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에서 논의한 추진전략에 관한 내용들을 종합하면, 하나의 결집되는 지점을 찾을 수가 있는데,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따른 귀농‧귀촌 인구를 끌어 들이고 정착하게 하는 새로운 개념의 농촌정주모델을 창출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는 「전원휴양‧의료복지‧활력재생 복합형 농촌 정주거점」(가칭)이라 명명할 수 가 있다. 이 「전원휴양‧의료복지‧활력재생 복합형 농촌 정주거점」(가칭)이 바로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대응하여 농촌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의 구체적 실체인 셈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대응한 새로운 개념의 농촌정주모델인 「전원휴양‧의 료복지‧활력재생 복합형 농촌 정주거점」은 크게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기능과 역할을 지닌다.

첫째,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목적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전원

‧휴양‧여가활동’을 위한 주거공간, 즉 은퇴 후 쾌적한 자연환경 속에서 노후생활 을 보낼 수 있는 전원주거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보유한다. 이를 위한 구체 적 실천방안으로서는 전원마을 조성, 농어촌 뉴타운, 소규모 주거단지 조성, 실버 주택 등 전원 주거공간 조성과 관련한 수단들을 활용할 수가 있다.

둘째, 전원 속에 거주하면서 휴양‧여가활동을 통하여 활력을 되찾는 활력재생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보유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으로서는 휴 양‧여가 및 문화‧체육시설 설치, 각종 건강관리 및 회복 프로그램의 운영 등 건 강‧복지 생활 향유와 관련한 수단들을 활용할 수가 있다.

셋째,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목적 중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

‘영농 등 일자리 획득 등을 통한 경제적 활동’을 위한 경제활동공간, 인생 제2막 의 경제적 활력을 재창출하는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보유한다. 이를 위해 서는 농장, 영농체험단지, 농수산물 생산‧가공‧판매시설, 각종 프로그램의 교육‧

컨설팅, 커뮤니티단체, 사회적 기업 등에의 참여 등 경제활동 기회 창출과 관련 한 수단들을 활용할 수가 있다.

넷째,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들이 가장 중요한 국가차원의 정책으로 지적한 ‘의 료‧복지를 중심으로 한 농촌 생활환경의 개선’에 대응한 의료복지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보유한다. 이를 위해서는 요양병원‧요양시설, 의료‧복지시설 설 치 등 건강‧복지 생활 향유와 관련한 수단들을 활용할 수가 있다.

<그림 6-3>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대응한 농촌활성화 방안 : 농촌정주모델

새로운 개념의 농촌정주모델인 「전원휴양‧의료복지‧활력재생 복합형 농촌 정 주거점」의 이러한 중심 기능과 역할이 상호 연계되면서 다음과 같은 농촌활성화 거점으로서의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모-베이비부머(본인)-자녀’의 3대가 농촌 전원공간을 매개로 하여 상호 교 류‧공생하면서 생활의 안정화와 활력증진이 도모되고, 이에 따라 농촌지역의 활 성화를 촉진하는 거점으로서의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전원주거공간 기능과 활력재생공간 기능, 그리고 경제활동공간 기능과 의료‧

복지공간 기능이 연계, 복합화된 단지 혹은 기존 농촌중심지와 연계된 생활권 단 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사회적 기업 등 지역공동체 조직에의 참여 등을 통하여 귀농‧귀촌인과 농촌주 민들이 다양한 사회‧경제적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 어넣는 장(場)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휴양‧의료복지‧활력재생 복합형 농촌 정주거점」이 제대로 조성 되어 새로운 농촌활성화 거점으로서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추진체계의 구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지자체‧민간이 상호 기능과 역할을 분 담하면서 연계‧협력함으로써 지자체 단위에서 통합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법‧제도적 기반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귀촌 붐 조성, 예산지원 및 제도개선 등 을 통하여 「전원휴양‧의료복지‧활력재생 복합형 농촌 정주거점」이 효율적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포괄보조사업제도, 복합형 농촌 정주거점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이나 법 제정 등의 방안이 활용될 수 있다.

지자체 차원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 이주‧정착을 위한 종합계획의 수립 과 추진, 관련 사업예산의 통합적 운용 등을 통해 복합형 농촌 정주거점 구축 정 책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통합추진기구 등의 구성, 지역 의 특성과 정주체계를 고려한 계획의 수립과 추진, 예산통합운용 등을 위한 방안 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민간 차원에서는, 전원주거단지의 개발과 분양, 생산시설의 설치와 운영, 관리,

그리고 요양 병원‧시설 등의 관리와 운영, 각종 프로그램의 관리와 운영 등을 통 하여, 복합형 농촌 정주거점이 주민 주도 하에 기존 농촌지역사회와 융합되고 농 촌 이주 도시민과 기존 농촌주민이 한 데 어울리는 삶의 터전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지역공동체 조직의 형성과 참여, 사회적 기업 등의 설립과 참 여 등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