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 녹색도시의 개념과 계획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기존 도시계획체계의 재구조화(restructuring) 과정 속에서 공간적으로 요구되는 질 적가치와 물리적인 계획기법 간 상호 영향력을 고려한 최적의 결합방법을 중심으 로 주거지 유형별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 해 다음과 같이 4가지의 세부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계획기법 모색) 세부적으로는 저탄소 녹색도시 계 획체계 속에서 공간의 질적가치를 고려한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주요 계 획기법들을 모색함

둘째, (가중치가 반영된 계획기법 추출)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계획요소들 의 질적인 향상과 조절의 역할을 하는 계획기법별 지표(measure)를 구성함 에 있어서 주거지 유형에 따른 계획기법들의 가중치(상대적중요도)를 반영 하여 상대적 중요도에 기초한 평가지표(indicator)를 구성하고자 하였음 셋째, (계획기법들의 종합적 영향도를 고려한 평가지표 개발) 저탄소 녹색도시 실

현을 위해 한정된 자원으로 최고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계획기법들의 종 합적인 영향력을 기준으로 한 평가지표 개발이 효과적임

넷째, (평가지표의 활용방안 구상) 앞서 도출된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계획기법 들의 가중치와 종합적 영향도를 고려한 평가지표를 주거지 유형별로 적용 하는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함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및 내용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주거지 유형별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저탄소 도시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평가지 표 및 활용방안의 공간적 적용범위는 대전광역시 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거지

유형에 해당하는 지역들로 한정한다. 또한, 해당 주거지 유형별로 제도화된 요소들 (건물 및 단지 차원의 계획기법, 녹지생태 및 수자원, 재생에너지, 녹색교통, 친환경 토지이용 등)을 대상으로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핵심 계획기법 도출과 평가지표 의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전시의 기 추진되었거나 향후 추진 예정인 주거단지 조성 및 각종 도시개발 사업, 도시재생(재정비, 균형발전 등)사업 등에 적 용이 가능하도록 관련 주거지 유형별로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활용방안을 현행 관 련 법제도적 여건을 고려하여 정리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는 현재의 도시계획체 계가 기후변화 대응형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실제적 요구사항들을 반영해야 함 을 인식하고, 계획요소 도입에 관한 양적논의의 중심에서 벗어나 질적인 차원에서 상호 결합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현재의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기술은 매우 다 양하지만 실제 적용 가능한 기술수준과 종류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문가 설문 조사에 기초하여 현재의 기술수준을 고려해 보았을 때 가장 중요도가 높고 영향력 이 높은 계획기법들을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도시계획체계로의 재구조화 과정 속에서 효과적인 계획기법의 적용에 관하여 논의 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전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관련 분석을 통한 검증과정을 거치게 된다.

□ 기본전제 :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계획체계와 재구조화 과정 필요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해서는 기존 계획체계의 재구조화 과정이 요구되는 바, 첫째, 환경적 지속가능성 실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질적 차원에서 도시공간 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전반적인 과정과 둘째, 도시의 주요 물리적 구성요소들 간 상호 흐름과 생태순환체계 및 순환형 신진대사 작용을 더욱 원활히 하는 과정이 여기에 해당한다. 일반적인 도시계획 체계는 자원의 흐름과 생태적 순환이 해당 도 시의 수용력과 환경용량 범위 내에서 존재해야 하지만,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 한 도시계획 체계는 그 자체가 지속가능한 생태적 순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그리 고 이러한 체계는 최근의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즉 에너지 효율적 이고, 자원낭비를 방지하며,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일정한 패턴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고려사항이 발생하게 된다.

○ 공간적 재구조화를 위한 녹색도시의 가치를 중시한 질적요구 반영 : 주민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고려(주요 측면 : 접근성, 효율성, 자립성, 안정 성, 쾌적성), 도시계획의 비전과 목표 설정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

○ 물리적 재구조화를 위한 저탄소 계획기법 적용 : 도시 내 순환형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계획요소를 적용(주요 측면: 토지이용, 녹색교통, 생태공간, 자원관 리, 에너지효율화); 공간적 재구조화의 결과에 따라 실제적인 계획기법들을 적 용하고 배치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며,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전략에 해당

○ 계획기법의 선별적 도입 필요 : 도시계획체계의 공간적‧물리적 재구조화 과정 중에서 해당 계획기법들은 토지의 입지유형 및 개발조건(기성시가지, 신시가 지)2), 주거지 내 건물유형(단독주택, 공동주택, 혼합형 등), 기술수준(계획기법 별 녹색도시 조성기술의 지원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기법 들을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그림 1. 도시계획체계의 재구조화 과정과 주요 고려사항

