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앞서 도출된 질적가치들이 저탄소 녹색도시의 비전 및 목표에 대한 공간적 재구조화 측면의 평가기준이라면, 계획기법은 물리적 재구조화28) 측면의 평가 기준에 해당한다. 즉, 실제 도시계획에서는 비전과 목표를 실현해주는 전략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들은 도시의 환경용량 범위 내에서 주요 자원들 (토양, 수자원, 녹지, 재료, 에너지 등)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물리적 요소들의 상 호 간 흐름제어 및 순환체계를 형성하는 등 일반적으로 탄소저감・흡수, 에너 지 효율화, 자원순환 및 관리 등에 관한 계획기법들로 구성된다.

저탄소 녹색도시의 계획기법 도출은 앞서 진행된 선행연구와 국내․외 사례고 찰 결과를 기준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우선, 저탄소 녹색도시의 물리적 재구 조화와 관련하여 계획체계에 관련된 연구는 도시의 환경문제를 통합적이고, 내적인 일관성을 가진 틀로 보려는 접근들로는 크게 3가지 접근 즉, 생태학적 접근, 도시 신진대사론, 사회학적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첫째, 생태학적 연구는 도시를 하나의 생태학적 단위로 인식하고, 물질과 에 너지의 순환측면에서 분석하려는 시각이다. 이에 따르면, 도시 생태계 의 입력과 출력은 다양하게 규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신진대사의 강도가 높을 수록 입․출력이 많아지며, 종속영양과 독립영양이 불균형 을 이룰수록 균형을 위한 외부환경이 더욱 필요하다. 이에 따라 도시 생태계는 필연적으로 자원과 에너지의 대량공급이 필요한 외부종속적 인 체계로 파악된다. 각종 생태학적 도시연구는 생태적 안정성 또는 안전성, 독립성, 다양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들에 의해 전 략들이 제시된다.

둘째, 도시를 체계이론적으로 이해하려는 관점에서 도시신진대사론(urban metabolism)은 도시를 생물의 신진대사과정과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자원과 에너지의 흡수를 통해 자신의 활력을 유지하고 외부로 폐기물 을 배출한다고 간주한다. 즉, 도시는 생태학적 견지에서의 외부로부터 자원․에너지를 유입하여 내부활동에 이용하고 그 부산물로 폐기물을 배출하는 하나의 유기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도시신진대사론에 의하면, 도시 계획체계의 안정성과 독립성,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전문 화와 분산화를 유도하는 정책방향이 도시환경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

28) 기존 도시계획의 요소들을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체계에 적합하도록 바꿔주는 과정에 해당

다.

셋째, 사회학적인 접근방법은 도시신진대사론과 비슷하게 도시를 물질체계 의 진화과정에서 다중구조, 구조적 다양성, 다양한 하부구조 사이의 연계성을 보여주는 곳으로 이해한다. 이에 따르면, 도시는 그 구성요 소로 하드웨어 부분이 무기물질, 생물, 그리고 도시의 관리자이자 지 탱자인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3가지 연구경향은 도시환경문제를 접근하면서 사회(인간의 활동 이 일어나는 곳)와 생태영역(물리적 인공․자연 환경)을 통합하는 접근방법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방법론적으로는 유용하지만, 개념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자원을 절약하고 재사용, 재자원화를 촉진하는 도시 공간개발에 대한 관점과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쾌적한 삶의 공간 조성의 관점, 사회경제학 관점에서 시민들이 사회체제에 적극 참여하는 도시계획 등 기존 도시계획의 중심에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을 포함시키고자 노력하고 있 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는 다소 개념적이고, 실제 계획체계 내에서 작동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을 제어할 수 있는 계획요소들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Herbert Girardet(2002,2009), Nicholas Low et, al(2005), Joe Ravets(2000), Philine Gaffron 외(2005) 등은 실제 도시계획에 적용시키기 위한 계획기법들을 공통적으로 1) 도시의 물리적 형태와 구조(공간구조・토지이용・

건축물 등), 2) 생태공간 (녹지, 하천, 비오톱 등), 3) 녹색교통, 4) 자원관리와 순 환, 5) 에너지효율화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이 5가지 측면들을 기준으 로 하되, 자원관리와 순환은 더욱 세분화 하여 수자원, 폐기물자원, 건물자원, 녹지, 재활용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 녹색기술 도입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도시계획 및 관리체계, 연결체계, 자 원・에너지 순환체계(수자원, 폐기물, 녹지, 재활용 등), 녹색경제 등으로 구분 함으로써 교통, 에너지, 자원관리 분야를 도시계획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구 성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도시의 계획측면들에 대해서 연구자 에 따라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친환경 토지이용, 녹색교 통, 자연생태성 보존, 자원관리, 에너지효율화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실제 국 내외 사례연구에서도 앞서 고찰한 것과 유사한 측면들로 구분되고 있었다.

구분 핵심목표

친환경생태공간 확보

제3절. 계획지표의 상호 연관성 및 상대적 중요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