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그림 3-8> USAID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단계

자료: 김종섭(2020).

의 비중이 10~20%로 고루 배분되어 있어, 전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집중하기보다 는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배분되고 있다는 점이 있다. 또, 타 공여국들과 달리 일반 환경보호 분야에 상대적으로 많은 지원액을 배분한다는 특징이 있다.

<표 3-9> 노르웨이 양자-다자별 ODA 지원 현황(2009~2018년)

단위: 백만 달러, % 항목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양자 금액 3,120 3,248 3,276 3,290 4,214 3,914 3,334 3,474 3,151 3,275

비율 77% 76% 73% 73% 77% 77% 77% 79% 76% 76%

순수 양자

금액 2,129 2,197 2,244 2,237 3,032 2,582 2,344 2,494 1,915 1,906 비율 53% 51% 50% 49% 55% 51% 54% 57% 46% 44%

다자성 양자

금액 992 1,051 1,032 1,053 1,182 1,331 989 980 1,235 1,369 비율 25% 25% 23% 23% 22% 26% 23% 22% 30% 32%

다자 금액 918 1,019 1,194 1,230 1,266 1,197 971 929 998 1,028 비율 23% 24% 27% 27% 23% 23% 23% 21% 24% 24%

합계 금액 4,038 4,266 4,470 4,520 5,480 5,110 4,304 4,403 4,148 4,303 주: 총 지출액 기준.

자료: 김종섭(2020).

최근 10년간 노르웨이 농업분야 ODA 비중은 지난 2013년 1억 3천만 달러까지 증가하였다가, 2018년에는 약 6천만 달러 규모로 감소하였다. 이는 전체 ODA 대 비 약 1~3% 정도의 적은 비중으로, 노르웨이의 개발원조 부문에서 농업분야가 차 지하는 우선순위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시사한다.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조 비 중은 심한 변동 폭을 보이고 있지만, 타 공여국의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조보다 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표 3-10> 노르웨이 양자 ODA 사업 농업분야 지원 현황(2009~2018년)

단위: 백만 달러, % 항목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양자

ODA (A)

금액 3,120 3,248 3,276 3,290 4,214 3,914 3,334 3,474 3,151 3,275

농업 ODA (B)

금액 68 61 78 76 134 113 83 57 79 60

비율

(B/A) 2.2% 1.9% 2.4% 2.3% 3.2% 2.9% 2.5% 1.6% 2.5% 1.8%

농업 다자성

양자 (C)

금액 20 13 9 8 37 37 23 14 34 17

비율

(C/B) 30.0% 21.9% 11.3% 10.2% 27.5% 32.3% 28.3% 25.4% 43.0% 28.1%

주: 총 지출액 기준.

자료: 김종섭(2020).

노르웨이의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조는 주로 세계은행, IFAD, WFP 등 주요 협력기구를 중심으로 집행된다. 이들은 노르웨이 정부가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 조 주요 협력기구로 선정한 기구에 해당하여, 정책 방향과 실제 집행 간에 높은 일 치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노르웨이 정부는 주요 기구별로 비교 우위 분야를 설정하여 다자협력사업 수행 시 이를 반영하고 있는데, 세계은행은 식량생산, FAO는 식량안보 및 빈곤퇴치, IFAD는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금융지 원, WFP는 인도주의적 지원 분야를 특화 분야로 꼽고 있다.

노르웨이의 농업 다자성 양자원조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절반 이상(55.9%) 의 재원이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국가 농업분야 개발원조 정책상 우선순위에 기 인한다. 그다음으로는 영국, 호주 등과 마찬가지로 국제사회 공동 문제 대응을 위 한 지역 미지정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노르웨이의 다자성 양자 사업 지원 유형은 연도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나 전반적으로 국제기구 특정 목적 프로그램 및 기금 지 원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그림 3-9> 노르웨이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조 지역별, 기구별 분포(2009~2018년)

단위: %

자료: 김종섭(2020).

