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국경 간 전자상거래 추이

1998~2016년 작업계획 수립 및

2. 국내외 디지털 무역 현황

2.3. 우리나라의 농식품 국경 간 전자상거래 추이

52 |

전자상거래를 통한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발주)를 했으며, 종사자 규모가 클수록 전자상거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판매(수주)의 경 우, 사업체의 비중은 19.5%이며, 판매업체들의 총 판매액 대비 전자상거래 판매 액의 비율은 37.5%인 것으로 나타났다.40)

종합하면, 국내에서는 코로나19를 계기로 농식품 소비·구매 패턴이 급격히 변 하면서 농식품의 온라인시장이 더욱 더 빠르게 오프라인시장을 대체할 것 예상된 다. 국내시장에서는 농식품 구매가 대형유통채널보다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이루어지는 비율이 1년 사이에 급격히 높아졌다.41) 국내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도 비대면거래가 불가피한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무역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제2장 디지털 무역 통상규범 및 현황 | 53 수출통관 신고자료(일반신고, 간이신고, 목록제출(특송, 우편))에 기반한 관세 청의 전자상거래 수출통계는 온라인면세점 판매액을 포함하지 않는 반면, 온라인 사업체를 전수조사하여 작성되는 통계청의 해외직접판매 통계는 외국에 입점해 있는 한국의 온라인면세점 매출까지 수출로 집계한다. 이로 인해 통계청과 관세 청의 수출통계 차이는 2015년 7.2배에서 2018년 8.6배로 증가했다(배찬권 외 2019). 또한 관세청의 전자상거래 수출 통계는 신고되지 않는 거래를 포함하지 않 기 때문에 실제 전자상거래 수출 규모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43)

수출업체의 영세성이 더 두드러지는 농식품의 경우, B2C 온라인 수출은 건당 규모가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특송업체(우체국)를 통해 통관목록만 제 출하거나44) 우체국에 통관·배송을 일괄의뢰하지 않고 개별 배송하는 방식으로 이 루어지고 있어 수출실적으로 집계되지 않은 부분이 매우 클 수 있다. 정도의 차이 가 있지만 전자상거래 수입의 경우도 이러한 통계의 부정확성이라는 문제점을 가 지고 있다. 2020년 통계를 기준으로 통계청과 관세청의 ‘농식품 온라인 B2C 수출 입 규모’를 비교하면, 수입은 1조 1,132억 원(통계청)과 9억 4,763억 달러(관세청) 로 유사하지만, 수출은 285억 원(통계청)과 827만 달러(관세청)로 3배가량 차이 가 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특히 수출) 통계의 문제점으로 인해 정확한 실태 파악이 어 려운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재상거래에 관한 공식적인 통계는 통 계청의 온라인 해외직접판매·구매 통계와 관세청의 전자상거래 수출입 통계이다.

이들 통계를 활용해 농식품의 전자상거래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다고 하

43) 많은 영세·중소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직접신고의 어려움이나 소요되는 수수료 등의 이유로 수출신 고를 기피하거나 수출신고를 생략 가능한 방식을 선택함. 즉, FOB 200만 원 이하에 해당하는 소액 물품의 경우 세관에 별도 신고 없이 우편 등을 이용해 해외배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송 목록 통관 이나 국제특급우편(EMS)의 경우 수출신고 없이 누락되는 경우가 많음. 이로 인해 면세점 통계를 제 외하더라도 2018년 통계청의 전자상거래(B2C) 수출통계는 관세청의 1.6배에 이름.

44) 현재 통관목록 제출 시 수출신고 생략이 가능한데(관세법시행령 제246조, 제261조), 이 경우 운송 업체가 통관목록을 제출하나 수리행위가 없기 때문에 수출신고로 간주되지 않음(통관목록에 HS Code나 사업자번호가 기재되지 않으면서 수출통계의 부정확성이 초래됨).

