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Codex

Codex35)는 1962년 FAO와 WHO가 합동으로 식품규격작업을 하면 서 그 일환으로 설립된 국제기구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식품관 련 법령·기준 및 규격을 제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식품안전에 대한 대중 관심의 지속적인 증가 속에서 Codex의 국제 식품 규격(Standards), 지침 (Guidelines), 실행규범(Codes of practice) 및 권고(Recommendations) 는 국제 식품 무역·교류의 안전성, 품질, 공정성에 근간이 되고 있다.

현재 회원국은 185개국에 유럽연합(EU)까지 총 186개이며, 회원기구 는 정부간 국제기구(IGO) 52개, 비정부기구(NGO) 154개와 UN기구 15 개를 포함하여 총 221개 기구가 참여하고 있다. 2014년 8월 기준으로 운 영중인 분과위원회는 23개이며, 통상 매년 한차례 정도 회의를 통해 국제 기준의 설정을 모색하고 있다. 지금까지 339종의 국제기준을 설정하였으 며, 이 기준은 WTO 회원국 사이에 통상마찰이 발생했을 때 관련 조치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Codex 각 분과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 업무내용은 <표

35) 자료: Codex 홈페이지

http://www.codexalimentarius.org/committees-and-task-forces/en/

분과위원회 개최일시 주요내용

분과위원회 개최일시 주요내용

분과위원회 개최일시 주요내용 malachite green, carbadox, furazolidone, nitrofural, chlorpromazine, stilbenes, olaquindox)

분과위원회 개최일시 주요내용

분과위원회 개최일시 주요내용

분과위원회 개최일시 주요내용

분과위원회 개최일시 주요내용

분과위원회 개최일시 주요내용

http://www.codexalimentarius.org

2. FAO

FAO36)는 정부기관을 비롯한 관련 산업 및 관계자와 함께 소비자의 식 품에 대한 안전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식품안전품 질부서(Food Safety and Quality Unity, AGND)는 식중독 발생을 줄 이고, 공정하고 투명한 무역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식 품안전 및 품질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경제 발전, 생계 개선 및 식량 안보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식품안전품질부서의 역할은 <표 3-20>에, 다루고 있는 주제는 <표 3-21>에 제시되어 있다.

〈표 3-20〉 식품안전품질부서의 역할

식품안전품질부서의 역

❍ 국제 식품 규격에 따른 식품안전과 영양에 대한 독립적인 과학자문을 제공

❍ 식품안전위기상황 관리를 포함하여 식품 관리 및 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기관 및 개인의 능력 개발

❍ 식품안전정책 체제 개발을 위한 과정 지원

❍ 정보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식품 안전 및 품질 네트워크의 개발 장려, 지지

자료: FAO Food safety and quality

http://www.fao.org/food/food-safety-quality/home-page/en/

36) FAO 홈페이지

http://www.fao.org/home/en/

〈표 3-21〉 식품안전품질부서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

식품안전품질부서에서 다루는 주제 목록

❍ 동물성 사료(Animal Feeds)

❍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 생물 보안(Biosecurity)

❍ 생명 공학(Biotechnology)

❍ 생물 독소(Biotoxins)

❍ 영계의 캄필로박터 종(Campylobacter spp. in broiler chickens)

❍ Codex 관련 역량 강화 활동(Capacity Building Activities related to Codex)

❍ 기후 변화: 식품 안전에 영향(Climate change: implication for food safety)

❍ 다이옥신(Dioxins)

❍ 염소 함유 살균제(Disinfectants containing chlorine)

❍ 영아용 조제분유의 엔테로박터 사카자키 및 그 외 미생물

❍ 육류 및 육류 제품의 장출혈성 대장균(EHEC)

(Enterohaemorrhagic Escherichia coli(EHEC) in meat and meat products)

❍ 식품매개 기생충(Foodborne parasites)

❍ 히스타민(Histamine)

❍ 실험실 개발(Laboratory development)

❍ 락토페르옥시다아제(Lactoperoxidase)

❍ RTE(Ready to eat) 식품의 리스테리아 모노키토게네스 (Listeria monoctogenes in ready-to-eat foods)

❍ 멜라민(Melamine)

❍ 신선한 농작물과 관련된 미생물학적 위해

(Microbiological hazard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 농약의 마이너 사용(Minor use pesticides)

❍ 마이코톡신(Mycotoxins)

❍ 나노 테크놀로지(Nanotechnologies)

❍ 커피의 오크라톡신 A 오염(Ochratoxin A contamination in coffee)

자료: FAO Food safety and quality A-Z index, 2014.

http://www.fao.org/food/food-safety-quality/a-z-index/en

FAO 는 또한 먹이사슬에서의 위기관리 생산부터 소비까지의 동물 건 강, 식물 보호와 함께 식품안전 위기대응 시스템(EMPRES: Emergency Prevention System)을 구축하고 있다. [그림 3-8]에는 먹이사슬위기관 리체계의 흐름도가 제시되어 있다.

〔그림 3-8〕 먹이사슬 위기관리체계

자료: FAO Food Chain Crisis Management Framework, 2014.

http://www.fao.org/foodchain/fcc-home/en/

식품안전 위기대응 시스템(EMPRES Food Safety)은 식품 안전 위해 의 예방과 관리를 주요 목적으로 삼고 있다. 글로벌 식품 안전 위기의 예 방과 관리에 도움을 주는 주요 국제 시스템으로서 식품안전 위기대응 시 스템은 조기 경보, 위기 예방과 신속 대응을 FAO 회원국에 제공된다.

3. WHO

WHO37) 는 식품안전향상을 위해 식품매개 인수 공통전염병을 포함한 식품안전을 위한 향후 10년간의 중장기 전략계획(Strategic Plan for Food Safety: Including Foodborne Zoonoses, 2013-2022)을 세웠 다.

이 중장기 계획하의 WHO의 미션은 ‘식품매개질환의 발병 저감화, 건 강보장 확대, WHO 회원국의 지속가능한 발전 보장’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세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그림 3-9]에는 WHO의 식품안전 향상 계획이 제시되어있고, 각 목표 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3-9〕 WHO의 식품안전 향상 계획

37) WHO 홈페이지 http://www.who.int/en

자료: Advancing food safety initiatives: strategic plan for food safety including foodborne zoonoses 2013-2022, 2014.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101542/1/9789241506281_eng.pdf

가. 과학에 근거한 의사 결정(Science-based decision-making)

전략의 방향은 식품이 매개하는 건강 위해(foodborne health risks) 를 줄이기 위해 전체 먹이사슬별로 과학에 기반한 조치를 제공하는 것이 며 이를 통해 적극적인 과학적 조언, 식품 안전 규격·지침·추천 개발 및 실행을 추진한다.

성과 지표로는 회원국으로 하여금 식품매개성의 건강 위해 요인을 줄 이기 위한 우선 순위 선정 및 중재를 할 수 있도록 제공된 국제 식품안전 표준, 지침, 권고사항, 도구의 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