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요구사항 세분화 및 가중치 설정

○ QFD분석에 있어서 CA에 해당하는 ‘계획기법(G)의 상대적중요도’는 앞서 도출 된 AHP분석 결과를 기초로 요구사항을 세분화하고 가중치를 반영하였으며, 저탄 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계획기법들을 주거지 유형별로 비교해보 면 다음과 같음

그림 14. 주거지유형별 계획기법의 상대적중요도(가중치) 비교

- 단독주택형은 에너지효율화 측면, 공동주택형은 자원관리 측면, 혼합형의 경 우는 친환경토지이용 측면의 요구사항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음

- 아울러, 세가지 유형들은 공통적으로 에너지효율화(G5)와 생태공간(G3) 측면 의 가중치가 높은 편으로 이러한 결과가 각 계획기법별 평가지표(T)의 영향 도 측정 시, 변수로 작용하게 됨

표기기호 연관성 강도 척도

● 절대적으로 대응관계 있음 9점

○ 대응관계 있음 3점

△ 대응관계는 있으나 정도가 약함 1점 (blank) 대응관계가 전혀 없음

-표 21. 연관관계 -표기기호

-국내외 사례검토를 통해서도 주거지에서는 에너지절감형 또는 에너지생산형 건 축계획, 친환경 생태공간 확보, 녹지네트워크 구축 등의 요소들에 대한 요구사 항이 매우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가중치 설정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2) 상호 연관관계(G-T) 파악

○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된 계획기법(G)과 평가지표 (T) 간 연관 Matrix 는 핵심 계획 기법(G1~G5)을 CA(요구사항)로 설정하고, 평가지표(T)의 세부항 목들(23개)을 EC의 최하위 항목 으로 적용하여 작성하였음

그림 15. G-T 간 연관관계(Matrix) 분석결과

○ G-T 간 연관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연관관계의 강도를 1-3-9 척도를 사용하 여 표22와 같이 표기하였고, G-T간 연관관계의 총점을 기준으로 정리해보면, - (계획기법 중심) G의 항목별 T와의 연관성 여부 및 영향도를 분석한 결과,

생태공간(G3, 86점), 친환경토지이용(G1, 70점) 순으로 도출됨

- (평가지표 중심) T의 항목별 G와의 연관성 여부 및 영향도를 분석한 결과, T2(25점), T12(23점), T4(21점), T15(21점)이 연관성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T5(3점), T1,T9,T13,T19,T21,T22(각각 9점 동일)이 다소 연관성이 약했음 - (중복여부 파악) 평가지표(T) 중에서 T1 ⇔ T13와 T19 ⇔ T21 ⇔ T22 ⇔ T23 은 유사한 패턴을 갖는 항목으로 의미상의 중복여부, 상관관계 등을 고려하여 통합 또는 삭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38). 다만, 본 연구에서는 CA(요구 사항) 값을 단순화하여 5가지 항목으로 압축하였기 때문에 항목별 유사성이 다소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됨

3) 평가지표(T) 간 상관성 분석

○ 평가지표의 기술적 특성 및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친환경토지이용(G1) 차원의 지표들(T1~T3)이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됨

38) 계획기법(G)과 평가지표(T) 간 연관성 분석결과, 열전체가 비어있거나 동일한 패턴이 발생할 경우, 계획기법에 대한 평가지표(기술적 모수)의 도출에 있어서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임.

이 경우 기술적 모수를 다시 규명하는 절차를 거쳐야 함

그림 16. 평가지표(T) 간 상관성 분석 결과

- T1을 제외하고 T2와 T3는 친환경토지이용(G1)과 강한 연관관계도 가지고 있 어 계획기법을 평가하는 지표들의 기술적 특성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됨

○ 생태공간(G3) 측면의 T14(공공녹지 비율), T15(자연지형 고려 토지개발 및 단지배 치), 자원관리(G4) 측면의 T16(투수성 포장비율, 인공습지, 실개천 및 생태연못 조 성 등), T17(우수집수 및 빗물재이용시설 보급률)은 계획기법의 측면들이 다르지 만 기술적 특성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음

- 이중에서 T14, T17의 경우, 핵심 계획기법들과 상호 연관관계가 약하더라도 (우선순위가 높지 않더라도) 개선의 효과가 클 수 있음을 의미.

