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 자격의 취업(고용)효과

2) 종사상의 지위이동

<표 Ⅳ-14>는 자격이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를 개선시키는데 기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1998년도에서 1999년도로 자격소지자와 자격미소지자의 종사 상 지위 이동을 분석한 것이다.

<표 Ⅳ-14> 종사상의 지위 이동

(단위 : 명, %)

구 분 고용형태 1999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1998 자격 소지

상용직 733(97.1) 14(1.9) 8(1.1) 755(100.0) 임시직 20(39.2) 29(56.9) 2(3.9) 51(100.0) 일용직 6(19.4) 2(5.1) 23(74.2) 31(100.0) 계 759(90.7) 45(5.4) 33(3.9) 837(100.0) 자격

미소 지자

상용직 1,458(94.4) 52(3.4) 34(2.2) 1,544(100.0) 임시직 37(21.8) 121(71.2) 12(7.1) 170(100.0) 일용직 25(12.1) 17(8.2) 165(79.7) 207(100.0) 계 1520(79.1) 190(9.9) 211(11.0) 1,921(100.0)

자격을 소유한 조사대상자 중에서 1998년도에 임시직이었던 응답자 중에 서 1999년도에 상용직으로 변환한 비율은 39%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자 격을 소유하지 않은 조사대상자가 상용직으로 변환한 비율은 22%에 불과하 다. 또한 임시직에서 임시직으로 이행된 경우에는 자격소지자의 경우 57%, 자격 미소지자의 경우 71%로 자격 미소지자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임시직에서 일용직으로 이행한 경우에는 자격소지자의 경우 4%, 자격 미소지자의 경우 7%로 자격 미소지자의 이행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을 소유한 조사대상자 중에서 1998년도에 일용직이었던 자가 1999년 에 상용직으로 변환한 것은 전체의 19%를 차지하였으나, 자격을 소유하지 않은 조사대상자가 상용직으로 변환한 비율은 12%에 불과했다.

이와 같이 자격소지자와 자격 미소지자의 종사상 지위 이동 양상은 차이 를 보이므로 자격의 소지는 종사상의 지위가 상향 조정되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3) 고용(취업)효과

자격이 미취업자로 하여금 노동시장으로 진입에 신호기제가 되고, 재직근 로자의 전직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즉 비취업자가 취업이 될 확률을 자격 유무별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표 Ⅳ-15>는 전체 조사대상자를 표본으로 하여 경제활동상태를 취업자와 비취업자(실업, 비경제활동인구)로 구분하여 이항로짓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취업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을 받은 사람이거나 남성일 수록 연 령이 높을 수록 취업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15> 취업 결정모형(이항로짓 추정 : logit(a/ b))

변수값 추정계수 표준오차

상수(Constant) -7.071 (0.215)***

자격증여부(DSKILL:자격증보유=1) 0.563 (0.076)***

훈련여부(DTRAIN훈련=1) 0.475 (0.162)***

성별여부(DSEX:남성=1) 0.999 (0.044)***

결혼여부(DMARR:기혼=1) -0.143 (0.061)**

연령(AGE) 0.368 (0.010)***

연령제곱(AGESQ) -0.004 (0.000)***

고졸(DEDU3) -0.121 (0.059)**

전문대졸(DEDU4) 0.140 (0.097)

대졸이상(DEDU5) -0.168 (0.071)**

가구원수(HNOB) -0.078 (0.016)***

가구소득(HINC) 0.000 (0.000)***

표본수 -(로그최우도)

12,042 -6665.894

주 1) ***는 1%, **는 5%, *는 10%수준에서 유의함을 의미한다.

2) a = 취업자, b = 비취업자

<표 Ⅳ-16>는 취업자를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자영업주, 무급가족종 사자)로 구분한 후 비취업대비 취업확률을 다항로짓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첫 번째 모형(logit(a/ c))은 비취업대비 임금근로자로 될 확률을 보여주는

것으로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들이 보유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임금근로자 로 취업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취업대비 비임금근로자의 확률(logit(b/ c))을 나타내는 것이며, 두 번째 모형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 여주고 있으며 두 모형 모두 자격증 효과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자격증 이 취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교육 훈련여부 가 취업에 미치는 효과는 이항로짓 분석결과와는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적이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볼 때 자격증의 보유가 취업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따라서 실업자가 취업으로의 유인가능성을 높이기 위 해서는 자격증 취득이 하나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표 Ⅳ-16> 취업 결정모형(다항로짓 추정 : logit(a/ c), logit (b/ c)) 변수명 logit(a/ c) logit(b/ c)

추정계수 표준오차 추정계수 표준오차 상수(Constant) -7.279 (0.245)*** -10.460 (0.353)***

자격증여부(DSKILL(자격증보유=1) 0.644 (0.078)*** 0.328 (0.108)***

훈련여부(DTRAIN :훈련=1) 0.608 (0.165) -0.081 (0.255) 셩별여부(DSEX:남성=1) 0.967 (0.048)** 1.022 (0.058)***

결혼여부(DMARR:기혼=1) -0.354 (0.067)* 0.325 (0.087)***

연령(AGE) 0.381 (0.012)** 0.434 (0.016)***

연령제곱(AGESQ) -0.005 (0.000)*** -0.005 (0.000)***

고졸(DEDU3) -0.083 (0.067)* -0.114 (0.072) 전문대졸(DEDU4) 0.220 (0.103) 0.006 (0.139) 대졸이상(DEDU5) -0.013 (0.078)* -0.522 (0.098)***

가구원수(HNOB) -0.089 (0.018)** -0.073 (0.022)***

가구소득(HINC) 0.000 (0.000)*** 0.000 (0.000)**

관측치수 -(로그최우도)

12,042 -10150.47

주 1) ***는 1%, **는 5%, *는 10%수준에서 유의함을 의미한다.

2) a = 임금근로자, b = 비임금근로자, c = 비취업자

<표 Ⅳ-17>은 더미 변수를 활용하여 자격종류별 취업상태의 결정요인을 이항로짓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종속변수는 비취업대비 취업이며 자격종류는

그 운영주체에 따라 국가기술자격증(DWHO1), 국가자격(DWHO2), 민간자격 (DWHO3), 기타자격(DWHO4)으로 구분한 후 자격증이 없는 사람을 기준으 로 하여 각각 더미 변수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국가기술자격만이 자격증이 없는 사람에 비해 취업되 어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세 개의 자격증이 취업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17> 취업 결정모형: 자격종류별 (이항로짓 추정 : logit (a/ b))

변수명 추정계수 표준오차

상수(Constant) -7.163 (0.216)***

국가기술자격여부(DWHO1:자격증보유=1) 0.371 (0.087)***

국가자격여부(DWHO2) -0.139 (0.147)

민간자격여부(DWHO3) 0.317 (0.201)

기타자격여부(DWHO4) 0.488 (0.316)

훈련여부(DTRAIN :훈련=1) 0.513 (0.161)***

성별여부(DSEX:남성=1) 1.011 (0.044)***

결혼여부(DMARR:기혼=1) -0.140 (0.061)**

연령(AGE) 0.372 (0.010)***

연령제곱(AGESQ) -0.004 (0.000)***

고졸(DEDU3) -0.124 (0.059)**

전문대졸(DEDU4) 0.234 (0.095)**

대졸이상(DEDU5) -0.088 (0.071)

가구원수(HNOB) -0.080 (0.016)***

가구소득(HINC) 0.000 (0.000)***

표본수 12042

-(로그최우도) -6675.9

주 1) ***는 1%, **는 5%, *는 10%수준에서 유의함을 의미한다.

2) a = 취업자, b = 비취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