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의 저탄소 녹색도시의 질적가치는 도시, 지역, 지구 등의 공간단 위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문제와 에너지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계 획의 궁극적인 목표나 방향성을 의미하거나 제시해 줄 수 있는‘가치(value)’

를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생태도시 계획은 시민 생활의 질 향상과 친환경 도시계획체계 구축을 위해 지속성의 원칙아래 순환성, 다양성, 자립성, 안전성 의 4가지 생태적 원칙들 또는 질적 가치들을 제시하고 있다 (김태용 2005, 최희 선, 권영한 외, 2008). 녹색도시(Green City)의 주창자인 리차드 레지스터 (Richard Register 1987)는 자연과 균형, 재활용, 재생, 자원 및 에너지 절약, 건 강 등을 핵심가치로 소개하고 있다. 압축도시(Compact City)의 주창자들(Mike Jenks, Elizabeth Burton, Michael Breheny등)은 압축성, 효율성, 복합성, 자립 성, 접근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외에도 어메니티, 공생, 고유성, 생태성, 전 원성, 다양성 등이 중요한 질적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저탄소 녹색도시 관점에서 순환형 신진대사 및 생태순환체계를 강조 한 계획가들23)은 도시맥락 속에서 서로 대응관계에 있는 다양한 차원의 요소 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질적 가치들에 대하여 앞서 언급한 생태도시 또는 녹색 도시, 압축도시 등 지속가능한 도시와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공통적인 질 적 가치에 대하여 접근성, 효율성, 자립성, 안정성, 쾌적성 등으로 요약하고 있 다. 이와 같은 5가지의 질적 가치들이 과연 저탄소 녹색도시 관련 계획개념과 이론들(180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과의 연관성과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봄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도록 구성 되었 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표3-1). 이를 바탕으로 각 질적 가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23) Joe Ravetz (2000), Simon Guy and Simon Marvin (1999), Nicholas Low et al.(2005), Philine Gaffron et al.(2005) 등

연도 개념/이론 주 창 자 핵심 목표 Q1 Q2 Q3 Q4 Q5 1867 도시화 이론 Ildefons Cerda (1867) 도시 내 자연환경의 가치에

대한 인식

1898 전원도시 Ebenezer Howard (1898) 자족기능을 갖춘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

1979 패턴언어 Christopher Alexander

(1979,1986) 도시자원과 상호 흐름을

고려한 커뮤니티 창출

1984 생태도시/

녹색도시/

에코빌리지

Michael Hough (1984), Richard Register (1987), Mark

Michael Breheny (1992), Peter Newman (1994), Haughton and Hunter (1994), Mike Jenks, Elizabeth Burton 등 (1996)

에너지 소비와 환경훼손

1997 어번 빌리지 Urban Villages Group (UVG,

1997-1999) 자족적인 커뮤니티 조성과 Waldheim, Chris Reed, Kees Christiannse et al. (1997, 1999)

자연 속의 도시(자연환경과 인공환경의 일치)/

지역성(토속적 경관)

1998 EC의 그린페이퍼

Rene Schoonbrodt, Leon Krier, Andreas Feldtkeller, Richard Rogers, Salvador Rueda (1998)

자원․에너지 절약을 위한

압축성과 재생

1999 자원절약형 공간구조

Joe Ravetz (2000),

Simon Guy, Simon Marvin (1999), 원제무 (1998)

Peter Newman, Jeff R.

Kenworthy (1999)

Philine Gaffron et al. (2005)

효율적인 이동성/

쾌적한 접근성/ 온실가스

저감형 교통수단 도입

2005 녹색도시 Nicholas Low, Brendan Gleeson, Ray Green, Darko Radovic (2005)

녹색 어메니티 창출/

자연이 도시에 미치는 좋은

영향을 활용

2009 탄소중립개발 Herbert Girardet et al.(2009) Peter Newman et al.(2009), Philline Gaffron et al.(2005) 등