54 |

더라도 대략적인 추이와 구성을 가늠하는 데는 일정 부분 유용성이 있을 것이 다.45) 따라서 이하의 통계 수치에 대해서는 내재되어 있는 집계상의 오류나 한계 점을 감안하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통계청의 해외직접구매·판매액 추이를 보면, 농식품의 수입은 2018년 이래 빠 르게 성장하고 있는 데 반해, 농식품의 수출은 2020년 1분기에 최고치(155억 원) 를 기록한 이후 2021년 1분기에는 60% 이상 감소한 61억 원에 불과하다. 국가별 농식품의 해외직접구매는 주로 미국으로부터 이루어지지만 최근 중국으로부터 의 온라인 B2C 수입도 늘어나면서 점차 미국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그림 2-12> 우리나라의 對세계 농식품(음식료품과 농축수산물) 해외 직접구매·판매액 비교

단위: 백만 원

주: 해외직접판매액은 면세점과 면세점 이외의 판매유형을 포함.

자료: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https://kostat.go.kr/, 검색일: 2021. 7. 5.).

45) 최근 관세청에서도 이러한 전자상거래 통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음.

제2장 디지털 무역 통상규범 및 현황 | 55

<표 2-7> 국가별 온라인 농식품 해외직접구입액 변화

단위: 백만 원

구분

해외 직접구매액

연도별 비교 분기별 비교

2016 2020 ’20/’16 2016(Q1) 2021(Q1) ’21(Q1)/’16(Q1) 전 세계 442,836 1,102,220 2.49 105,128 334,887 3.19

(100.0) (100.0) (100.0) (100.0)   미국 337,302 808,422 2.40 81,440 231,391 2.84

(비중 %) (76.2) (73.3) (77.5) (69.1)  

중국 2,645 49,552 18.73 523 24,307 46.48

(비중 %) (0.6) (4.5) (0.5) (7.3)  

일본 13,746 25,278 1.84 2,914 9,490 3.26

(비중 %) (3.1) (2.3) (2.8) (2.8)  

아세안 2,832 9,052 3.20 313 6,126 19.57

(비중 %) (0.6) (0.8) (0.3) (1.8)  

유럽연합 76,771 140,082 1.82 16,860 37,342 2.21

(비중 %) (17.3) (12.7) (16.0) (11.2)  

대양주 13,050 66,974 5.13 2,696 21,317 7.91

(비중 %) (2.9) (6.1) (2.6) (6.4)  

자료: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https://kostat.go.kr/, 검색일: 2021. 7. 5.).

농식품의 해외직접판매는 과거 중국의 비중이 매우 높았으나 점차 일본, 동남 아, 미국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림 2-13>, <표 2-8>. 2021년 1 분기의 경우 처음으로 對일본 해외직접판매액이 對중국 해외직접판매액보다 많 았으며,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에는 對아세안 해외직접판매의 비중이 17.3%에 이르렀다.

56 |

<그림 2-13> 우리나라의 국가별 농식품 해외 직접판매액 추이

단위: 백만 원

주: 기타 국가는 미국, 중국, 일본, 아세안(ASEAN) 국가, 유럽연합(EU) 국가, 대양주 국가, 중동 국가, 중남미 국가를 제외한 국가.

자료: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https://kostat.go.kr/, 검색일: 2021. 7. 5.).

<표 2-8> 국가별 온라인 농식품 해외 직접판매액 변화

단위: 백만 원

구분

해외 직접판매액

연도별 비교 분기별 비교

2016 2020 ’20/’16 2016(Q1) 2021(Q1) ’21(Q1)/’16(Q1) 전 세계 33,720 25,847 0.77 8,607 6,082 0.71

(100.0) (100.0) (100.0) (100.0)

미국 1,187 2,785 2.35 555 617 1.11

(비중 %) (3.5) (10.8) (6.4) (10.1)

중국 25,545 9,650 0.38 6,770 1,670 0.25 (비중 %) (75.8) (37.3) (78.7) (27.5)

일본 4,692 4,723 1.01 861 3,526 4.10

(비중 %) (13.9) (18.3) (10.0) (58.0)

아세안 1,208 4,477 3.71 178 171 0.96

(비중 %) (3.6) (17.3) (2.1) (2.8)

유럽연합 110 428 3.89 24 12 0.50

(비중 %) (0.3) (1.7) (0.3) (0.2)

자료: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https://kostat.go.kr/, 검색일: 2021. 7. 5.).

