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범정부 무역 디지털 전환 정책

제3장

1. 국내 디지털 무역 정책

1.1. 범정부 무역 디지털 전환 정책

1.1.1. 온라인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 지원

가. 온라인 플랫품 구축 및 확대 지원

국내 대표 3대 온라인 플랫폼인 코트라의 ‘바이코리아’, 중진공의 ‘고비즈코리 아’, 그리고 무역협회의 ‘트레이드코리아’의 세계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기능적 통합을 추진한다. 플랫폼별 상품 정보과 거래기능을 개편하여 온라인 B2B의 수 출 구심점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그림 3-2>. 이를 통하여 2025년까지 온라인 수 출로 100억 달러 달성과 세계 5위 이내 한국형 B2B 플랫폼으로 육성을 목표로 한 다. 또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10대 산업을 중심으로 3대 플랫폼의 상품 정보와 거래 정보를 고도화시켜 자동 검수 시스템을 적용하여 상품 정보를 보완하고 최신 화시킬 예정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상담·계약·결제·물류를 포함한 수출거래

47) 농식품 부문 온라인 수출정책의 현 위치와 개선점 및 향후 추진 방향을 파악하고자 ① 관계부처 합 동의 ‘무역 디지털 전환대책’, ② 2021년 농림축산식품부의 주요업무 추진계획, ③ 한국농수산식 품유통공사의 2021년 주요사업 추진계획, ④ 지방자치단체별 온라인 농식품 수출 관련 지원정책 네 가지 종류의 정책 문서를 정리하여 <부표 6-1>에 제시하였다.

제3장 농식품 디지털 무역 지원정책 | 71 전 과정의 온라인 지원 기능을 보강할 계획이다. 또한 3대 플랫폼 간 API 연동(상 품정보 DB 연계)시켜 통합 포털화를 추진하고 해외 바이어의 문의정보에 바로 대 응할 수 있도록 3개 플랫폼의 공동 매칭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입점 기업을 대상으로 인센티브와 공동 브랜딩·마케팅을 지원한다. 이는 입점 기 업 및 실적 우수기업에 인센티브와 무역보험을 우대하며, O2O 연계 서비스를 패 키지로 제공한다.

<그림 3-1> 3대 B2B 플랫폼 기능적 통합 방안

단계 ① 정보 등록 ② API 연동 ③ 정보 관리

국내기업 → 상품정보 입력, 3대

플랫폼 활용 동의 → 등록된 상품정보 3대

플랫폼에 모두 노출 → 정보수정 시 모든 팰랫폼 동시 적용 해외

바이어 → 오퍼정보 입력, 3대

플랫폼 활용 동의 →

매칭이 불가능한 해외 바이어 오퍼 다른

플랫폼 이관

→ 인콰이어리 상호 활용, 기업 매칭

자료: 관계부처 합동(2020). 무역 디지털 전환 대책(https://www.motie.go.kr/motie/py/td/tradeinvest /bbs/bbsView.do?bbs_seq_n=210321&bbs_cd_n=72&currentPage=1&search_key_n=&cate _n=2&dept_v=&search_val_v=, 검색일: 2021. 9. 15.).

한국형 B2B 플랫폼의 글로벌화를 위하여 글로벌 플랫폼과 전략적 협력 강화를 도모한다(<그림 3-2> 참조). 쇼피·아마존·알리바바 등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에 ‘3 대 B2B 플랫폼 공동 한국관’을 구축하고 국내외 플랫폼 운영사(중진공, 무역협회, 코트라, 플랫폼 기업 등)와 다자간 협약을 추진한다.

<그림 3-2> 해외 글로벌 B2B 플랫폼과의 포괄적 협력 방안

글로벌

플랫폼 미국 중국 홍콩 인도 대만 인도

⇧ 3대 B2B 플랫폼 브랜드로 자동 등록 지원

3대 플랫폼

Korea B2B Platform

자료: 관계부처 합동(2020). 무역 디지털 전환 대책(https://www.motie.go.kr/motie/py/td/tradeinvest /bbs/bbsView.do?bbs_seq_n=210321&bbs_cd_n=72&currentPage=1&search_key_n=&cate _n=2&dept_v=&search_val_v=, 검색일: 2021. 9. 15.).

72 |

나. 온라인 전시·상담회 생태계 조성

온·오프라인 전시회를 연계하는 O2O 전략으로 세계 수준의 종합 전시 경쟁력 확보를 추진한다. 또한 온라인으로 디지털 전환 정보 전달 시스템을 강화하고자 온라인 상담회 생태계를 조성 및 정착시킨다. 이는 크게 두 단계로 추진된다. 첫 번 째 단계로 업종별 대표 온라인 전시관 및 상담회를 구축하여 활용성을 강화한다.

