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전자상거래와 현황 36)

1998~2016년 작업계획 수립 및

2. 국내외 디지털 무역 현황

2.2. 국내 전자상거래와 현황 36)

48 |

<그림 2-9> 일본 상품판매 분야 B2C 전자상거래 중 식품·음료·주류의 시장규모 추이 및 비중

자료: 일본 경제산업성(2020);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21: 2). 재인용.

제2장 디지털 무역 통상규범 및 현황 | 49

<그림 2-10> 분기별 온라인 해외 직접판매액·구매액 추이

단위: 억 원

자료: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https://kostat.go.kr/, 검색일: 2021. 7. 5.).

2020년 품목별 온라인 해외직접판매액은 화장품이 5조 878억 원(85.0%)으로 가장 비중이 높고, 음·식료품과 농축수산물은 각각 257억 원(0.4%), 1.5억 원 (0.0%)을 차지하고 있다. 해외직접구매액은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이 1조 5,600억 원(38.3%)으로 가장 비중이 높고, 음·식료품은 1조 1,022억 원(27.1%)으로 높은 수준이다. 농축수산물 비중은 110억 원(0.3%)을 차지한다<표 2-6>. 2016년과 비 교하였을 때, 해외직접판매액 중 음·식료품과 농축수산물의 감소와 해외직접구매 액 증가 요인은 각각 중국에 대한 판매 감소와 미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가 요인 으로 작용하였다.

50 |

<표 2-6> 품목별 온라인 해외직접판매액과 해외 직접구입액 변화

단위: 백만 원

구분 

해외직접판매액 해외직접구매액

2016 2020 2020/

2016 2016 2020 2020/

2016  합계 2,293,380 5,982,381 160.9 1,907,882 4,067,719 113.2 컴퓨터 및 주변기기 14,334 19,255 34.3 44,198 52,136 18.0 가전·전자·통신기기 66,618 55,017 -17.4 192,102 338,031 76.0

소프트웨어 1,016 1,061 4.4 5,153 15,106 193.1

서적 14,776 27,207 84.1 14,358 29,031 102.2

사무·문구 5,627 5,843 3.8 8,376 17,450 108.3

음반·비디오·악기 23,774 213,841 799.5 7,242 10,005 38.2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359,601 366,588 1.9 729,664 1,559,960 113.8 스포츠·레저용품 19,621 21,050 7.3 32,673 91,554 180.2 화장품 1,637,594 5,087,824 210.7 131,515 206,982 57.4 아동·유아용품 23,366 18,343 -21.5 63,466 66,208 4.3 음·식료품 32,987 25,697 -22.1 442,836 1,102,220 148.9

(비중) 1.4% 0.4% - 23.2% 27.1%

-농축수산물 733 150 -79.5 5,568 11,030 98.1

(비중) 0.0% 0.0% - 0.3% 0.3%

-생활용품 및 자동차용품 53,462 36,570 -31.6 149,863 246,598 64.5 기타 39,871 103,935 160.7 80,874 321,408 297.4 주: 해외직접판매액의 판매유형은 면세점 및 면세점 이외로 구성.

자료: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https://kostat.go.kr/, 검색일: 2021. 7. 5.).

국내 전자상거래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38)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에 따 르면, 전체 소매판매액 중에서 온라인쇼핑 상품거래액의 비중은 2019년 21.4%

(101조 원)에서 2020년 27.2%(129조 원)로 27.3% 증가하였다. 특히, 전체 온라인 쇼핑 거래액에서 음·식료품과 음식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 며,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음식료품, 음식 배달서비스의 비중은 더욱 상승했다.

38) 통상 전자상거래는 B2B(Business to Business)와 B2C(Business to Consumer)로 구분된다.

통계청에서는 2014년부터 B2C(C2C 포함)를 대상으로 온라인 쇼핑 거래액을 집계함.

제2장 디지털 무역 통상규범 및 현황 | 51 2021년 1/4분기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 분기 대비 21.3% 증가한 44조 6,917억 원이며, 음식서비스는 71.9% 증가한 5조 9,328억 원, 음·식료품은 32.8%

증가한 6조 325억 원, 농축수산물은 34.9% 증가한 1조 9,962억 원, 가전·전자·통 신기기는 35.2% 증가한 5조 2,405억 원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그림 2-11>.

특히, 그동안 온라인 거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았던 농축수산물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조 원(2021년 1/4분기)에 근접할 정도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림 2-11> 음식료품·음식서비스·농축수산물의 분기별 온라인 거래액 추이(’14~’21)

단위: 억 원

주 1) 음식료품: 공산품류(커피, 차, 음료, 생수, 설탕, 식용유 등), 김치, 장류 및 장아찌류 등.

2) 농축수산물: 곡물, 육류, 어류, 채소, 과실, 신선식품류 등.

3) 음식서비스: 온라인 주문 후 조리되어 배달되는 음식(피자, 치킨 등 배달서비스).

4) 온라인 거래액=인터넷 쇼핑 거래액+모바일 쇼핑 거래액.

자료: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https://kostat.go.kr/, 검색일: 2021. 7. 5.).

참고로 정보화통계집(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39)을 통해 최근의 B2B 시장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2019년에 전체 사업체의 50.7%가

39) 전국의 종사자 수 10인 이상 민간 부문의 모든 기업체(222,218개)를 모집단으로 12,500개의 목 표 표본수에 대한 면접 조사를 기본으로 작성됨(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2020 정보화통계집,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2156

&bcIdx=22979&parentSeq=22979, 검색일: 2021. 4. 5.).

52 |

전자상거래를 통한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발주)를 했으며, 종사자 규모가 클수록 전자상거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판매(수주)의 경 우, 사업체의 비중은 19.5%이며, 판매업체들의 총 판매액 대비 전자상거래 판매 액의 비율은 37.5%인 것으로 나타났다.40)

종합하면, 국내에서는 코로나19를 계기로 농식품 소비·구매 패턴이 급격히 변 하면서 농식품의 온라인시장이 더욱 더 빠르게 오프라인시장을 대체할 것 예상된 다. 국내시장에서는 농식품 구매가 대형유통채널보다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이루어지는 비율이 1년 사이에 급격히 높아졌다.41) 국내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도 비대면거래가 불가피한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무역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