시설의 합리적 인 배치, 물류배송 및 전자비즈니스 등 현대 유통방식을 발전시킨다. 둘째, 물류서비스 의 사회화 및 전문화 추진으로 기업 내부 물류의 사회화 촉진, 일관수송 등 현대화 수송방식의 발전, 운수와 물류서비스의 융합 강화, 3자 물류 발전, 제조업과 물류산업 의 연동사업 등을 시행한다. 셋째, 물류기업의 합병 및 구조 조정 가속화로 국제 경쟁력을 갖춘 대형 물류기업을 육성한다. 넷째, 국제물류와 보세물류 발전으로 국제환적, 국제구매, 국제배송 등 무역업무 수요를 만족하는 국제물류 발전을 가속화 하며, 수출입 통관절차 최적화 추진, 대 통관 시행으로 항만과 지역간 연동체계 구축, 신형 보세물류 관리감독체계를 수립한다.

② 칭따오 항만지역

ⅰ) 칭따오항

칭따오항은 1892년에 개항된 112년의 역사를 가진 항구이며 중국 내륙운송의 거점항만으로서 중국 최대의 벌크항만이면서 컨테이너 환적항만이다. 칭따오항은 중국 냉장시스템을 갖춘 수출입항만이며, 제5세대, 제6세대 컨테이너 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수심을 확보하고 있다.

칭따오항은 구항만, 황다오(黃島) 원유항만, 첸완(前灣) 신항만으로 크게 구분되 며, 15개 부두와 72개 선석을 보유하고 있다. 첸완(前灣) 신항만은 칭따오의 신도시 가 있는 경제개발구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근 물동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칭따오의 대표적인 항만이다.

2010년 칭따오항의 물동량은 총 3억5,012만 톤으로 중국내 5위, 컨테이너 물동량 은 1,201만 TEU로 중국내 4위를 차지하였다.

칭따오항의 주요시설을 살펴보면, 부두는 15개에 선석 수는 72개이며 이 중 5만 톤급 선석이 6개, 10만 톤급 선석이 6개, 30만 톤급 선석이 2개가 있다. 석탄전용 부두의 경우 전용선석 2개를 가지고 있으며 5천 톤에서 10만 톤에 이르는 석탄선박 작업을 할 수 있고 연간 처리량은 1,500만 톤으로 세계에서 가장 현대화된 석탄전용 부두와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중국의 핵심적인 석탄 수출기지이다. 철광석 전용부두의 경우 칭따오항은 아시아에서 1위, 세계에서 2위인 20만 톤급 광석전용부 두를 가지고 있으며 연간 처리량은 22백만 톤으로 20만 톤급 이상의 대형 광석선박의 하역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배후물류시설로서 칭따오 자유무역지구가 있으며 총 면적은 70만평으로 국제무역, 환적, 보세창고, 수출가공 및 상품전시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림 3-2> 칭따오항 구성도

자료: http://image.baidu.com

ⅱ) 칭따오의 경제기술개발구

칭따오 경제기술개발구는 1984년 10월 국무원 비준으로 설립되었다. 1985년 3월에 착공되었고, 총 계획면적은 20㎢이다. 1992년 황따오구(黄岛区)와 통합되어 국가급 보세구와 신기술산업개발실험구가 설립되었고, 2006년 칭따오 서하이안수 출가공구(青岛西海岸出口加工区), 2008년 칭따오 쳰완보세항구(前湾保税港区) 가 설립되었다.

칭따오 경제기술개발구는 선진제조업, 국제서비스업의 이전을 추진 중에 있다.

칭따오 개발구는 ‘견인사업-산업사슬-산업 클러스터-산업기지’의 발전방침에 따 라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대형, 고급, 실력’을 보유한 사업 유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주요 유치사업 대상은 1,000만 달러~ 1억 달러 규모의 대형 사업 유치, 세계 500대, 화교기업 500대, 중국 500대 기업 유치, 첨단기술산업이며, 특히 지식재 산권을 보유한 사업과 국가급 R&D센터를 주로 유치하고 있다. 아울러 선박제조, 현대물류, 서비스 아웃소싱 기지를 구축하였으며, 이는 74억 위안을 투자한 칭따오

베이촨(北船) 중공업(조선/수리공장), 개발구와 항만 연계를 적극 추진하여 ‘대통관 (大通關, 세관 효율을 높이는 사업) 운영체제’를 구축하고, 수출가공구, 첸완(前灣) 보세항구 등 기능구역을 건설하였다. 고급물류단지를 계획하여 물류업 클러스터 발전을 추진(강저우스예칭따오유한공사 港洲實業(靑島)有限公司를 중심으로 3만 여㎡의 현대물류정보단지 건설) 중에 있다.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설계, 물류, 애니메 이션/영화, 드라마 등 아웃소싱과 관련한 인재 양성 등 아웃소싱 산업 클러스터(강저 우스예 고객 콜센터, 일본우주통신의 콜센터, DELL 콜센터)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ⅲ) 칭따오시의 물류단지

칭따오시는 6개의 주요 물류단지를 건설계획을 수립했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쳰완항 물류단지는 컨테이너, 광석, 석탄, 원유 등 4대 화물을 위주로 한 해운, 철도 및 도로의 연계체계 구축

둘째, 경제개발구역 물류단지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종합 물류단지 셋째, 구 항만 물류단지는 양곡, 화학비료, 소금 등 벌크화물 위주 넷째, 항공 물류단지는 칭따오 류팅(流亭)국제공항의 항공화물 처리

다섯째, 종합물류단지는 도로망을 중심으로 창고, 배송, 정보 등 종합서비스 여섯째, 과학기술단지는 칭따오 과학기술단지 내에 화물배송물류단지를 건설

ⅳ) 칭따오 물류발전계획

칭따오시의 물류발전전략은 동북아지역의 국제물류중심지 구축을 목표로 하여 항만과 공항 중심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물류체계를 구축하고, 농산품과 대형 가전산업 서비스를 위한 특성화 물류를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이완(海灣)대 교, 보세구, 쳰완(前灣)항, 류팅(流亭)국제 공항을 중심으로 물류시설을 배치하여 창고 및 물류정보시스템 구축을 강화함과 더불어 제조업 및 유통업의 아웃소싱을 장려하여 3자 물류를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 마련을 추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