이렇게 생태계를 조성한 후, 두 번째 단계로 세계 7대 산업 글로벌 O2O 전시회를 육성하여 글로벌화를 도모한다.

‘온라인 전시관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업종별 프리미엄 온라인 상설전시관을 구축 및 고도화시켜 향후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등을 탑재한 기능이 고도화된 온 라인 전시회를 추진한다. 특히 10대 업종을 중심으로 향후 농식품·환경·서비스 등 까지 포함시킨다. 또한 ‘온라인 전시관 활용성 강화’를 위하여 국내 3대 B2B 플랫 폼과 연동시키고 마케팅 강화, 성과 관리, 정보 교류를 통하여 입점 기업의 수출 거 래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림 3-3> 온라인 상설 전시관과 B2B 수출 플랫폼 연동 방안

3대 B2B 온라인 수출 플랫폼

↕ ↕ ↕ ↕ ↕ ↕ ↕ ↕

섬유 전시관 +

바이오 헬스

전시관 + 전자

전시관 +  +

전시관식품

+ 방산

전시관 + 환경

전시관 + 

◇관계부처·유관기관(중진공, 코트라 등) 협업을 통해 범부처 종합 지원체계 구축

* 농식품부, 해수부, 환경부, 방사청, 소방청 등

자료: 관계부처 합동(2020). 무역 디지털 전환 대책(https://www.motie.go.kr/motie/py/td/tradeinvest /bbs/bbsView.do?bbs_seq_n=210321&bbs_cd_n=72&currentPage=1&search_key_n=&cate _n=2&dept_v=&search_val_v=, 검색일: 2021. 9. 15.).

제3장 농식품 디지털 무역 지원정책 | 73 1.1.2. 온라인 수출초보기업 육성 및 체계구축

가. 수출초보기업 발굴 및 역량강화

수출기업을 발굴하고, 수출기업이 초보단계를 벗어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국내외 수출 및 투자 네트워크를 질적·양적으로 확대한다. 특히 수출초보 기업을 대상으로 마케팅 등 범부처 합동으로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수출유망 기업으로 육성한다. 특히 글로벌 온라인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과 ‘기업-스타트 업’ 간의 매칭으로 역량 강화를 도모한다.

‘수출초보기업 대상 B2B·B2C 지원’으로 수출 유망품목 온라인 플랫폼 입점 확 대를 추진한다. 또한 온라인 직수출 지원, 해외 플랫폼 활용 그리고 국가브랜드를 연계한 마케팅을 지원하여 수출기업화를 추진한다. 특히 R&D·펀드 신설, 기업-스타트업 매칭을 지원한다. 그리고 ‘기업-스타트업 역량강화’로 해외 비즈니스 전주기 컨설팅, 비대면 자금 및 판로 마케팅 확대, 글로벌 B2B 플랫폼 교육 등을 통하여 스타트업의 역량을 강화시키며, 기업-스타트업 매칭으로 원격 교류 및 홍보를 지 원한다<부표 6-1>.

<표 3-1> 국가브랜드 연계를 통한 유망품목의 K마케팅 강화

국가브랜드 마케팅 방안

K-푸드 - 해외 플랫폼 한국관 확대(’20. 2개 → ’21. 5개) + 신남방 3개국 온라인 박람회(11월) - 라이브 방송 및 영상 제작을 위한 디지털 홍보센터 구축(’21)

K-시푸드 - 해외 플랫폼 한국관 확대(’20. 1개 → ’21. 5개) + 중국 등 14개국 온라인 수출상담회(11월) - 2020 K-SEAFOOD Global Weeks 행사 개최(미국 등 11개국, 11월)

K-방역 - 코로나19 온라인 전시관 구축 + K-방역 특별 전시회 개최 브랜드K - 국내 홈쇼핑 기업 해외 플랫폼 활용 특별기획전 개최

자료: 관계부처 합동(2020). 무역 디지털 전환 대책(https://www.motie.go.kr/motie/py/td/tradeinvest /bbs/bbsView.do?bbs_seq_n=210321&bbs_cd_n=72&currentPage=1&search_key_n=&cate _n=2&dept_v=&search_val_v=, 검색일: 2021. 9. 15.).

나. 수출 초보기업의 디지털 수출기업화 체계 구축

수출기업화 체계는 자금조달, 기업-스타트업 매칭, 화상상담·디지털 홍보 그리 고 수출 전 과정 원스톱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이 단계에서의 기업-스타트업 매칭

74 |

은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플랫폼 구축, 플랫폼 내의 글로벌 기 업 연계, 펀드 매칭시스템 확충 등에 집중되어 있다.

글로벌·온라인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의 활용을 강화하여 기업 간 매칭, 정보 제공, 비대면 소통행사를 통해 글로벌 혁신 및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 이는 향후 스 타트업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며 실질적인 ‘기업-스타트업’ 간의 매칭 촉진으로 온-오프라인 업무 협업 확대를 목표로 한다.

