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거지 유형별 평가지표의 영향도 비교

○ 주거지 유형별로 평가지표의 영향도를 종합․비교 한 결과, 핵심 계획기법에 대 하여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평가지표(품질평가요소)들은 다음과 같음

- 단독주택형 : 생태공간(G3; 27.21%) > 친환경토지이용(G1; 24.09%) - 공동주택형 : 생태공간(G3; 30.21%) > 친환경토지이용(G1; 25.38%) - 혼합형 : 생태공간(G3; 28.34%) > 친환경토지이용(G1; 26.90%)

○ 평가지표 단일항목으로는 T2(기존 자연자원 보존율(%), 자연지반 녹지율(%))가 전체 주거지유형에 걸쳐 영향도가 가장 높았음(8.09~8.85%)

분야 주거지 차원 적용가능한

제 5장

평 가 지 표 의 활 용 방 안

제1절. 분석의 종합 제2절. 정책적 제언

-정리 중

-<참고문헌>

(단행본)

강상준, 탄소저감을 위한 친환경 공간구성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2009-17), 경기개발연구원, 2009

김명자 역 (2006), 과학혁명의 구조(토마스 쿤 저), 까치

김창석 외,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도시계획론 (개정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 저, 서울: 보성각, pp.609-627, 2000

오구균, 신용석, 최승, 도시경관․생태론, 기문당, 2006

임창호, 구자훈 共譯, 미래의 도시: 21세기 도시의 과제 및 대응전략, 2005/(原제목:

Urban Future 21: A Global Agenda for Twenty-First Century Cities, Peter Hall and Ulrich Pfeiffer 공저(2000)

황희연, 백기영, 변병설, 도시생태학과 도시공간구조, 보성각

(학술지논문)

구자훈, New Urbanism과 친환경도시의 도시계획적 실천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 세미나 자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3

김정곤 외 7인,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개발 및 시범도시 구상,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0

김정곤, 탄소중립도시 북유럽사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정보지

『LHI Archives,』 1권, 창간호 pp.186-187

김정곤, 오덕성, 독일 생태주거단지의 지속가능성 분석과 단지설계특성의 심층사 례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도시설계』제12권 제2 호, 2007

김정곤, 최정은,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전략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도시설계』제8권 제4호, 2011.4

반영운 외 5인,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개발전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지 도시정보, 2008.9

오덕성, 염인섭, 지속가능한 자원절약형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학회논문집(계획계), 제24권 제1호, pp.173-184, 대한건축학회, 2008. 1 왕광익, 유선철,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 수립기준, 한국토지주택공

사 토지주택연구원, 『토지연구』제29권 통권 제87호 (2009년 제2호) pp.65-88, 2009.2

원제무, 자월절약형 도시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도시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 1998

이상문, 생태도시 측면에서의 도시계획 패러다임 진화,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정 보지「도시정보」통권 제295호, 2006.10

이재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차원에서의 탄소완화 계획요소 개발 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제44권 제4호 2009.8 이재준, 한국형 생태도시 계획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

획, 제40권 4호, 2005

임현민, 김광재, 유재형, QFD 방법론에 의한 IPTV 서비스 품질 핵심 요소 도출 및 분 석, KNOM Review, 제11권 제1호, 2008.7

최희선, 권영한 외, 도시개발사업에서 환경생태계획의 체계적 도입방안, 한국환경 정책평가연구원, 2008

박인석, 강인호, 강부성, 주거만족도에 의한 주거환경의 개선 우선순위 분석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9권 제6호, 1993

정성룡, 주거환경개선지구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6 권 제1호, 1999

이효창, 박정아, 하미경, 주거지역의 범죄 및 범죄 불안감 예방을 위한 실내외 주거환경 계획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2권, 2009

김영환, 재개발 재건축 아파트단지 주거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구단위 공공규제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32권 제2호, 1997

강인호, 이승미, 박인석, 주거환경 구성요소의 상대적 가중치 분석,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0권 제2호, 2009

조성희, 강혜경, 주거환경 구성요소에 대한 거주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지 제11권 제1호, 2000

이춘호,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만족도 비교 분석, 국토계획 제36권 제6호, 2001 홍경구, 대구시 주거이동 결정요인별 선호주거지역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9권 제

6호, 2008

박선욱, 주거지 형태와 척도의 적절성 분석지표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제7권 제2호, 2009

김한수, 김재홍, 재래시장의 입지와 주거지 형태 및 공간이용 관계 분석, 산업기술연구

소논문정보집 제22권 제2호, 1999

김선중, 울산시 불량주거지의 거주 및 입지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8권 제10호, 1992

이서경, 우신구, 상업화에 따른 단독주택지역의 건축형태 및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대 한건축학회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제1호, 2005

김묘정, 지속가능성의 함의를 고려한 주거지 계획특성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9권 제4호, 1996

강세진, 김창석, 남진, 주거환경정비를 위한 노후불량주거지의 유형별 물리적 특성에 대 한 연구, 국토계획 제41권 제3호, 2006

김영, 김남룡, 김주훈, 박진호, 지방중소도시 노후불량 주거지 특성과 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진주시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를 대상으로, 주거환경 제6권 제2호, 2008 문지원, 김주현, 하재명, 도시마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전통마을 공간 구조 특성 분

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9권 제6호, 2008

이희정, 김기호, 서울시 일반주거지역 세분을 위한 주거지 밀도분포 특성 연구: 일반주 거지역 밀도결정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36권 제5호, 2001