제2장 디지털 무역 통상규범 및 현황 | 57 HS 세번이나 품목별로 살펴볼 수 있는 관세청 통관자료에 따르면, 2020년 농식 품 전자상거래 수입은 9억 5천만 달러이고, 가공식품이 상위 25개 품목의 대부분 을 차지하며, 미국, EU, 호주, 뉴질랜드 등 낙농 및 유제품 선진국들이 주요 수입대 상국이다<표 2-9>.

<표 2-9> 2020년 전자상거래(관세청 통관자료 기준)에 의한 농식품 수입 현황(200만 달러 이상)

단위: 천 달러

구분 미국 EU 호주 뉴질

랜드 중국 일본 캐나다 영국 ASEAN 상위 9개국 총액 농식품 전체 684,526 119,593 32,460 31,733 22,695 20,407 10,408 10,100 6,705 938,627 947,626 조제품 기타 578,481 26,520 26,534 27,725 3,845 11,286 9,634 977 2,664 687,665 691696 조제분유 935 38,000 314 4 25 6 2 159 3 39,448 39449 인스턴트 커피 3,394 26,106 222 83 64 354 63 1,231 350 31,868 31926 초콜릿과 초콜릿과자 8,629 2,346 802 359 19 423 57 88 25 12,746 12854 양모로 만든 것 250 6,054 10 0 1,761 218 34 545 304 9,176 10043 캔디류 4,242 3,112 461 307 521 931 41 28 114 9,756 9800 비스킷, 쿠키 및 크래커 5,366 187 398 119 988 620 44 71 609 8,400 9576 성찬용, 실링 웨이퍼 5,391 474 105 46 112 554 54 50 379 7,166 7185 인스턴트커피의 조제품 647 5,401 16 1 0 40 1 911 31 7,049 7051 베이커리 제품 3,911 23 6 2 2,543 70 3 3 18 6,580 6632 개사료 1,582 76 14 4 2 22 17 4,462 1 6,178 6179 혼합조미료 3,467 100 14 5 1,383 255 4 7 31 5,266 5283 설탕과자류 3,601 40 395 42 490 511 4 6 49 5,138 5263 천연꿀 3,379 15 876 748 6 2 43 3 2 5,073 5079 차, 마태 등 조제품(기타) 2,443 533 73 30 826 326 24 346 286 4,887 4954 식물성 산물(식용) 410 4 1 3,186 6 0 0 5 3,611 4926 과실견과기타 2,373 87 24 137 579 15 8 4 93 3,322 3333 차, 마태 등 조제품 2,165 117 22 23 440 78 10 91 238 3,183 3330 홍차와 부분발효차 377 1,815 28 6 190 113 37 62 446 3,074 3289 기타(무알코올 음료) 2,552 55 6 3 446 104 11 12 15 3,204 3222 인조꿀 1,426 102 926 555 12 3 67 4 41 3,137 3139 혼합쥬스(과실, 채소 이외) 1,769 480 5 182 45 5 2 2 191 2,681 2704 단백질 농축물 2,421 1 2 0 0 2 9 2 0 2,438 2438 로열제리, 벌꿀조제품 604 123 542 866 38 4 57 29 17 2,280 2281 포도주 1,226 795 118 1 7 12 2 63 0 2,223 2276 곡류제조품 1,814 42 39 2 110 218 4 7 8 2,243 2245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58 |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전체 농식품 수입에서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입이 차지하 는 비중은 2016년 1.6%에서 2021년(4월 누적합계 기준) 3.5%까지 증가했다.

<표 2-10> 전체 농식품 수입 중 전자상거래의 비중

단위: 천 달러 구분(거래형태)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농식품 수입 전체 24,087,348 25,796,718 28,094,749 28,312,730 28,924,614 10,934,556

일반 23,517,045 25,096,176 27,257,429 27,297,394 27,749,536 10,473,138 전자상거래 378,143 492,043 606,048 781,313 947,626 387,439