<그림 3-4> 글로벌·온라인 오픈 이노베이션 매칭시스템의 도식화

자료: 관계부처 합동(2020). 무역 디지털 전환 대책(https://www.motie.go.kr/motie/py/td/tradeinvest /bbs/bbsView.do?bbs_seq_n=210321&bbs_cd_n=72&currentPage=1&search_key_n=&cate _n=2&dept_v=&search_val_v=, 검색일: 2021. 9. 15.).

1.1.3. 온라인 수출 원활화를 위한 기반마련

가. 수출지원체계의 인프라·서비스 구축 및 개편

수출 지원 인프라와 서비스를 디지털 무역에 맞추어 선제 개편하여 자동화된 물류 인프라, 수출정보 서비스, 금융 서비스, 전자무역 서비스를 지원한다. 전자무 역기반(uTH 2.0) 개편을 통해 디지털 인프라를 강화하고 온라인으로 플랫폼을 연 결시키며, 이를 물류 인프라에도 적용하여 수출 전 과정의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한다.

물류 인프라 개편을 위해 물류 종합 플랫폼(물류종합포털)을 구축하고 중소기 업의 온라인 수출 물량 집적을 통하여 물류비를 절감한다. 또한 국내외 거점별 물

제3장 농식품 디지털 무역 지원정책 | 75 류 인프라를 확충하고 해외 현지 물류체계를 아마존 FBA 형식으로 구축한다. 금 융 서비스 부문은 무역 금융 빅데이터 자료를 제공하고 실시간 모바일 금융서비스 를 신설한다. 이는 향후 무역 사기 피해 방지 및 수출 과정에 있어 단계별 경보시스 템을 제공하며, 비대면 법률지원 서비스로도 연동시켜 국내 수출업체에 전방위적 금융지원을 제공한다.

‘전자무역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전자무역 시스템의 고도화와 통관 및 인증 제도의 전자화로 수출거래 내에서 금융, 물류, 통관 등 모든 과정이 원스톱으로 제 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자무역 기반 수출입업체, 공공 온라인 플랫폼, 물류 기업 등 여러 이해관계자의 협업이 요구되며 향후 전 프로세스 자동화를 추진한다

<그림 3-5>.

<그림 3-5> 新전자무역기반(uTH 2.0) 지원서비스

uTH 2.0 역할 무역단계 기관·플랫폼

최적 제조·무역업체 매칭

재고·생산관리 전자화 거래선 확보 전자무역

기반시설 ⇔

전자무역기 반시설로 종합 연계

⇓ ⇓ ⇓

전자계약 솔루션 제공

구매확인서 발급 등 연계 마케팅·계약 공공온라인

플랫폼 ⇔

⇓ ⇓ ⇓

수출금융 관련 서류

전자화·중계 외환·보험 외국환은행

무역보험공사 손해보험사

⇓ ⇓ ⇓

최적 배송방식 제안

수출신고서 생성·중계 물류·통관 물류기업

관세청 ⇔

⇕ ⇕ ⇕

전자무역기반사업자·공공 온라인 플랫폼 물류기업 등 협업 → 프로세스 자동화

자료: 관계부처 합동(2020). 무역 디지털 전환 대책(https://www.motie.go.kr/motie/py/td/tradeinvest /bbs/bbsView.do?bbs_seq_n=210321&bbs_cd_n=72&currentPage=1&search_key_n=&cate _n=2&dept_v=&search_val_v=, 검색일: 2021. 9. 15.).

76 |

나. 디지털 기반 수출 촉진 지원 체계 구축 및 확대

디지털 무역 핵심 지원기술을 개발하며 온라인 수출 전문가를 양성하여 수출 촉진 지원 체계의 인력양성을 추진한다. 그리고 법령·정책·통계 부문에서 디지털 무역을 고려하여 개정 및 개편한다.

먼저, 디지털 기반 수출 촉진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하여 인력양성 방안으로 디지 털 R&D와 인력지원을 강화한다. 향후 온라인 플랫폼 및 비대면 마케팅에 적용되 는 기술개발에 맞는 인력을 충원하고, 기존 인원의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원 한다. 추가적으로 온라인 수출 전문 인재 양성과 인재양성소(전자상거래 특성화 대학) 지정으로 중·장기적 융합인재를 양성한다.

디지털 무역 개념 및 범위, 진흥시책, 통계체계를 정비하고 대외무역법을 개정 한다. 또한 무역보험법을 개정하여 무보기금 출연가능 범위를 확대하고, 통계 개 편으로 B2C 거래 중심의 온라인 수출통계를 보완하여 B2C·B2B 및 상품·서비스 거래를 포함하는 국가 공식 통계인 ‘디지털 수출 통계’를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