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MRIO를 이용한 고용유발과 인구유입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에 있었다. 다시 말하면, 유발된 고용량 중에서 얼마만큼의 양이 인구유입으로 이어지는가 하는 문제가 가장 큰 문제였다. 이 문 제의 해결을 위해 사용한 것이 「고용구조조사보고서」, 「인구이동특별조사 보 고서」등의 보고서이다. 이중 「고용구조조사보고서」는 1997년도에 발간된 내용 이기 때문에, 90년대 전반적인 고용구조나 인구이동에 대한 특성을 대변해준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하지만「인구이동특별조사 보고서」는 조사기간을 5년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90년대의 상황을 대변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추정한 값들에 대한 오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에 90년대의 인 구이동에 대한 특성을 더 정확하게 나타내 줄 수 있는 자료가 있었다면 추정과정 에서 생길 수 있는 오차는 더욱 줄어 들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점은 1995년에 구축한 MRIO모형이 90년대 전체의 산업구조를 대변해 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산업구조가 변화되면, 건축부문에 동일한 양을 투자하더라 도 고용유발량은 달라지기 때문에 만약에 매년 다른 MRIO모형을 쓴다면 더 정확 한 고용유발량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매년 새롭게 MRIO모형을 구축한다거나, 여러 가지 보정 방법을 통하여 기구축된 모형에서 목 적하는 연도의 MRIO모형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는 RAS기법 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MRIO 모형을 구축하는데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작업이기 때문에 매년 이러한 모형을 구축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전국 투 입-산출모형으로부터 추정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직접조사에 의하여 모형을 구축 하지 않는 한 정확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참고문헌

국토개발연구원, 1993, 「수도권 신도시 건설에 따른 가구이동 및 주거상태 변화에 관한 연구」

권용우, 이자원, 2000 “우리 나라 인구이동의 공간적 패턴에 관한 연구,” 지리학회지, 34(3), page 151~165

김갑성․홍순영, 1996, “지역간 투입-산출기법을 이용한 지역특화산업분석,” 지역연 구 제12권, pp. 1-15.

김성태․장정길, 1997 “한국 지역간 인구이동의 경제적 결정요인: 1970-1991”, 국제 경제연구, 3(2)

김의준, 1982, “지역산업연관표 추정기법의 평가,”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건축 공학과

김의준․천현숙 1994, 「지역경제분석을 위한 모형개발 연구: 수도권 지역경제모 형」국토개발연구원

김호언, 1986, “투입산출모형에 의한 지역경제 구조분석,” 박사학위논문, 연세대 학교, 경제학과.

이강희, 1987, “지역간 산업별 지역투입계수행렬 추정기법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이성우, 2002,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독립이동과 연계이동”, 지역연 구, 18(1), pp.49~82

이외희, 2001, “경기도 도시지역의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 제6호

이외희, 1999, 「수도권 인구이동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이은우 1993 “한국의 농촌․도시간 인구이동함수”, 경제학연구, 41(2), pp213-232

이호병, 2001, “전국이동량 추정기법”,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3(2)

장정호, 1995, “한국의 도시간 인구이동의 경제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청주대학교

지우석․박헌수․이외희 ․조규영, 2000, “수도권내 인구이동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 한 연구” 35(4)

한국개발연구원 2000 「공공투자사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추정을 위한 다지역산업

연관모형(MRIO) 구축 및 분석」

허재완․하성규,1990, “주택투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국토계획, 25(1)

4

C H A P T E R

공급위주의 주택건설정책과 수도권 인구집중

김정수(환경운동연합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