2) Martina Koll-Schretzenmayr(1999)는 수 많은 계획가들은 도시계획 상의 계획과정, 주요 전 략도입, 제도적 지원체계 등을 기성시가지와 신시가지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동일한 방법 을 적용함으로써 계획체계의 효율성과실행성을 꾀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음; 기성시가 지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이 실현을 목표로 충진식 개발(infill development)이 유리하고, 신 시가지는 자연환경 보존과 난개발 방지를 목표로 한 신도시개발이 요구되는 것임

□ 연구가설 설정 및 검증과정

가설

1

주거지 유형별 공간의 질적 요구사항에 따라 계획기법(G)의 상대적 중요 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주거지 유형에 따른 계획기법들의 가중치 설정관련 가설

○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해 ‘주거지’라는 입지조건 상에서 반영되어야 할 삶의 질 차원의 질적요구와 관련 계획기법 간 상호 연관성을 고려해야 함 - 이는 계획기법의 세부 요소들이 공간의 질적 향상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

과나 영향력의 범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주거지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질적가치와 계획기법 간 상호 연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함

○ (가설검증)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 유형을 크게 단독주택(중심)형, 공동주택(중 심)형, 주거혼재형으로 3가지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계획기법의 상대적 중요 도를 산출․비교하여 가설을 검증함

가설

2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계획기법들은 관련 기술과의 연계성에 기초한 종합적인 영향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계획기법(G)의 종합적 영향도에 기초한 평가지표(T) 설정관련 가설

○ 주거지 유형별 도출된 계획기법들의 적용가능성 파악하기 위해 계획기법의 주요 측면별로 적용 가능한 세부기법들을 파악해보고, 각 기법들의 기술수준 과 지원성 정도를 반영된 평가지표(T)를 산출함

○ (가설검증) QFD 분석을 통해 계획기법(G)에 대한 적용 가능한 평가지표(T)의 우선순위와 종합적 영향도를 파악하여 가설을 검증함 :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분석의 목적은 계량화가 어려운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관련 계획 기법(G)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녹색도시 평가지표(T)에 충실히 반영되도록 하 기 위함이며, 향후 각 계획기법과 평가지표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적용범위 (도시/단지/건물)별로 구분하여 정리함

2. 연구의 방법

1 단계

저탄소 녹색도시의 주요 계획요소 도출

계획체계의 개념 정립 및 주요 계획요소 도출

○ 기후변화 대응형 저탄소 녹색도시를 위한 도시계획체계 재구조화 개념정립과 재구조화를 위한 주요 계획요소 도출

(1단계) 공간적 재구조화를 위한 질적가치(Q) 추출 (2단계) 물리적 재구조화를 위한 계획기법(G) 추출

○ 계획기법에 대한 평가지표 도출

(3단계)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세부 계획기법의 평가지표(T) 추출 (연구방법 :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자료수집, 국내 관련사례 검토 등)

2 단계

주거지 유형별로 적합한 계획기법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지표)

주거지 유형을 고려한 계획요소들 간 상호 연관성과 상대적 중요도 산출

○ 주거지에서 도시계획체계의 공간적․물리적 재구조화 과정 (전문가 설문) - 질적가치(Q)와 계획기법(G) 간 상호 연관성 파악

→ 입지유형별로 계획기법(G)에 포함되어야 하는 질적가치(Q) 비율(%)을 산 출하여 주요 계획기법들의 적용방법에 대한 시사점 도출

○ 주거지 유형별 계획기법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AHP분석)

- 단독주택(중심)형/ 공동주택(중심)형 /주거혼재형에 적합한 계획기법(5가지 차원)의 상대적 중요도 산출

○ 소결 : 주거지유형별 재구조화 과정 및 계획획요소 적용관련 시사점 도출 - 주거지에서의 질적가치(Q)-계획기법(G) 간 상호 연관성과 해당 유형별

계획기법(G)의 상대적 중요도에 기초한 구체적인 적용방법 규명

(연구방법 : 전문가 설문조사 - 계층구조분석법 (AHP))

3 단계

주거지 유형별 계획기법에 대한 녹색도시 평가지표의 적합성 분석

○ 주거지 유형별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기법과 평가지표 간 최적의 결합방법 모색

•분석목적 :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 해 주거지 유형별 계획기법들(G)이 실제 도시에 적용될 때, 세부 계획기법의 평 가지표(T)의 적합성 파악

•분석방법 : G→T에 대한 종합적 영향도 파악을 위해 QFD방법론을 활용

→ 저탄소 녹색도시 관리를 위해 필요한 ‘계획기법들(고객의 요구사항)’이 ‘저탄소 녹색도시(최종제품)’으로 충실히 반영되도록 하기 위함

○ 계획기법(G)에 대한 평가지표(T)의 적합성과 종합적 영향도 분석

<QFD방법론을 활용한 분석과정 및 HOQ (House of Quality) 작성>

⑧ T-T 상관관계

⑤ 계획기법 (T1~T5) 계획기법①

(G1~G5)

상대적② 중요도

⑦ G-T 연관관계 Matrix

(상호 연관성 파악 결과) ③

계획기법

계획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