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장

2. 농식품 수출 관련 디지털 기술과 온라인 수출 실태 조사

2.1. 조사개요

2.1.1. 조사목적

농식품 수출업체의 수출 단계별 디지털 기술 활용 실태와 애로 사항을 체계적 으로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농식품 수출업체의 디 지털 기술 사용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 도출의 근거자료로 활용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1.2. 조사 기간 및 대상

조사기간은 2021년 10월 1일부터 10월 22일까지 농식품 수출업체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농식품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추 출(random sampling) 방식에 응답한 기업 수는 총 295개이며, 이 업체를 대상 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72)

2.1.3. 설문지 내용73)

사업체별 특성을 고려하여 디지털 기술 활용실태 및 애로 사항을 파악하기 위 해 기업의 종사자 수, 주소, 대표자 정보, 창업 연도 및 수출 시작 연도, 생산·가공·

수출 방식, 매출액 및 수출액, 수출 품목 및 대상 국가, 주요 고객(업체/소비자), 신 선농식품 수출 비중, 온라인 플랫폼 수출 여부, 온라인 수출액 비중, 온라인 수출

72) 추가적으로 aT 온라인모바일마케팅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를 지원사업 참여기업 28개에 대해 실시 하였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부표 8-1>에 제시하였다.

73) 설문지는 부록에 제시하였다.

128 |

품목 및 대상국가, 온라인 수출액 시작 연도 및 수출액 등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신 선 농식품은 운송과정에서 상온 보관이 어렵고 유통기한이 짧은 농산물 및 가공식 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일반컨테이너를 통해 운송이 어려워, 냉장·냉동 등 콜 드체인(Cold-Chain)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농산물이나 가공식품을 의미한다.

<표 4-3> ‘농식품 수출 관련 디지털 기술과 온라인 수출 실태조사’ 설문지 구성

구분 내용 비고

사업체 개요 - 업체명, 업체 주소, 창업연도 - 무작위추출을 활용한 표본 선정 인력 현황 - 대표자 성별·학력·연령, 종사자 수, 수출 전문 인력

수, 온라인 수출 전문 인력 수

- 종사자 수는 상용근로자 수와 임 시 및 일용근로자 수를 포함함

수출 정보

- 생산방식, 가공방식, 수출방식, 매출액, 수출액, 수 출품목, 수출대상국, 수출품목 수, 수출대상국 수, 신선농식품 수출 비중, 주요고객(업체/소비자)

- B2B, B2C 비중 구분 - 신선농식품은 상온보관이 어렵

고 유통기한이 짧은 농산물 및 가공식품을 포함함

온라인 플랫폼 수출 정보- 온라인 플랫폼 이용 수출 여부, 온라인 수출액 비중, 온라인 수출품목, 온라인 수출 대상국, 온라인 수출 시작연도

- 온라인 플랫폼 이용 수출 업체 에만 질문

디지털 기술 활용 실태

수출 홍보 및

마케팅 - 단계별 디지털 기술 인지도, 사용여 부, 기술 활용 난이도, 수출확대 유용 성, 도입효과, 애로 사항, 미활용 이 유, 향후 활용 계획

- 단계별 디지털 기술 활용 실태 및 인지도

- 인지도(4점 척도 활용) - 기술활용 난이도, 수출확대유용

성(5점 척도 활용) 판매 및 계약

물류 및 통관

온라인모바일마케팅 지 원사업 만족도

- aT온라인 플랫폼입점지원사업 참여여부, 지원사업 만족도, 사업수행(활용) 난이도, 수출 확대 유용성, 다른 사업과의 연계성

- aT온라인 플랫폼입점지원사업 참여업체에만 질문

- 5점 척도 활용 디지털 기술 활용 수출에

대한 전망 및 역량

- 농식품 수출 전망, 온라인 수출 전망, 디지털 기술 활용을 위한 투자 계획, 온라인 수출 역량, 수출 확

대를 위한 필요조치 수요 - 5점 척도 활용

자료: 저자 작성.

수출 단계는 1) 수출 홍보 및 마케팅, 2) 판매 및 계약, 3) 물류 및 통관 등 세 단 계74)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계별 디지털 기술에 대한 수출업체의 기술 인지도, 사용 여부, 사용 플랫폼, 직접 또는 대행(위탁) 여부, 기술 활용 난이도, 수출 확대 유용성,

74) 기존의 거래선 확보 및 계약, 물류 및 통관, 외환·보험, 고객관리의 4단계 구분을 설문지 구성과정에 서 단계별 연관성 및 응답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3단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만 본 문의 내용은 연구의 일관성을 위해 기존의 4단계 구분에 따랐다.