기후안정성/ 환경영향 최소화/

에너지 효율화

범례 - Q1:접근성, Q2:효율성, Q3:자립성, Q4:안정성, Q5:쾌적성 / 연관성 정도: ● 높음, ○ 약간 높음

표 9. 저탄소 녹색도시 관련 개념/이론에서 강조하는 질적가치와 역사적 변천과정

○ 접근성(Q1) : 원활한 연결성과 친환경적 이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질적 가치 에 해당하는 접근성은 물리적 도시구조 상 연결네트워크 구축, 분산집중형의 공간구조 패턴 내에서의 친환경적 이동성 증진, 주민들의 기본적인 이동수요 충족과 사회적 접촉 및 근접성 강화 등과 관계가 깊다.24) 도시계획에서의 접 근성은 정해진 목표점에 도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에 의해 정의되며, 이 러한 시간은 주로 물리적 거리와 이동속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접근성 강화를 위해서는 이동속도를 높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에서 끊임없이 논의되고 있는 교통혼잡, 일정치 않은 개인차량의 이용, 에너지 소모와 환경 오염 등에 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유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저탄소 녹색도 시 계획체계에서 접근성 측면에서의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공간구조적 특성 상 물리적 거리를 줄이고, 인간의 특성 상 이동성을 증진하되, 친환경적 인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야 한다.

○ 효율성(Q2) : 생활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비용 고효율의 도시구조를 실현 하기 위한 효율성은 인간이 도시 거주에 필요한 자원과 에너지의 소모를 줄 이고, 가능하면 재활용해야 한다. 또한, 기존 도시계획에 의해 창출된 공공공 간, 도로, 서비스체계, 기반시설 등의 유지・보존하면서 추가적인 자원 또는 에 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환경의 질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즉, 경제성 차원 에서 도시의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원 (에너지, 각종 관리비용과 시간 등)의 소모를 줄이고 기존 자원의 재이용과 공동 활용함으로써 양적인 균형을 맞추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자립성(Q3) :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체계 상 주요 계획기법들의 적용가능성(실 행성)을 높이고, 도시 내 자연을 전원적 경관이 아닌 개별적인 계획요소로 구 조화하되25), 인간중심(human scale)의 통합전략 및 지원시스템을 도입하여 자 연의 일부인 도시의 자립성을 강조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지속가능한 도시발 전을 목표로 질적 환경조절, 사회적 통합, 경제적 효율성, 제도적 지원 등의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주민들을 위한 전략 및 지원체계에 정립에 관한 가치를 의미한다. 특히, 실행(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거주하는 주민

24) Philine Gaffron, Ge Huismans, and Franz Skala (2005) 등

25) James Corner, Charles Waldheim, Chris Reed, Kees Christiannse 등(1997, 1999)

들을 위한 도시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고, 사회적으로 통합시키며, 필요한 기능 적 요구와 환경을 질을 높이기 위해 적합한 녹색기술을 도입해야 한다.26)

○ 안정성(Q4) : 도시의 인공환경과 자연환경이 조화된 도시를 구축하기 위한 안 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의 기후적 안정성 확보와 생태적 순환성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도시 내부적으로 더 이상의 자연환경 훼손을 방지하고,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사회 적 측면에서도 친환경적 생활방식을 공유하고, 도시 내 자연환경 보존에 관한 공동체 차원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 기존의 기반시설, 건축물, 도로 등으로 이루어진 인공환경(built environment)과 자연환경(natural environment) 간 조 화를 꾀하여 기후적 안정성 확보는 물론, 정신적으로도 편안하고 건강한 공동 체 구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가치에 해당한다.

○ 쾌적성(Q5) : 주로 도시 내 매력적인 생활공간을 창출하고, 다양한 여가문화와 공간 확보에 관한 쾌적성은 우선, 문화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장소성 창출과 지역적 정체성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과 편의성 증진을 위한 웰빙공간 (well-being space)과 도시 내 여가・휴식을 위한 다양한 녹색공간 (green space) 등 주민들 의 복지와 정신적 욕구를 실현시켜주는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과 관계가 깊 다27).

26) Robson et al.(1994), Jacobs(1965)

27) John T. Lyle (1994), Nicholas Low et al.(2005)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