기타 570,303 700,542 837,320 1,015,336 1,175,078 461,418

전자상거래 비중(%) 1.6 1.9 2.2 2.8 3.3 3.5

주 1)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2) 기타는 OEM, SOFA 수입, 계약상 부족품 수입, 국내투자, 국산수출 크레임 반입, 국외가공 후 수입, 기타 수입승인 면제, 기타차관, 무료 수입, 무상 견본품, 미국납품 수입, 방위, 소유권이전 수입, 수출계약 이행 용 수입, 수탁가공 수출용 원자재(외투업체, 일반), 수탁판매용 수입, 여행자 휴대품 수입, 연계무역 수입, 외교관물품 수입, 이사화물 수입, 자유무역지역 입주, 조선용 원자재 등 포함.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HS 2단위로 구분하여 농식품 전자상거래 수입 현황을 보면, 상위 5개(21류, 19류, 17류, 18류, 20류)의 비중은 93.1%에 달하며, 그중 21류(기타의 조제식료품)가 차 지하는 비중이 77.6%로 가장 크다.

<표 2-11> HS 2단위 농식품 수입 현황(상위 10개)

단위: 천 달러 구분(HS 2단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비중(%) 농식품 전자상거래 수입 전체 279,965 374,579 458,228 618,745 760,056 301,317 100.0 21류(기타의 조제식료품) 55,634 53,499 60,311 66,424 73,656 34,369 77.7 19류(곡물, 곡분의 주제품과 빵류) 7,341 16,594 15,540 24,493 22,783 7,410 9.6 17류(당류 설탕과자) 7,697 9,164 13,192 12,858 15,746 6,400 2.6 18류(코코아 초콜릿) 5,206 6,543 13,069 11,830 11,823 5,998 1.8 20류(채소/과실의 조제품) 5,534 7,825 13,006 9,029 7,513 3,929 1.5 09류(커피/차/향신료) 2,721 4,636 6,367 6,772 11,466 8,060 1.3 22류(음료,주류,식초) 2,736 3,729 6,209 6,203 7,119 2,904 1.1 04류(낙농품,조란,천연꿀) 1,247 3,039 5,069 7,356 8,782 3,570 0.8 23류(조제사료) 1,044 2,099 3,801 6,582 10,979 3,079 0.8 61류(의류(편물제)) 1,044 2,099 3,801 6,582 10,979 3,079 0.8 주: 비중은 분석기간 총액을 기준으로 함,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제2장 디지털 무역 통상규범 및 현황 | 59

<그림 2-14> HS 2단위별 농식품 수입 현황(2016~2021 합계 기준)

단위: 천 달러

주: 비중은 분석기간 총액을 기준으로 함,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주요 품목별(AG 실품목 기준)로 수입 현황을 보면, 상위 5개(혼합조제식료품, 조제분유, 커피조제품, 초콜릿, 캔디)의 비중이 82.9%이며, 그중 혼합조제식료품 의 비중은 71.5%로,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표 2-12> 품목별 수입 현황(상위 10개)

단위: 천 달러 구분(AG 실품목)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비중(%) 농식품 전자상거래 수입 전체 378,143 492,043 606,048 781,313 947,626 387,439 100.0

조제품 기타 261,681 344,673 426,472 574,094 691,696 270,688 71.5 조제분유(유아용/소매용) 43,965 39,428 41,627 45,874 39,449 14,252 6.3 커피엑스, 에센스와 농축물 5,924 8,374 7,041 18,622 31,926 15,910 2.4 초콜릿과 초콜릿과자(기타) 4,931 6,522 11,378 10,127 12,854 4,616 1.4 캔디류 4,628 9,433 7,577 13,378 9,800 3,208 1.3 비스킷, 쿠키 및 크레커 7,260 6,658 6,270 6,269 9,576 4,914 1.1 성찬용 웨이퍼, 실링웨이퍼 1,773 3,246 4,671 5,918 7,185 3,618 0.7 양모로 만든 것 809 1,756 3,409 6,072 10,043 2,732 0.7 커피(볶은 것) 2,622 5,294 9,275 4,821 1,908 876 0.7 인스턴트커피의 조제품 3,038 3,467 3,271 3,075 7,051 962 0.6 주: 비중은 분석기간 총액을 기준으로 함.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60 |

농식품 전자상거래 수입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상위 5개국(미국, 독일, 뉴질랜 드, 일본, 호주)의 비중은 94%이며, 그중에서도 미국(73.2%)에 집중되어 있다.