제4장 디지털 기술의 농식품 교역 활용 가능성 및 활용 실태 조사 분석 | 129 도입 효과, 미도입 이유, 애로 사항, 온라인 모바일 마케팅 지원사업 만족도, 디지털 기술 활용 수출에 대한 전망 및 역량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2.1.4. 설문 응답 업체의 주요 특성

수출업체의 종사자 수, 대표자 성별, 대표자 연령, 대표자 학력, 2020년 매출액, 2020년 수출액, 2020년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율, 업체 고객 비율, 2020년 온라인 매출액, 소재권역에 따라 응답 업체의 주요 특성을 간단히 정리하였다<표 4-4>.75) 그리고 온라인 플랫폼 활용과 물류배송에 주목하기 위해 온라인 수출 및 신선 농 식품 수출 취급 여부를 구분하였다. 신선 농식품을 일부라도 수출할 경우 신선 농 식품 수출업체에 포함된다.

무작위 추출(random sampling)에 응답한 총 295개 업체 중 온라인 수출에 참여 하고 있는 기업은 115개(39.0%)이고 미활용 기업은 180개(61.0%)로 나타나 온라 인 플랫폼을 활용한 수출 참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0년 기준 온 라인 매출은 대부분 1억 원 이하로 응답하여 온라인 매출이 업체의 수출에 기여하 는 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 수출업체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수 출이 아직은 활발하지 않다.

온라인 수출기업 중 일반 농식품 수출업체 비율은 67.8%이고 신선 농식품을 수 출하는 업체는 32.2%이다. 반면, 온라인 수출을 하지 않는 기업 중 일반 농식품의 비율은 51.1%이고, 신선 농식품을 수출하는 업체의 비율은 48.9%이다. 신선 농식 품보다 일반 농식품의 온라인 수출 참여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 면, 온라인 수출을 하지 않고 일반 농식품을 수출하는 업체가 31.2%로 가장 큰 비 중을 차지하고 있고, 온라인 수출을 하지 않고 신선 농식품을 취급하는 수출하는 업체가 29.8%, 온라인 수출을 하는 일반 농식품 수출업체가 26.4%, 온라인 수출 을 하는 신선 농식품 수출업체가 12.5%로 가장 적다.

75) 설문 응답 업체의 주요 특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에 표로 제시하였다.

130 |

<표 4-4> 설문 응답 업체의 주요 특성

단위: 개수, %

전체

응답 업체수 N=295

온라인 수출함 N=115(39.0%)

온라인 수출 안 함 N=180(61.0%) 일반 농식품

N=78 (67.8%)

신선 농식품 N=37 (32.2%)

일반 농식품 N=92 (51.1%)

신선 농식품 N=88 (48.9%)

종사자 수

5인 이하 64 13 8 19 24

6~20인 이하 100 25 11 35 29

21~50인 이하 65 20 6 16 23

51~200인 이하 49 14 10 17 8

201인 이상 17 6 2 5 4

대표자 학력

고졸 이하 26 6 2 7 11

대학교 중퇴 또는 졸업 183 40 20 60 63

대학원 이상 86 32 15 25 14

2020년 매출액

10억 원 이하 69 27 10 18 14

10억 원 초과~50억 원 이하 87 19 9 30 29

50억 원 초과~100억 원 이하 44 10 4 15 15

100억 원 초과~500억 원 이하 64 13 10 20 21

500억 원 초과 31 9 4 9 9

2020년 수출액

5억 원 이하 137 44 18 42 33

5억 원 초과~20억 원 이하 70 20 7 24 19

20억 원 초과~50억 원 이하 46 6 7 15 18

50억 원 초과~200억 원 이하 32 4 4 11 13

200억 원 초과 10 4 1 0 5

업체 고객 비율

50% 이하 37 12 9 12 4

50% 초과 258 66 28 80 84

2020년 온라인 매출액

1억 원 이하 114 76 37 -

-1억 원 초과~5억 원 이하 2 2 0 -

-5억 원 초과~10억 원 이하 0 0 0 -

-10억 원 초과 0 0 0 -

-자료: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온라인 수출 품목으로는 면류, 장류, 음료, 커피, 홍삼, 고춧가루 등 상온으로 운 송이 가능한 농식품이 대부분이며, 신선 농식품 업체의 온라인 수출은 키위, 떡류, 우유, 고구마 등 다양한 품목을 응답하였다. 다만 냉장 수출의 경우 냉동 수출에 비 해 일본, 중국 등 우리나라에 비교적 가까운 국가를 대상으로 하였고, 온라인 플랫

제4장 디지털 기술의 농식품 교역 활용 가능성 및 활용 실태 조사 분석 | 131 폼을 통한 수출보다 홍보의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 온라인 플 랫폼을 활용하여 상품을 홍보하지만 거래의 방식은 비온라인을 통한 수출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