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비자의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 평가

식품표시관련 법․제도의 운영체계 및 시행방식 평가

4. 소비자의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 평가

가. 표시제도별 인지도와 활용도

표시제도별 인지도 조사결과 소비자 인지도가 가장 높은 제도는 원산지표시로 소 비자의 96%가 잘 알고 있거나(67.0%), 들어본 적 있다(29.4%)고 응답하였다. KS표 시, 표준규격표시, 품질인증표시, 친환경농산물인증표시에 대한 인지도는 60% 이상으 로 비교적 높은 인지도 수준을 보이나, 실제 구입하는 소비자는 20~40%정도에 불과 하였다. 전통식품인증제, HACCP, 지리적표시, 지자체 표시 등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는 20% 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소비자들이 인증품을 구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품질 신뢰(54.5%), 안전성(39.7%), 맛(5.8%) 순으로 품질에 대한 신뢰감과 안전성에 대한 기대로 인증품을 선택하는 경 우가 대부분이었다. 인증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라고 응 답한 소비자가 60%로 상당수를 점하여 인증품의 가격수준이 가장 큰 제약조건이 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증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 판매처가 드물기 때 문이라고 응답한 소비자가 18.8%에 달해 인증품의 판매망 부족도 인증품 구입에 중 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0. 표시제도별 인지도, 구매경험 조사

단위: %

제도 인지도 구입여부

모른다 들어본적있다 잘알고있다 구입한적없다 구입해본적있다 자주구입한다 품질인증제 127(31.8) 173(43.3) 100(25.0) 46(16.8) 164(60.1) 63(23.1) 전통식품인증제 273(68.3) 115(28.8) 12(3.0) 40(31.5) 86(67.7) 1(0.8) 가공식품KS표시 52(13.0) 135(33.8) 213(53.3) 17(4.9) 183(52.6) 148(42.5)

HACCP 337(84.3) 50(12.5) 13(3.3) 13(20.6) 43(68.3) 7(11.1) 원산지표시 15(3.8) 117(29.3) 268(67.0) 12(3.1) 167(43.5) 205(53.4) 친환경표시 154(38.5) 141(35.3) 105(26.3) 38(15.4) 156(63.4) 52(21.1) 표준규격표시 113(28.3) 118(29.5) 169(42.3) 34(11.8) 138(48.1) 115(40.1)

지리적표시 354(88.5) 37(9.3) 9(2.3) 20(43.5) 23(50.0) 3(6.5) 지자체표시 318(79.5) 65(16.3) 17(4.3) 29(35.4) 48(58.5) 5(6.1) 생산이력제도 320(80.0) 62(15.5) 18(4.5) 29(36.3) 39(48.8) 12(15.0)

GAP 331(82.8) 55(13.8) 14(3.5) 29(42.0) 34(49.3) 6(8.7) GMO관련표시 315(78.8) 64(16.0) 21(5.3) 22(25.9) 51(60.0) 12(14.1)

그림 4-1. 인증품 구입이유

품질신뢰 54.5%

맛 5.8%

안전성 39.7%

그림 4-2. 인증품 구입 않는 이유

제도모 름 11.0%

기 타 0.3%

판매처드뭄 18.8%

품질불 신 10.0%

가격비 쌈 59.9%

인증품 구입시 주요 구입처에 대한 조사결과 대형할인매장을 주로 이용한다는 비중이 절반정도에 달했으며, 다음으로 농협매장 이용 비중이 20% 정도, 친환경전문매장과 백 화점이 10% 전후이었다. 식품류별로 채소류와 과일류는 생협 등 친환경전문매장(11%) 과 재래시장(9%) 이용비중이 다른 식품보다 높다. 또한 육류는 백화점 이용비중이 14%

로 상대적으로 높으며, 가공식품의 경우는 대형할인매장 이용비중이 56%에 달하는 특 징이 있다.