<표 2-13> 국가별 수입 현황(상위 15개국)

단위: 천 달러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비중(%) 농식품 전자상거래 수입 전체 378,143 492,043 606,048 781,313 947,626 387,439 100.0

미국 285,626 366,549 451,593 566,830 684,526 274,921 73.2 독일 61,218 62,055 67,528 92,751 100,874 34,136 11.7 뉴질랜드 8,675 14,080 22,188 31,144 31,733 11,387 3.3

일본 11,097 25,930 24,168 23,124 20,407 11,060 3.2 호주 4,776 6,648 13,118 24,885 32,460 12,939 2.6 중국 1,353 1,331 2,967 7,701 22,695 12,596 1.4 영국 1,424 5,915 6,898 9,061 10,100 3,720 1.0 캐나다 910 2,313 3,392 5,842 10,408 5,093 0.8 프랑스 893 2,705 2,793 2,117 5,874 5,705 0.6 이탈리아 636 1,557 2,344 3,394 5,082 1,986 0.4

대만 511 884 873 1,003 786 300 0.1

싱가포르 29 146 165 484 1,674 1,922 0.1 포르투갈 25 90 402 863 1,672 401 0.1

스페인 56 47 69 610 534 289 0.0

체코 1 162 216 646 573 110 0.0

주: 비중은 분석기간 총액을 기준으로 함,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2020년도 관세청의 농식품 전자상거래 수출은 827만 달러로 집계되었는데, 상 위 25개 품목은 대부분 가공식품이며, 조제품 기타와 홍삼류의 수출액이 높은 것 이 특징적이다. 미국, 일본, ASEAN, 중국, 홍콩 등 상위 10개국이 거의 모든 온라 인 수출대상국인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전자상거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0.0%에서 2021년 0.3%까지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매우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제2장 디지털 무역 통상규범 및 현황 | 61

<표 2-14> 2020년 전자상거래(관세청 통관자료 기준)에 의한 농식품 수출 현황 (5만 달러 이상)

단위: 천 달러 구분 미국 일본 ASEAN 중국 홍콩 캐나다 호주 EU 영국 러시아 상위

10개국 총액 농식품 전체 2,694 2,418 1,857 1,039 62 54 35 31 17 16 8,224 8,272 조제품 기타 150 1,600 1,268 113 3 6 4 2 1 2 3,149 3153 인삼류(홍삼엑스) 73 370 452 0 5 2 2 2 2 4 911 916

홍삼조제품 193 140 13 1 1 1 4 1 1 3 358 361

사료첨가제 294 0 0 4 0 298 298

조제분유(유아용/소매용) 1 2 295 297 297

양모로 만든 것 58 53 3 35 38 21 19 12 7 2 247 263

분쇄물, 조분(쌀의 것) 201 0 0 2 203 204

곡분 8 0 192 0 200 200

라면 160 0 9 7 0 1 0 1 1 0 180 180

소스, 소스 제조용 조제품 156 2 2 1 0 2 1 1 0 0 164 164

혼합조미료 134 0 1 0 1 137 137

냉동크림 외 기타 120 120 120

간장 114 0 1 0 116 116

쌀과자 112 0 0 0 0 1 0 113 113

콘 칩 107 0 1 108 108

성찬용, 실링 웨이퍼 101 0 0 1 101 101

비스킷, 쿠키 및 크래커 65 2 1 8 0 0 0 0 0 2 80 80

설탕과자류 1 64 1 2 0 0 68 69

락트산 66 66 66

조제식료품기타(곡물) 53 0 1 0 54 54

초콜릿과 초콜릿과자 49 0 0 50 50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62 |

<표 2-15> 전체 농식품 수입 중 전자상거래의 비중

단위: 천 달러 구분(거래형태)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농식품 수출 전체 6,159,493 6,469,530 6,518,933 6,695,509 7,244,736 2,607,305 일반 5,942,727 6,243,991 6,249,404 6,500,609 7,032,334 2,508,850 전자상거래 2,318 2,140 2,723 2,528 8,272 8,925 기타 216,766 225,539 269,529 194,900 212,402 98,455

