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주거지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형의 분류기준은 주택의 형태와 주거지내 구성 비율로 주거지의 유형을 구분해 볼 수 있음 - 일반적인 주택의 형태 : 단독주택(다가구 포함),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

등 포함), 비주거용건축물의 주택

- 주거지 내 해당 건축물의 구성 비율은 70% 이상을 기준으로 해당지역이 단 독주택 중심지인지, 공동주택 중심지 인지 구분해 볼 수 있음

- 비주거용건축물의 주택은 주거 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지만, 비주거용건축 물이 70%이상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주거지역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주거 지 유형 분류에서 제외하고자 함

<주거지 유형 구분>

○ 단독주택 중심형 : 주택 유형 중 단독주택(단독주택 및 다가구 형태의 주택)이 주거지역 내 차지하는 비율이 70%이상 차지하고 있는 주거지 유형

○ 공동주택 중심형 : 주택 유형 중 공동주택(아파트 및 연립주택, 빌라 등)이 주 거지역 내에서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주거지 유형

○ 혼합형(주거혼재형) : 주택 유형 중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의 유형 어느 하나 가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넘지 못하고, 주거지 내 2개 이상의 용도가 혼재 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경관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 주거지 유형

제 3 장

주 거 지 유 형 별 저 탄 소 도 시 관 리 를 위 한 계 획 지 표 도 출 및 적 용 방 안 구 상

제1절. 개요 : 계획지표 및 적용방안 분석과정 제2절. 계획지표의 항목설정

제3절. 계획지표의 상호 연관성 및 상대적 중요도

제4절. 계획지표의 적용방안

제3장. 주거지 유형별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계획지표 도출 및 적용방안

제1절. 개요 : 계획지표 및 적용방안 분석과정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해 주거지유형별로 적용가능한 주요 계획지표를 도출 하고 적용방안을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단계의 과정을 거쳐 진행

1) 1단계 : 계획지표의 항목설정

○ 주거지에서 적용하기 위한 계획지표를 구성하는 항목별 세부 계획요소를 도 출

- 공간적재구조화 차원의 항목 (Q1~Q5) : 환경적 지속성 실현을 위해 상위차원 에서 비전과 목표를 구성하는 공통 가치기준을 중심으로 구성 (접근성, 효율 성, 자립성, 안정성, 쾌적성)

→ 저탄소 녹색도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통적으로 지향하 고 있는 기본적인 질적가치를 중심으로 구성

- 물리적재구조화 차원의 항목 (G1~G5) : 도시의 물리적 구성요소들 간 상호흐 름과 원활한 순환체계 구축하기 위한 전략에 해당 (친환경토지이용, 녹색교 통, 생태공간(자연생태성보존), 자원관리(자원순환․관리), 에너지효율화) → 실제 도시계획에 적용되는 계획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선행연구와

국내외 성공사례에서 제시되고 있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성

2) 2단계 : 계획지표의 적용방안

○ 상호연관성 파악 : 전문가 설문조사(목적표본추출)

- 주거지에서의 질적가치(Q)와 계획기법(G) 간 결합방법 규명

- 입지유형(주거지)의 계획기법(G)에 포함되어야 하는 질적가치(Q) 비율(%)을 산출하여 주요 계획기법들의 적용방안에 대한 시사점 도출

○ 상대적 중요도 분석 (AHP분석) : 주거지 유형별 계획기법(G1~G5) 간 쌍대비교 - 단독주택(중심)형 / 공동주택(중심)형 / 혼합(주거혼재)형으로 정리

(1단계) 계획지표의 항목설정 계획요소 도출

통합적 접근을 위한 계획지표

상위

차원 질적가치 (Q) - 공간적재구조화 환경적 지속성 실현을 위한 저탄소 녹색도시의 비전및목표

하위차원 계획기법 (G) - 물리적재구조화 구성요소들 간 상호흐름과 원활한 순환체계 구축의 전략

(2단계) 계획지표의 적용방안 계획요소들 간 상호 영향력 파악

Q-G간 연관성에 기초한

결합방법

Q-G간 상호 연관성 파악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상호 연관관계 매트릭스 작성

계획기법의 우선순위

상대적중요도 분석

AHP분석 (쌍대비교) Q에 대한 G의 상대적중요도 계층 1

질적가치 (Q)

계획기법 (G)

계층 2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계획지표의 적용방안 도출 : 상호 연관성 분석 및 상대적중요도 분석결과를 종합

그림 6.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계획지표 적용방안 도출과정

제2절. 계획지표의 항목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