표 4-21. 인증 식품 구입시 주요 구입처

단위: 응답수(%)

구분 채소 과일 육류 가공품

농협매장 67(25.4) 63(24.9) 60(22.6) 54(24.2) 생협 등 전문매장 29(11.0) 27(10.7) 23(8.7) 18(8.1)

백화점 식품매장 18(6.8) 26(10.3) 38(14.3) 21(9.4) 대형할인매장 123(46.6) 109(43.1) 124(46.8) 125(56.1)

도매시장 1(0.4) 1(0.4) 1(0.4) 1(0.4)

재래시장 23(8.7) 24(9.5) 15(5.7) 2(0.9)

홈쇼핑 - - 1(0.4)

-우체국 등 택배주문구매 - 1(0.4) - 1(0.4)

기타 3(1.2) 2(0.8) 3(1.2) 1(0.4)

합계 69(100.0) 253(100.0) 265(100.0) 223(100.0)

소비자들이 식품표시제도를 주로 제품표시를 통해 알게 되었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76.3%로 압도적인 비중을 점한 반면, TVㆍ라디오(14.5%) 또는 신문이나 잡지 (4.8%)와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소비자는 20%에 미치지 못하였다.

즉,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대부분 소비자의 경험과 관심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 며, 홍보나 교육 등을 통해 형성된 예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2. 표시제도를 알게 된 주요 경로

단위: 명, %

구분 응답수 비중

제품에 표시된 것을 보고 305 76.3

TV나 라디오를 통해 58 14.5

신문이나 잡지등을 통해 19 4.8

가족이나 친구를 통해 16 4.0

소비자단체홍보나 강연을 통해 1 0.3

공판장 1 0.3

계 400 100.0

나. 표시제도 평가

소비자들이 가장 활용도가 높은 원산지표시에 대해서 식품유형별로 확인방법을 조 사한 결과 포장과실의 경우 원산지표시(54.5%)와 생산지표시(36.8%)를 확인하는 비 중이 높았다. 또한 육류는 제품 또는 진열장의 원산지표시(35.3%)보다 한우전문판매 코너(46%)를 선택하는 비중이 높으며, 가공제품은 원산지표시(46.1%) 다음으로 제조 회사(27.0%)나 브랜드명(25.5%)을 통해 확인하는 비중이 높았다.

표 4-23. 식품별 국내산 여부 확인 방법

단위: 응답수(%)

구분 포장과일 육류 가공제품

브랜드명 7(1.8) 29(7.3) 102(25.5)

원산지표시 218(54.5) - 125(31.3)

인증마크 20(5.0) 5(1.3) 6(1.5)

생산지표시 147(36.8) 41(10.3)

-판매처 - 184(46.0)

-제품 또는 진열장의 원산지표시 - 141(35.3)

-제조회사(판매회사) - - 108(27.0)

원재료명 - - 59(14.8)

확인하지 않음 8(2.0) -

-계 400(100.0) 400(100.0) 400(100.0)

수입 원료를 이용하여 생산된 제품의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 인식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쇠고기와 김치의 예에 대한 원산지 견해를 조사한 결과, 생우를 호주에서 수입 하여 국내에서 사육한 쇠고기와 중국산 배추와 국내산 양념으로 만든 김치에 대해서 수입산으로 인식하는 소비자가 각각 90%, 91.5%로 대부분이었다. 수입산 원료를 사 용하여 국내에서 가공ㆍ생산된 제품에 대한 원산지 규정이 정립될 필요성을 뒷받침 하는 결과이다.

표 4-24. 원산지판정에 대한 견해

단위: 응답수(%)

구분 수입 생우

(국내에서 6개월 이상 사육 )

중국산 배추와 국내산 양념으로 만든 김치

국내산 39(9.8) 29(7.3)

수입산 360(90.0) 366(91.5)

기타, 둘다 표시(호주태생,

한국6개월사육) 1(0.3) 5(1.3)

계 400(100.0) 400(100.0)

가공식품의 원재료 원산지표시에 대해서 소비자들은 97%가 원료원산지표시가 필 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원재료 표시품목수도 확대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가 공식품 원료 모두에 대해 원산지를 표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57.5%이었으며, 원료모 두를 표시할 필요는 없지만 현행 표시품목 수 보다는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13.5% 수준이었다. 반면 현재의 주원료위주 표시방식에 대해서는 응답소비자의 26.0%만이 찬성하였으며, 원료원산지표시가 필요 없다는 의견은 3%에 불과하였다.

표 4-25. 가공식품 원재료 원산지표시 방법

구분 응답수 비중(%)

주원료 위주로 표시하는 현행방식 104 26.0

원료 원산지표시는 필요없음 12 3.0

원료 모두에 대해서 표시 230 57.5

현행 표시 원료 수보다는 확대 54 13.5

계 400 100.0

친환경농산물인증 표시에 대해 소비자들이 정확히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친 환경농산물인증 표시 4가지 종류에 대한 인지여부를 조사한 결과 응답소비자의 85%

가 친환경 표시에 4가지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친환경 농산물인증 표시에 4종류가 있는 것을 알고 있는 소비자는 15%에 불과하였다.

