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연구범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2년에 걸쳐 농축산부문에서 발생 배출 되는 영농폐기물과 유기성 폐자원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2016년에 수행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영농폐기물 중 현재 정책대상 폐 기물인 농업용 필름과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는 폐농약용기 및 잔여 농약에 대해서 면밀한 현장 조사와 분석을 통해 영농폐기물 배출, 배 출된 영농폐기물의 수거와 관리, 이후 재활용 및 자원화 등 처리까지 단계 별 현황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2017년 2차년도 연구에서는 농축산부문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자원은 매우 다양하나, 자원화 및 에너지화의 주요 대상인 폐기물과 부산물을 대 상으로 하고자 한다. 농산물부문 중 발생과 처리 부문에서는 가장 중요한

벼 부산물인 볏짚과 왕겨, 미강 등 도정 부산물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좀 더 정확한 농산물부문 에너지화 등 효율적인 자원화 추진을 위해 에너지 잠재량 추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주요 품목별 수확 후 잔재와 단순가공 부산물 일부(감귤박, 양파박 등)가 연구범위에 포함된다. 축산부문에서는 가축분뇨와 도축 과정 중 발생하는 비식용 부산물인 혈액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다만, 농축산부문에서 배출되는 중요한 유기성 폐기물인 과수 잔가 지, 임산폐기물과 오니 및 음식물 쓰레기(농축산부문으로 환원) 등은 본 연 구 대상에서 제외한다.

<표 1-1> 주요 농축산 폐자원의 종류

구 분 1차년도: 영농폐기물 2차년도: 유기성 폐자원

경종

비닐(멀칭, 비료포대), 농약용기(병, 플라스틱, 봉지), 부직포, 육묘포트, 포장재

볏짚, 왕겨, 미강, 쇄미 등 미수확 농작물, 수확 후 잔재

시설농업 비닐(피복), 양액 및 배지

환경조절기 미수확 농작물, 수확 후 잔재

축산 사료포대, 포장재, 축산기계류 가축분뇨

기타

-산림잔재(임목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유기성 오니(汚泥)

4.2. 주요 연구방법

4.2.1. 문헌 및 자료조사

이 연구의 목적인 농축산 유기성 폐자원의 효율적 자원화 방안 도출을 위해 국내외 유기성 폐자원 관련 현황과 제도 등을 우선적으로 살펴볼 필 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환경공단 등 유관기관 의 자료를 수집하여 우리나라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제도와 현황 등을 분

석하였다. 또한 발생량 등의 추정과 처리 방법 등을 위해 국내외 문헌과 논문 등 기존 연구결과를 활용하였다.

4.2.2.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

주요 농산부문 폐기물인 볏짚과 밭작물 수확 후 부산물의 관리 실태 파 악을 위해 수도작 농가와 노지 및 시설작물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유기성 폐자원의 종합적인 관리 및 정책 우선순위 결 정을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와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1-2> 설문조사 응답자 현황

단위: 명

구분 품목 전화조사 온라인 조사 우편조사 합계

농가

수도작 250 875 1,125

노지 밭작물 50 50

시설 원예 50 50

전문가 85 85

합계 100 335 875 1,310

주요 농축산물을 1차 가공한 후 발생하는 부산물의 관리와 처리 실태 조 사를 위해 볏짚 수집 영농조합법인과 경영체, 주요 미곡종합처리장(RPC) 과 축산부산물가공협회 등을 방문 조사하였다. 아울러 이들 부산물을 이용 및 가공하는 자원화 시설, 일반 기업을 방문 조사하였다. 또한 지역 단위에 서 발생하는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을 종합 처리 및 이용하는 에너지 자립마을(홍천, 완주)의 운영 현황에 대해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 비용과 편익 분석을 통해 경제성 분석을 실시 함으로써 농축산 유기성 폐자원을 이용한 자원화의 가치를 논리적으로 규 명하고자 하였다.

4.2.3. 원고위탁 및 정책 협의회

(독일 Steillinger Moor)

<표 1-4> 원고위탁 활용결과

제목 활용

주요 농축산 폐자원의 자원화 현황과 발전 방안 제3장 1절 반영, 부속보고서 1 일본의 농축산 유기성 폐자원의 관리 정책과 시사점 제6장 반영, 부속보고서 2 EU와 유럽 주요국 유기성 폐자원 관리 정책과 시사점 제6장 반영, 부속보고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