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축산 유기성 폐자원의 에너지화 현황

3.1. 에너지 자원화 현황

농축산 유기성 폐자원의 에너지 자원화는 주로 가축분뇨의 바이오가스화 중심으로 추진 중이며, 농산부산물 등의 에너지화 사례는 관련 제품의 품질 기준 설정 등 제도화에도 불구하고 전무한 실정에 있다. 또한 가축분뇨 에너 지화는 주로 양돈분뇨를 대상으로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농식품부의 에너지 자원화 공동자원화 시설 보급정책과 환 경부의 유기성 폐자원 에너지화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가축분뇨 에너지화 사 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혐기소화조, 음식물류 폐기물 처 리시설의 혐기소화조 등에서 병합처리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가축분뇨(양돈분뇨) 에너지화 시설의 보급은 농식품부 축산환경복지과 와 환경부 유역총량과가 각각 담당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하수병합 혐기소 화의 경우는 환경부 생활오수과가 담당하고, 음식물류 폐기물 병합 혐기소

화의 경우는 환경부 폐자원에너지과가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즉, 가축 분뇨 에너지화 관련 부서가 다양한 반면, 부서·부처 간 협의체계가 없는 상황으로 가축분뇨 에너지화량의 추산은 해당 부서마다 상이하고, 정확한 산출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4 유기성 폐자 원 에너지 활용시설 현황”(환경부 2015) 자료와 농식품부 공동자원화(에너 지) 시설 설치 현황 자료에 근거하여 가축분뇨 에너지화량을 추산하였다.

2016년 기준 농식품부에서 설치 지원하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에너지) 시설에서 유입·처리하는 가축분뇨는 101,946톤/연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부 가 설치 지원하는 가축분뇨 공공처리장에서 유입·처리하는 가축분뇨는

152,972톤/연으로 나타났다. 가축분뇨 에너지화 처리량은 총 471,296톤/연

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는 가축분뇨 총발생량 46,988천 톤/연 대비 1.0%, 양돈분뇨 발생량 19,409천 톤/연 대비 2.4% 수준이다.

구분 처리량(톤/연)

가축분뇨 공동자원화1) 101,946

가축분뇨 공공처리2) 152,972

음식물 병합처리2) 24,374

하수 병합처리2) 96,771

기타3) 95,233

471,296

주 1) 농식품부 공동자원화(에너지) 시설 4개소 처리량 추산(300일/연 운전, 가동률 80%).

2) 환경부 가축분뇨, 음식물류 및 하수슬러지 공공처리시설 유입 처리 물량.

3) 산업부 지원 및 민간 처리시설 유입물량.

자료: 환경부(2015) 재정리.

<표 3-22> 양돈분뇨의 에너지화 현황

3.2.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 현황

3.2.1. 농식품부 공동자원화 시설

농식품부는 허가 또는 신고대상 가축분뇨 배출시설에서 배출하는 가축 분뇨를 공동으로 처리하도록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설치를 지원하 고 있으며, 2016년 기준 총 124개소 설치를 추진하여 84개소가 설치·가동 중이다. 일반적으로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처리 계통은 하나의 시설 에서 퇴비·액비·에너지화·전화처리가 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 으며, 시설 설치용량은 전국 8,502톤/일로 집계되고 있다. 이 중 액비화 시 설용량은 6,263톤/일, 퇴비화 시설용량은 2,477톤/일,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설치용량은 400톤/일이다.

연 도 퇴액비화(개소) 에너지화(개소)

소 계 가동 중 인허가 사업 포기 등 소 계 가동 중 인허가 사업 포기 등

2007 4 4 - - - - -

-2008 15 15 - - - - -

-2009 20 17 1 2 - - -

-2010 18 16 1 1 3 2 - 1

2011 11 11 - - 2 - - 2

2012 20 15 2 3 1 1 -

-2013 13 2 5 6 1 - 1

-2014 12 - 4 8 1 1 -

-2015 1 - 1 - 2 - 2

-2016

소계 114 80 14 20 10 4 3 3

주: ’16년 기준 124개소 추진(가동 84개소, 공사 중 8개소, 인허가 등 9개소, 사업 포기 등 23개소).

<표 3-23> 공동자원화 시설 추진 현황

단위: 톤/일

지역

지역

번호 지원기관 시설 유입용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