표 4-26. 친환경농산물인증 표시 4종류에 대한 인지여부

구분 응답수 비중(%)

안다 60 15.0

모른다 340 85.0

계 400 100.0

친환경농산물인증 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도를 살펴보기 위해 친환경농산물인증 표시 중 품질이 가장 좋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종류에 대한 조사결과 유기인증이 43%

로 가장 많은 비중을 점하나, 무농약표시를 선택한 소비자도 39.8%에 달하는 등 절 반 이상의 소비자가 유기인증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7. 친환경표시중 가장 우수한 품질인증마크

구분 응답수 비중(%)

저농약표시 27 6.8

무농약표시 159 39.8

전환기유기표시 42 10.5

유기표시 172 43.0

계 400 100.0

유기농산물의 기준에 포함된 것으로 인식된 기준사항의 경우 무농약 조건에 대해서 는 응답 소비자의 79.8%가 인식하나, 무화학비료에 대해서는 응답소비자의 절반정도 (53.8%) 소비자만이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밖에 국내산(43.0%), 품질수준 (24.8%), 위생관리(21.3%) 등 유기인증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 잘못 이 해하고 있는 소비자도 상당수에 달하였다.

표 4-28. 유기농산물에 포함된 기준사항(복수응답)

구분 비중(%)

국내산 43.0

무농약 79.8

저농약 20.3

무화학비료 53.8

품질수준(크기,색깔,당도 등) 24.8

위생관리 21.3

기타 0.6

유기가공식품에 대한 구입의향 조사결과 응답소비자이 80% 이상이 구입의향을 나 타내어 향후 수요 증가 가능성을 나타냈다. 수입유기식품에 대한 구입의향의 경우는 구입의향이 있는 소비자가 22.3%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저 그렇다고 응답한 43.8%의 소비자도 구입가능성이 크므로 실제 구입 잠재력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표 4-29. 유기가공식품 구입의향

단위: 응답수(%)

구분 국내산 유기가공식품 수입 유기가공식품

전혀 없다 2(0.5) 16(4.0)

별로 없는 편이다 10(2.5) 120(30.0)

그저그렇다 58(14.5) 175(43.8)

있는 편이다 277(69.3) 89(22.3)

매우 높다 53(13.3) 0(0.0)

계 400(100.0) 400(100.0)

소비자들의 식품 표시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표시에 관련된 주요 문제점에 대한 소비자 척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표시항목 수, 내용의 이해도, 정보의 충분 성, 표시 위치, 표시 모양과 크기, 신뢰도의 6개 측면에서 소비자 평가를 조사한 결과 모든 항목에 대해 만족하는 수준(척도평균 3.5이상)으로 평가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소비자 척도계측결과 평균 이상의 평가를 받은 항목은 표시항목 수뿐이며, 다 른 항목에 대한 평가는 모두 평균을 넘지 못하였다. 소비자들이 가장 부정적인 평가 를 한 항목은 정보의 충분성, 표시 위치, 표시 모양과 크기로 소비자들은 표시가 눈에 잘 띄지 않고 표시정보가 부족한 것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표 4-30>.

표 4-30. 식품포장지 표시에 대한 인식

단위: 응답수(%)

요인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척도 평균 표시항목수 적정하다 2(0.5) 76(19.0) 113(28.3) 193(48.3) 16(4.0) 3.36

표시내용을 이해

하기 쉽다 3(0.8) 131(32.8) 146(36.5) 113(28.3) 7(1.8) 2.98 표시에 충분한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10(2.5) 156(39.0) 168(42.0) 64(16.0) 2(0.5) 2.73 표시사항이 눈에

잘띄는 위치에 있다 9(2.3) 179(44.8) 122(30.5) 85(21.3) 5(1.3) 2.75 표시모양이나 크기가

눈에 잘 띈다 5(1.3) 179(44.8) 149(37.3) 61(15.3) 6(1.5) 2.71 현행 식품표시를

신뢰할 수 있다 12(3.0) 108(27.0) 173(43.3) 104(26.0) 3(0.8) 2.95

주: 설문조사에서는 표시항목이 너무 많다에 대한 평가를 하였으며 타 항목과의 척도 순서를 맞추기 위해 항목수 적정으로 정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