5.2. 다자성 양자원조 정책

노르웨이의 개발원조 정책목표는 경제발전, 민주화, 인권 향상, 거버넌스 개선 을 통한 빈곤 감소에 있고, 주요 협력 분야로는 교육, 인도주의적 지원, 보건 및 백 신, 민간분야 발전,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인권 등이 있다. 특히 노르웨이 정부는 2019년 ‘다자협력에 있어 노르웨이의 역할과 이익(Norway’s Role and Interests in Multilateral Cooperation)’ 문서를 통해 다자기구의 활용 필요성 및 다자협력사업 참여 방법, 정부의 정책 추진 방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다자성 양자원조와 관련하여 언급된 내용은 ‘원조 파편화 가능성 우려’, ‘기금 중복성 최소화’, ‘신탁 기금 지원방식 검토를 통한 원조효과성 제고’, ‘인도주의적 목적에 입각한 다자성 양자원조의 적극적 활용’ 등이 있다.

노르웨이 정부는 농업분야 원조를 통한 식량 문제의 해결이 굶주림의 문제뿐만 아니라 개도국의 교육, 보건, 경제성장에까지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식량

생산’, ‘가치사슬 형성’, ‘영양 및 식사’, ‘정책 및 거버넌스’ 분야에 초점을 맞춰 사 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조를 위한 별도의 전략이나 목표 는 확인되지 않으나, 노르웨이 정부는 농업분야 원조 목표 달성을 위해 일부 원조 를 다자성 양자원조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을 언급하고 있다. 특히 농업분야 다자 협력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FAO, WFP, IFAD, WHO, WTO 등을 주요 협력기구로 제시하고, 실제로 해당 기구와의 협력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5.3. 다자성 양자 사업 운영 및 관리체계

노르웨이는 다른 주요 공여국과는 달리 상위의 개발원조 정책이나 전략에 따 라 원조 프로그램을 발굴 및 기획하기보다는, 주로 수원국의 공식 요청에 따라 사 업을 발굴 및 기획한다. 또한 범분야적인 접근 방식(Sector-Wide Approaches)을 강조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정책 조정을 중요시한다. 그동안 전반 적인 사업 기획, 관리 과정은 수원국 현지대사관이 담당해왔고, 평가 및 기술자문 등 은 노르웨이개발협력청(Norwegian Agenc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NORAD) 에서 실시해왔다. 다만 2019년 개발협력 추진체계 개편에 따라, 노르웨이 외교부 에서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을 담당하고, NORAD가 사업 수행, 품질관리, 평가 등 의 관리 업무를 맡게 되었다. 이러한 개발협력 추진체계 개편에 따라 사업기획, 운 영, 평가 과정 등에도 일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아직 구체적으로 참고할 만한 문서가 공개되지 않았다. 노르웨이 원조사업 기획, 운영 및 평가 과정은 ‘보 조금 관리 매뉴얼(Grant Management Manual)’에 기초하여 관리되어왔으나 이는 대외적으로 공개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 파악이 어렵다. 따라서 2005년 발표된

‘개발협력 매뉴얼(Development Cooperation Manual)’에 기반하여 전반적 관리체 계를 정리해보자면 아래 <그림 3-10>과 같다.

<그림 3-10> 노르웨이 정부 개발원조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단계

자료: 김종섭(2020).

우선 사업 기획 단계에서는 상위 개발원조 정책 및 전략보다는 수원국의 공식 요청에 따라 사업을 발굴한다. 사업 수요가 존재하는 경우, 다자기구 현지사무소 관계자와의 정책 대화를 통해 전반적 사업 내용을 파악한다. 사업 신청 문서 제출 시에는 정책 연관성, 논리 모형에 기초한 사업계획, 제도적 역량, 지속가능성, 사 업 결과지표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노르웨이 정부는 사업수행 다자기구를 선정할 때, 다자기구성과평가네트워크(MOPAN) 보고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사업수행 및 평가 시, 전반적인 사업 진행 경과에 대한 모니터링은 진행경과 보 고서와 연례회의를 통해 실시되며, 사업에 대한 평가는 정기평가, 주제별 평가, 중 간평가, 종료평가 등으로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