전자상거래 비중(%) 0.0 0.0 0.0 0.0 0.1 0.3

주 1)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2) 기타에는 국외가공 후 수출, 기타 수출승인 면제물품, 대외원조 수출(민간, 정부원조), 무상으로 반출하는 상품의 견품 및 광고용품, 소유권이전 조건부 수출, 수입된 물품이 계약내용과 상이하여 반출하는 물품, 수출된 물품이 계약내용과 상이하여 반출하는 물품, 수출물품의 성능보장 기간 내에 당해 물품의 수리 또 는 검사를 위하여 반출하는 물품, 수탁가공 수출용 원자재(외투업체, 일반), 연계무역에 의한 물품의 수출 (구상무역 포함), 외국물품을 수입통관 후 원상태로 수출, 위탁판매 수출, 해외이주법에 의한 해외 이주자 가 반출하는 원자재, 시설재, 장비 등 물품의 수출(해외이주자 물품), 해외투자 수출(현물투자 포함), 기타 가 포함됨.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HS 2단위별로 농식품 수출 현황을 보면, 상위 5개(21, 19, 09, 13, 20)류 비중의 합은 81.9%로 대부분을 차지한다<표 2-16>.

<표 2-16> HS 2단위 농식품 수출 현황(상위 10개)

단위: 천 달러 구분(HS 2단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비중(%) 농식품 전자상거래 수출 전체 2,318 2,140 2,723 2,528 8,272 8,925 100.0 21류(기타의 조제식료품) 1,083 1,045 1,275 1,138 4,191 3,851 46.8 19류(곡물, 곡분의 주제품과 빵류) 558 443 355 481 1,081 1,161 15.2 09류(커피/차/향신료) 103 40 30 7 35 2,479 10.0 13류(식물성 엑스) 48 34 19 111 929 401 5.7 20류(채소/과실의 조제품) 111 34 454 276 132 129 4.2 11류(곡물의 분과 조분말가루 전분) 3 1 1 17 453 173 2.4

24류(담배) 156 231 222 3 15 3 2.3

61류(의류(편물제)) 0 0 37 137 294 139 2.3

17류(당류,설탕과자) 101 128 28 46 173 82 2.1

44류(목재,목탄) 43 43 106 23 87 193 1.8

주: 비중은 분석기간 총액을 기준으로 함.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제2장 디지털 무역 통상규범 및 현황 | 63

<그림 2-15> HS 2단위별 농식품 수출 현황(2016~2021 합계 기준)

단위: 천 달러

주: 비중은 분석기간 총액을 기준으로 함,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

주요 품목별(AG 실품목 기준)로 수출 현황을 보면, 상위 5개(혼합조제식료품, 홍차, 조제분유, 홍삼정, 홍삼제조품)의 비중은 55.5%로 수입과 비교할 때 특정 품 목에 편중되어 있지 않다<표 2-17>. 수출액 기준으로 조제품 기타(30.2%)의 비중 이 가장 크며, 2020년까지 수출이 미미했던 홍차가 2021년에 수출량이 크게 증가 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표 2-17> HS 2단위 농식품 수출 현황(상위 10개)

단위: 천 달러 구분(AG 실품목)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비중(%) 농식품 전자상거래 수출 전체 2,318 2,140 2,723 2,528 8,272 8,925 100.0

조제품 기타 327 570 966 827 3,225 2,342 30.2

홍차와 부분 발효차 7 2 4 0 1 2,458 9.1

조제분유(유아용/소매용) 452 338 156 270 297 56 5.8 인삼류(홍삼엑스) 45 28 15 108 917 399 5.6

홍삼조제품 494 197 95 82 381 184 4.8

혼합조미료 93 22 445 255 64 113 2.5

필터담배 82 115 81 13 31 407 2.3

양모로 만든 것 23 64 149 64 194 191 2.1 과실견과기타 122 108 116 113 66 142 2.0 비스킷, 쿠키 및 크래커 11 1 2 3 137 509 2.0 주: 비중은 분석기간 총액을 기준으로 함, 2021년의 경우 4월까지의 합계임.

자료: 관세청의 통관자료(농식품 품목별·국가별 수출입통계, 별도 구입)를 활용하여 작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