강세진, 김창석, 남진, 블록별 주거환경지표의 군집분석을 통한 서울시 주거지유형 및 유형별 특성 분석, 국토계획 제43권 제3호, 2008

유성필, 이문규, 황지욱, 공시지가의 시계열분석을 통한 전주시 주거지 유형별 특성 고 찰, 도시행정학보 제24권 제4호, 2011

조상운, 강세진, 인천광역시 주거지유형 분석, 인천발전연구원, 2010

김근용 외 9인, 국민주거안정을 위한 주택정책 개편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3

(학위논문)

김태용,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자원순환체계 동태모형 개발, 서울시립대학 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5.2

박은규, AHP기법을 활용한 도로유지보수 우선순위 평가모형 개발, 목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5.12

이춘희, 21세기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에 따른 도시형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 원 박사논문, 2007

정광섭,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평가모형 개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논문, 2010. 2

(관련 보고서 및 웹사이트)

국토해양부, 자원절약형 도시환경을 위한 환경순환시스템 구축방안, 2006 국토해양부, 에너지절약설계기준해설서, 2008

대전광역시, 온실가스배출량 산정조사 및 저감방안연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09 대전광역시, 그린시티 대전 추진전략, 2010. 1

대전도시공사, 학하 Green Town 조성계획에 대한 연구, 2010. 1

충남발전연구원, 활력 있는 창조적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중소도시재생 정책방향과 추진 계획, 2008

환경부, 친환경적 도시계획수립 방안 연구, 1999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속가능한 에너지저감형 첫마을 생태주거단지 실현방안 연구,2008 한국토지주택공사,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구상,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09. 9

한국토지주택공사, 저탄소 녹색성장이야기, 2009

환경부(2008), 지자체 기후변화대응 업무안내서, 2008.12

환경부, 환경관리공단(2008), 해외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대응사례집, 2008.8

(국외문헌)

Breheny, M. (1992 a)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Form, Pion, London, 1992a Breheny, M.(1992 b) The contradictions of the compact city: a review,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Form (ed. Breheny, M.) Pion, London, 1992b

Girardet, H. (1992) The Gaia Atlas of Cities: New Directions for Sustainable Urban Living, Gaia Books, London

Girardet, H., Mendonca M.(2009) A Renewable World (Energy, Ecology, Equality), First Edition, Green Books, London

Jacobs, J. (1965)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Penguin, Harmondsworth

Jacobs, J. (1970) The Economy of Cities, Vintage Books

Joe Ravetz (2000) Integrated assesment for sustainability appraisal in cities and region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Vol.20, pp.35-36, Elsevier Science

Joe Ravetz (2000) Urban Form and the Sustainability of Urban Systems: Theory and Practice in a Northern Conurbation, Achieving Sustainable Urban Form (Part 3), E&FN Spon

Joe Ravetz (2000) City-Region 2020, London: Earthsan

Michael Hough (1984) City Forms and Natural Process: Towards a new urban vernacular, Van Nostrand Reinhold

McHarg, I. L. (1969, 1992) Design with nature, John Wiley and Sons

Nichoals Low, et al. (2005) The Green City: Sustainable homes, sustainable suburbs, UNSW Press, Routledge

Peter Newman and Jeff R. Kenworthy (2000) Sustainable Urban Form: The Big Picture, Achieving Sustainable Urban Form Part 2

Peter Newman, Timothy Beatley, and Heather Boyer (2009) Resilient Cities:

Responding to Peak Oil and Climate Change, Island Press, Washington DC Peter W. Newton (2010) Beyond Greenfield and Brownfield: The Challenge of

Regenerating Australia's Greyfield Suburbs, Built Environment(Informal Urbanism), Volume 36, Issue 1

Philine Gaffron, Ge Huismans, and Franz Skala (2005) Ecocity 'Urban Development towards Appropriate Structures for Sustainable Transport'(2002-2005) - Book 1 A better place to live, European Commission, DG Research

Philine Gaffron, Ge Huismans, and Franz Skala (2005) Ecocity 'Urban Development towards Appropriate Structures for Sustainable Transport'(2002-2005) - Book 2 How To Make It Happen, European Commission, DG Research, 2005 Register, Richard (1987), Ecocity Berkeley: building cities for a healthy future, North

Atlantic Books

Robert Gratz (2003), 'Authentic urbanism and the Jane Jacobs legacy' in Urban villages and the making of communities, London: Spon Press, pp. 17-23 Simon Guy and Simon Marvin (1999), Understanding Sustainable Cities: Competing

Urban Futures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July 1999 6: 268-275 StMUGV (Bayerisches Staatministerium Fur Umwelt, Gesundheit und

Verbraucherschutz) 2007, Wegweiser zur Klimaneutralitat, Muenchen

Tony Aldous (1992) Urban villages : a concept for creating mixed-use urban developments on a sustainable scale, London: Urban Villages Group, pp. 11-13 Van Timmeren, A.;Eble, J.; Verhaagen, H.&Kaptein, M.(2004) 'The Park of the 21st

century:agriculture in the city' Wit Press, Southhampton

Volker M. Welter (2002), Biopolis: Patrick Geddes and the City of Lif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부록. 전문가 의식조사 설문지

기본과제 연구보고서 2012-15

주거지 유형별 저탄소 도시관리 계획기법의 평가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발행인 이 창 기 발행일 2012년 11월 발행처 대전발전연구원

302-280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본1길 39(월평동160-20) 전화: 042-530-3500 팩스: 042-530-3528

홈페이지 : http://www.djdi.re.kr

인쇄: ○○○○○ TEL 042-○-○ FAX 042-○-○

이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책임자의 견해로서 대전광역시의 정책적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로이 인용할 수 있으나 무단 전재나 복제는 금합니다.

ISBN : 978-89-981543-4-9 9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