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로 단일 프로젝트에 동참하는 농촌개발 융합 ODA를 제안한다. 이 사업은 각 기 관의 전략적 지원을 바탕으로 식량지원, 농업 생산기반 구축, 농촌 역량강화, 소농 지원과 가치사슬 구축을 포함하는 지속가능한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드, 독일, 일본, 유럽연합 등이 있으며, 2019년 기준 한국의 UNDP 기여액은 5천 9 백만 달러 규모였다.

<그림 4-13> UNDP의 재원 비중 추이(2015~2019년)

단위: 십억 달러

자료: UNDP(2020).

7.2. 농업분야 31) 전략 및 현황

UNDP의 농업 관련 핵심분야는 △생태 활성화와 농촌 번영 △농촌개발과 전력 공급이다. 또한, 농업 부문 기후변화 대응, 식량 및 농산물 시스템 전환을 위한 사 업을 주로 수행한다.

지속가능개발목표가 본격적으로 이행된 2018년 이후 통계를 살펴보면 목표 2 (기아 종식)를 위한 사업은 2018년 6천 1백만 달러의 재원으로 67개 사업이 진행 되었다. 2019년에는 6천 7백만 달러의 재원이 조달되어 총 72개의 사업이 추진되 었다. 농업분야 연간 사업 예산은 6천만 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이나, 연간 예산이

31) UNDP는 농업분야 사업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본 과제에서는 UNDP의 최대 목표인 SDGs 중 ‘2. 기아 종식, 식량안보와 영양개선의 달성 및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에 해당하는 사업으 로 농업·농촌개발 분야 현황을 파악하였다.

60억 달러에 달하는 전체 사업 규모와 비교하면 비중이 매우 낮다. 총 사업액 대비 농업분야 지원금은 2018년 1.1%, 2019년 1.5%, 2020년 0.7% 정도다.

그러나 목표 2 외에 다른 간접적으로 관련된 목표에도 농업 관련 사업들이 일부 포함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농업·농촌 관련 사업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작은 규모 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아프가니스탄 공동체 기반의 농업 및 농촌 개발 사업(24.1백만 달러), 예멘 식량안보 및 생활 회복력 지원사업(8백만 달러), 시리 아 농업 생활 개선 및 농촌개발(5.8백만 달러) 등은 목표 1(빈곤 종식)에 해당하는 사업이지만 농업분야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업이라 할 수 있다.

<표 4-1>은 농업·농촌개발 분야 다자성 양자사업으로 분류될 수 있는 사업의 예시다. UNDP는 2018-2021 전략계획(Strategic Plan)에 따라 농촌지역의 빈곤 해 결을 위한 농업 생산성 증대, 사회적기업이나 소액 금융 등의 혁신적 수단을 활용 한 소농의 소득 개선, 농촌공동체의 활성화 등에 역점을 두어 농업 관련 사업을 추 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후변화 위기 대응을 위한 농업전략 수립과 농 촌 취약지역의 가뭄 및 홍수 대응 등이 주요 과제인 것으로 파악된다.

<표 4-1> UNDP의 농업·농촌개발분야 다자성 양자사업 사례

단위: 백만 달러

관련 목표 사업명 기간 지원기관 및 예산

2.

기아 종식, 식량 안보와 영양개선의 달성 및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

방글라데시 Chittagong Hill Tracts의

포용적 개발 강화 2016~2021 덴마크(13.67), 스웨덴 국제개 발협력청(SIDA), ADB 등 네팔의 가치사슬 개발을 통한 소농 소득 증대 2018~2022 KOICA(2.77), UNDP(0.37)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농업경쟁력과

농촌개발 2020~2024 EU(0.8), UNDP(1.8) 아르메니아, 녹색 농업 및 지역 부가가치

증진을 통한 북부지역 포용적 성장 실현 2019~2022 오스트리아 개발청(0.65) 아르메니아 농촌개발을 위한 사회-경제

통합적 지원 2015~2020 러시아(7.57)

세르비아의 농촌 경쟁력 및 생산성 증진 2020~2022 스위스 개발협력청(0.25) 세르비아 농산업분야 생산역량 지원 2016~2020 러시아(1.77) 1.

모든 곳에서 모든 형태의 빈곤 종식

아프간 공동체 기반의 농업 및 농촌 개발사업 2016~2022 미국(254.76) 캄보디아의 기후탄력적 물관리 및 농업 적용 2009~2016 캐나다 개발청(2.56),

GEF(0.6) 자료: 이창흠(2020).

7.3. 한국과의 협력 희망분야

UNDP와 한국의 최근 협력사업은 태양광 기술을 활용한 농업 생산 증대, 농업 가치사슬 개발 등을 주제로 하였다. 그중에서도 캄보디아와 미얀마의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기술을 활용한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UNDP와 처음으 로 추진한 다자성 양자사업으로 농업 ODA의 파트너십을 다변화하는 계기가 되 었다고 할 수 있다. UNDP가 보유한 다양한 포트폴리오와 사업개발 역량, 네트워 크를 고려할 때 사업의 효율적 수행이 가능하여 한국의 글로벌 협력 잠재력을 확 대하는 이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협력 희망분야로는 혁신적 기술을 활용한 식량생산 증대 및 농민 소득 향 상, 농촌지역 재생에너지 확대, 과학적 영농기법 및 투입재 지원, 기후스마트 농업 등을 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