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7.3. 한국과의 협력 희망분야

UNDP와 한국의 최근 협력사업은 태양광 기술을 활용한 농업 생산 증대, 농업 가치사슬 개발 등을 주제로 하였다. 그중에서도 캄보디아와 미얀마의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기술을 활용한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UNDP와 처음으 로 추진한 다자성 양자사업으로 농업 ODA의 파트너십을 다변화하는 계기가 되 었다고 할 수 있다. UNDP가 보유한 다양한 포트폴리오와 사업개발 역량, 네트워 크를 고려할 때 사업의 효율적 수행이 가능하여 한국의 글로벌 협력 잠재력을 확 대하는 이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협력 희망분야로는 혁신적 기술을 활용한 식량생산 증대 및 농민 소득 향 상, 농촌지역 재생에너지 확대, 과학적 영농기법 및 투입재 지원, 기후스마트 농업 등을 꼽을 수 있다.

있다. 농업 연구기구인 IFPRI, ILRI, IRRI는 연구 분야별 전문성이 높게 나타났다.

IFPRI는 식량시스템, 식생활 및 영양개선, 정보화 등에 우위를 가진 것으로 보인 다. ILRI는 가축 사양관리와 전염병 진단, IRRI는 미곡을 포함한 옥수수, 두류 등 곡물의 정밀·스마트농업에 대한 연구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한다. WFP는 식량 원조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그 외 인프라 구축과 교육지원 등의 개발사업 을 추진해오고 있다. 또한, UNDP는 농업분야에 전문기구는 아니나 농촌개발, 재 생에너지 등 농촌지역의 생산성 증대와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포괄적 지원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각 기구의 주요 지원지역은 개발원조의 수요가 높은 빈곤국과 취약국이 밀집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중동, 동남아시아로 나타났다. IRRI의 경우 연구 분야의 특성상 쌀 재배 국가가 많이 분포한 아시아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향후 한국과의 협력 희망분야로는 국제기구가 전문성을 가진 분야와 한국 ODA가 경쟁력을 가진 분야의 교집합이 주로 선정되었다. FAO는 식량시스템 개 선, 지속가능한 생산 증대, 원헬스 체계 구축, 민간투자 촉진 등을 주제로 협력을 확대하기를 희망하며, IFAD는 ICT를 활용한 소농 지원을 중점 협력분야로 꼽았 다. IFPRI는 식량 생산 시스템 구축, ILRI는 인수공통·가축전염병 진단, IRRI는 스 마트농업분야의 협력 가능성을 크게 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량지원을 수행 중인 WFP는 농업생산기반 구축, 농촌 역량강화, 소농 지원과 가치사슬 구축을 포 함하는 융합 모델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UNDP는 혁신적 기술 을 활용한 식량 생산 증대와 소득 향상 등 빈곤 감소와 지속가능한 농업을 목표로 종합적인 농촌개발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국제기구가 공통으로 희망하는 한국과의 협력분야는 한국의 ICT 비교우위를 활용한 사업으로 한국은 농업분야 디지털 기술의 보급과 확산에 대한 수요를 적극 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범지구적 이슈인 기후변화 대응이 국제사회의 추세인 만큼 농업부문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사업을 확대 추진할 필요가 있다.

구분FAOIFADIFPRIILRIIRRIWFPUNDP 분류유엔 전문기구유엔 전문기구연구기구연구기구연구기구유엔사업 기금유엔사업 기금 다자성 양자 비중65%36%72%56%77%90%87% 중점분야

식량안보 농업 혁신 식량시스템 취약계층 지원

금융서비스 기후변화 식량안보

기후복원 식품공급 영양증진 농촌경제 전환

가축 품종개발 사양관리 전염병 진단 백신 개발 역학 조사

학제 연구 벼품종 개량

식량지원 식량활용직업훈련 국가경쟁력 강화 학교급식

생태활성화 농촌개발 주요 공여기관

EU GEF GCF 미국

EU 기후환경기금 GAFSP 기타

CGAIR 미국 게이츠재단 독일

세계은행 게이츠재단 미국 유럽연합 독일

인도 미국 스위스 ADB AfDB

미국 독일 영국 EU

유엔공동기금 GEF 글로벌펀드 독일 주요 지원지역

아프리카 지역간 아시아 근동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글로벌 북아프리카 근동

동아프리카 남아시아 서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동아시아

동아프리카 중동

아프리카 아랍 아시아·태평양 협력 희망분야

식량시스템 기아종식 농업생산 원헬스 민간투자

디지털기술식량시스템

전염병 감시 시스템 진단 역량강화 가축 사양관리 식품위생

정밀·스마트농업

식량지원 생산기반 역량강화 가치사슬

식량생산 소득 향상 재생에너지 기후변화 자료: 저자 작성.

<표 4 -2 > 농 업 분야 다자 협력기 구의 특징 요 약

제5장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조의

중점협력분야 및 기구 설정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5장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조의

중점협력분야 및 기구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