→ 즉,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해 생태공간(G3)와 자원관리(G4) 측면의 세 부 계획기법들의 중요도가 낮지만, 다른 평가지표들과 비교했을 때 공공 녹지 비율(T14)을 높이거나 우수집수 및 빗물재이용시설 보급률(T17)을

높이면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음을 의미

○ 녹색교통(G3) 측면에서는 T7(역세권 고밀주거비율)만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에 너지효율화(G5) 측면에서는 평가지표들 간 상관관계가 다소 약해 기술적 특성이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

4) 평가지표(T)의 상대적 영향도 산출

○ 앞서 주거지유형별로 도출된 계획기법(G)의 상대적중요도(가중치), 계획기법(G)-평 가지표(T)간 연관관계 정도, 평가지표(T) 간 상관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G에 대한 T의 영향도와 상대적 영향도(%)를 분석하였음

- 평가지표의 영향도 의의 : 주거지 유형별 핵심 계획기법(G1.친환경토지이용, G2.녹색교통, G3.생태공간, G4.자원관리, G5.에너지효율화)들을 평가하는 지 표들이 저탄소 녹색도시의 질적인 향상 또는 조절 역할을 한다고 가정할 때, 주거지 유형별 계획기법의 상대적중요도(가중치)를 반영한 평가지표의 영향 도가 큰 항목들을 중심으로 우선적으로 향상시키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39) → 특히,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해 모든 계획기법들을 도입할 수 없기

때문에 한정된 자원으로 최고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계획기법들의 질 을 평가하는 지표들의 영향도를 고려한 적용이 필요함

○ G에 대한 T의 영향도와 상대적 영향도(%)는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산출되었 으며, 이는 주거지 유형별로 요구되는 계획기법(G)의 상대적중요도 반영 및 G-T간 연관관계 정보를 통해 평가지표(T) 세부항목별 종합적인 영향도를 의미

G에 대한 T의 영향도 및 상대적 영향도(%) 계산식

▪T의 영향도 = ∑{ G-T 연관관계 × G의가중치(상대적중요도) }

▪상대적 영향도(%) ={ T의 영향도 / (T의 영향도 합계) }× 100 (용어설명 및 산출근거)

․G-T간 상호 연관관계 : 상호 연관관계 matrix 상 1-3-9 척도 값 (●:9점,○:3점, △:1점)

․G의 가중치: 계획기법의 상대적중요도 값 활용 (기준:단독주택/공동주택/혼합형)

39) QFD의 핵심원리인 고객의 요구(계획기법)가 최종 제품(평가지표)에 충실히 구현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는 것에 착안

(1) 단독주택형

그림 17. 단독주택의 G-T간 연관관계와 T의 영향도 및 상대적영향도

○ 영향도 순위 : 전체 평가지표 중 T2(8.09%), T12(7.40%), T4(6.9%), T15(6.79%), T3(6.34%), T16(5.47%), T11(5.18%), T10(5.12%) 순으로 영향도가 높게 산출되었음 - 이 중에서 T2, T15, T3, T16 (순서대로)은 다른 평가지표들과의 상관성이 높

은 항목들로 실제 산출된 영향도보다 더욱 높은 효과가 기대됨

○ 단독주택형에서는 계획기법의 상대적중요도가 에너지효율화(G5) 측면이 가장 높았지만, 평가지표의 영향도는 친환경토지이용(G1)과 생태공간(G3) 측면의 우선순위 항목이 더욱 많이 도출되었음

표 22. 단독주택형 평가지표(T)의 영향도 순위

(2) 공동주택형

○ 영향도 순위 : 전체 평가지표 중 T2(8.49%), T12(8.37%), T15(7.52%), T4(7.03%), T3(6.61%), T16(5.83%), T11(5.61%), T7(4.68%) 순으로 영향도가 높게 산출되었음 - 이 중에서 T2, T15, T3, T16, T7 (순서대로)은 다른 평가지표들과의 상관성이

높은 항목들로 실제 산출된 영향도보다 더욱 높은 효과가 기대됨

○ 공동주택형에서는 계획기법의 상대적중요도가 생태공간(G3)과 자원관리(G4) 측면이 높았지만, 평가지표의 영향도는 친환경토지이용(G1)과 생태공간(G3) 측면의 우선순위 항목이 더욱 많이 도출되었음

그림 18. 공동주택의 G-T간 연관관계와 T의 영향도 및 상대적영향도

표 23. 공동주택형 평가지표(T)의 영향도 순위

(3) 혼합형

○ 영향도 순위 : 전체 평가지표 중 T2(8.85%), T4(7.74%), T15(7.72%), T3(7.22%), T12(7.00%), T7(5.97%), T16(5.12%), T11(4.86%) 순으로 영향도가 높게 산출되었음 - 이 중에서 T2, T15, T3, T7, T16 (순서대로)은 다른 평가지표들과의 상관성이

높은 항목들로 실제 산출된 영향도보다 더욱 높은 효과가 기대됨

○ 혼합형에서는 계획기법의 상대적중요도가 높았던 친환경토지이용(G1)측면의 평가지표의 영향도 우선순위도 높았음 (계획기법의 상대적중요도 = 평가지표 순위)

그림 19. 혼합형의 G-T간 연관관계와 T의 영향도 및 상대적영향도

표 24. 혼합형 평가지표(T)의 영향도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