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가변동 시나리오 분석

4.3.1. 시나리오 설정

○ 본 절은 최근 가격급락으로 불확실성이 증대된 국제유가의 국제곡물 수급 및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제유가 불확실성이 앞 절에서 제시한 기준 전망치들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자한다.

– 2011년 이후 100달러/배럴 수준에서 안정된 추이를 보이던 국제유가는 2014년 6월 이후 급락하면서 유가의 장단기 전망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각 전망기관별로 유가 전망치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전망 시점에 따라 상이한 전망치를 제공하고 있다.

– 앞 절의 기준전망치에 이러한 유가 전망의 불확실성을 포함함으로써 유가 불 확실성으로 인한 곡물시장 전망치들의 변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한다.

○ 유가 전망치에 대한 시나리오는 2절에서 설명된 유가 전망치를 바탕으로 다 음의 두 가지 상황을 설정하였다.

– 일시적 유가 전망치의 이탈: 2015년 유가 전망치가 2절에서 제시된 유가전망 치에 비해 ±10% 이탈하나 여타 연도의 전망치는 동일하다.

– 장기적 유가 전망치의 이동: 2015년 이후 모든 연도의 유가전망치가 2장에서 제시된 유가 전망치에 비해 ±10% 이탈하였다.

표 4-3. 유가변동 시나리오 설정

2015년 2016년~2025년

베이스라인 54.58 달러/배럴 EIA 전망치 증감률 적용

일시적 유가 전망치 이탈 베이스라인 대비 10% 상승 혹은 하락 베이스라인과 동일

장기적 유가 전망치 이동 베이스라인 대비 10% 상승 혹은 하락

4.3.2. 시나리오별 영향분석

○ ‘일시적 유가 전망치 이탈’은 주로 당해 연도와 차 연도의 국제곡물 수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2015년 유가가 10% 변동 시 생산량은 기준전망치에 비해 당해 연도인 2015/16년에 0.2%, 차 연도인 2016/17년에 0.3% 변동하며 이후 영향은 미미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준전망치에 비해 유가가 10% 상승할 경우 곡물가격지수도 당해 연도와 차 연도에 각각 1.8~1.9%, 2.0∼2.1%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후 연도에 는 1% 미만의 곡물가격 변동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4-33. 2015년 유가 10% 변동 영향

단위: 백만 톤, 달러/톤,%

총생산량 가격지수

2014/15 [0.0, 0.0] [0.0, 0.0]

2015/16 [0.2, -0.2] [-1.9, 1.8]

2016/17 [0.3, -0.3] [-2.1, 2.0]

2017/18 [0.0, 0.0] [-0.6, 0.6]

2018/19 [0.0, 0.0] [-0.2, 0.2]

주: [ ]는 유가 10% 하락(좌)과 상승(우) 시의 국제곡물 총생산량 및 가격지수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동률 (%)을 나타냄. 총생산량 및 가격지수는 각각 주요 곡물(밀, 옥수수, 콩, 쌀)의 총생산량과 거래량 기 준의 가격지수를 의미함.

자료: KREI GEM-LOCS(Grains Econometric Model including Livestock, Oilseeds, Cotton and Sugar)

○ ‘장기적 유가 전망치 이동’의 경우 이러한 충격발생 1차 연도와 2차 연도의 경우 곡물 생산량 및 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되나 이후 연도부터는 2차 연도의 영향과 비슷한 정도의 영향이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준전망치에 비해 유가가 10% 변동하는 경우 생산량은 1차 연도에 0.2% 변 동, 2차 연도부터는 0.3∼0.6%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격의 경우 1차 연도에 1.7%, 2차 연도에 4.4∼4.7% 변동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 생산량의 경우 3차 연도에 영향이 최대화되며 이후 점차적으로 하락하나, 가격 의 경우 3차년 이후에도 소폭이지만 영향이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4-34. 중장기적 유가 10% 변동 영향

단위: 백만 톤, 달러/톤,%

총생산량 가격지수

2014/15 [0.0, 0.0] [0.0, 0.0]

2015/16 [0.2, -0.2] [-1.7, 1.7]

2016/17 [0.6, -0.5] [-4.7, 4.4]

2017/18 [0.6, -0.5] [-5.4, 5.0]

2018/19 [0.6, -0.5] [-5.7, 5.3]

2019/20 [0.6, -0.4] [-5.5, 5.2]

2020/21 [0.5, -0.4] [-5.7, 5.4]

2024/25 [0.4, -0.3] [-5.9, 5.6]

주: [ ]는 유가 10% 하락(좌)과 상승(우) 시의 국제곡물 총생산량 및 가격지수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동률 (%)을 나타냄. 총생산량 및 가격지수는 각각 주요 곡물(밀, 옥수수, 콩, 쌀)의 총생산량과 거래량 기준 의 가격지수를 의미함.

자료: KREI GEM-LOCS(Grains Econometric Model including Livestock, Oilseeds, Cotton and Sugar)

표 4-4. 중장기 전체곡물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달러/톤 기준 전망치 2013/14(추정) 2014/15(전망) 2015/16 2019/20 2024/25

including Livestock, Oilseeds, Cotton and Sug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